Skip to content

  1. Gamma sygni Region

    그러고보니 제대로 한번 찍어본 적이 없는 대상이기도 하고 늘 Ha로만 찍어 본 그런 대상이라서 별을 많이 찍히게 하고 또 RGB벨런스가 맞아서 다양한 계조가 살아있는 그런 사진을 원했습니다. 찍고자 하는 대상이 남중 전이었던 것도 이유입니다. 이날은 이...
    Date2010.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56
    Read More
  2. M16 The Center of Eagle Nebula

    미드 10인치 F4 뉴트니안 EM200 Tm 2 Jr. SBIG ST-7E ( -20) 노출 400초 X 9장 Seeing : 5/10 Trans : 4/5 Stella Image 4 + Photoshop 7.0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4년 4월 28일 오전 4시 14분~ 컬러가 아니라 죄송합니다..
    Date2004.04.3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55
    Read More
  3. ngc6357+6334

    전갈자리 꼬리부근에 있는 발광성운입니다. 두개가 나란히 있어 사이좋게 보입니다. 하나씩 찍으려다가 FD300화각에 넉넉히 들어와 함께 찍어보았습니다. 하단이미지중 왼쪽이 NGC6357이고 우측이 고양이발성운이라 불리는 NGC6334입니다. NGC6357에는 사선방...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55
    Read More
  4. IC443 & IC444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12장(1X1) -R : 600초X6장(1X1) -GB : 각 600초X3장씩(1X1) -2007. 01. 22, 01. 24 지난번에 블루밍 처리에 애로가 많을 것 같아 뮤별을 구도에서 뺐다가 성운...
    Date2007.03.13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554
    Read More
  5. M8, M20 (재처리)

    D700으로 첫 딥스카이를 찍어봤습니다. 오토가이드가 아직 되지 않아 오랜만에 반자동 가이드를 해봤네요.. ㅋㅋㅋ 극축 맞추기가 까다로와 쉽지 않은 촬영이었습니다. 우째 급조해서 가이드 장비는 다 모이더군요... ㅋㅋㅋ 가이드 마운트 빼고는 관측지에서...
    Date2009.06.02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554
    Read More
  6. NGC6992 [Veil Nebula]

    Location:Mt.Gangdeog 20110412 Telescope:Takahashi Mt160 Mount:Takahashi Em200 Temma2 Camera:QSI583WS Astrodon Fiter Guiding:Stella Vue Fider Scope+dsi Exposure:L=600sx5[1Binning] RGB300sx3[1Binning]Ha900sx2[1Binning] 늦은시간에 출발해 오랜...
    Date2011.04.1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554
    Read More
  7. 버블성운과 m52 산개성단

    어제 평일이고 월령이 썩 좋지않은데도 불구하고 날씨가 너무좋아, 양평에 갔습니다. 기대했던데로 투명도 너무 좋은 가을 밤하늘이었습니다. 지난번 촬영하던 Helix를 좀더 찍으러 갔지만, 남서쪽으로 아직 달이 있어, 달 반대편 버블을 촬영하였습니다. 밤...
    Date2008.11.05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553
    Read More
  8. NGC281 - 팩맨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3장(1X1) -GB : 각 600초X3장씩(1X1) -2007. 01. 14 엷은 구름이 계속 끼다가 마침내 하늘을 덮어버렸던 날로 이미지가 삐리리하여 처리하지 않고 있다가 버리...
    Date2007.06.02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552
    Read More
  9. Bug Nebula ( NGC 6302 )

    ||1전갈좌의 예쁜대상인데.. ... ㅠㅠ Bug Nebula... butterfly 라고도 하는 대상입니다. 작긴작군요.. 2010.4.13 SCT LX200R F10 + 6303 1x1 RGB L 각 2장씩...박명이 너무 일찍 ㅠㅠ 밤에만 하늘이 열렸던 날이었습니다.
    Date2010.04.1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552
    Read More
  10. The witch head nebula (IC2118, 마녀머리성운)

    마녀머리성운을 한번 찍어 봤습니다. 오리온 자리의 우측에 있고, 시간에 맞는 마땅한 대상이 애매해서 한번 시도해 보긴 했는데, 시간 계산을 잘못해서 그런지.....Blue 채널 1장 찍어지고 천문박명이 도래 했습니다. B채널 1장 가지고 처리 하다보니 배경이...
    Date2011.10.07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52
    Read More
  11. 안타레스 주변부

    2007 6 16 철원 5D w/o LPF w/LPS-P2 FD300 2.8L(F2.8) ISO800 180s x 20 EM11T2j 70s TouCam autoguide 25% resize 노이즈 처리때문에 처리가 과도하네요. 다크/플랫을 찍을 걸 후회가 막심합니다. 그냥 포기하고 올립니다. 우하변에 이상스러운 것은 고스트...
    Date2007.06.25 CategoryNebula By이상헌 Views1551
    Read More
  12. 090923_ic1805

    2009년 9월 23일 수요일 밤에 촬영한 ic1805의 중심부 중 일부 입니다. 날씨는 좋았지만 화각에 어울리는 대상을 찾는다고 여기저기 헤메이는 것도 힘이 들어 이 대상의 중심을 한번 찍어 보고자 했씁니다. 동쪽 하늘에 있을 때 찍기 시작해서 망원경을 돌려 ...
    Date2009.09.2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51
    Read More
  13. 버블 주변

    지난번에 실패한 버블 주변 재도전하였는데, 이것도 별로 맘에 들지 않습니다. 주변부가 지저분하여 98%수준에서 크롭했습니다. 촬영정보 em10b, fd300@f3.6, astro350d, iso1600, 300초*19장 합성
    Date2008.01.06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550
    Read More
  14. ic63

    ||1카시오페이아 자리에 있는 어둡고 인기없는 성운입니다. ic59,63 이슬 샤워하던, 그런 밤 이었습니다. 다카하시 BRC250 10' F5 (펜탁스 75 + starshoot 가이드.) EQ1200 GTO orion starshoot pro 월현리 유리별천문대 500초 17장 플랫은 전에 사용하던것을...
    Date2009.08.16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550
    Read More
  15. 말머리 흑백

    컬러 처리하다 일단 흑백 부터 올립니다. 25%, 50% 리사이징 이미지입니다. 지난주 촬영분입니다.
    Date2010.01.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550
    Read More
  16. 장미성운, ngc2237

    11월 17일, 별만세 관측소에서 촬영한 장미성운입니다. 천체사진을 하시는 분들은 아마 1년에 한번쯤은 꼭 겨누는 대상이 아닐까 합니다. 저에겐 냉각ccd를 구입하고 처음으로 '두번' 찍는 대상입니다. 올 2월쯤엔가 처음 테스트 하러 나갔을 때 찍어본 대상...
    Date2007.11.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9
    Read More
  17. Cygnus주변부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 Canon 350D(LPF제거) Exposure: R image -> Baader Ha(FWHM45nm) 600s*8장/ISO800 GB image -> LPS-P2 600s*5장/ISO800 Optics: Nikkor105mm(f1.8->2.8)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49
    Read More
  18. IC443 & ngc2174

    전영준샘에 이어 광시야사진 하나 더 추가합니다. 해파리와 오공이입니다. 어제는 달이 지고 아주 짧게 하늘을 열어 주었습니다. 사실 내내 맑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새벽에 눈과 함께 찾아온 구름으로 노출이 많이 부족한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렌즈 문제로 ...
    Date2008.12.0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9
    Read More
  19. M42 & NGC1977...

    12월 초에 찍고서 그동안 바쁜일로 이제서야 얼렁뚱땅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자주 드르지 못하다가 와 보니 엄청난 이미지들이 올라와있었습니다.. 숨이 막힐 지경인 작품들 뿐이네요.. 그럴땐 이런 소박한 맛을 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가 될수도... 기가...
    Date2008.12.18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549
    Read More
  20. NGC7023 & vdB141

    지난번에 이어 다시 찍어 보았습니다. 이번 역시 접안부 처짐문제와 초점이 아쉬운 사진이 되었지만 예전사진에 비해 노출시간이 길어 그런지 디테일과 농담이 자연스럽고 초점거리가 긴 관계로 조금은 더 자세히 보입니다. http://astronavi.co.kr/zeroboard...
    Date2011.06.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49
    Read More
  21. NGC7293 (Helix)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r)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9'c) 영정보 : L600*6 (1:1) / RGB300*3 (2:2) / Dark처리/flat처리 처리정보: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소 ...
    Date2010.09.14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548
    Read More
  22. Eta Carina Nebula

    남천에서 처음 대상을 겨누고 찍은 대상입니다. 블루밍 덕분에 아주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결국 RGB는 11K의 것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실 사이즈입니다. 워낙 밝고 큰 대상입니다. 실제 처리를 해보니 G와 B채널의 정보가 많이 있었습...
    Date2006.12.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47
    Read More
  23. 오리온대성운(M42)

    지난 11월 3일, 혜성과 하현달을 촬영하러 갔다가, 달이 적정 고도로 올라올때까지 시간이 좀 남길래 찍어보았습니다. 냉각CCD로는 첨 찍어보는 대상입니다. 워낙 유명한 대상이라 쉬울것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네요. 중심부를 태우지 않으면서 주변부를 살리...
    Date2007.11.0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7
    Read More
  24. 090429_m17&m18

    점점 커져가는 달을 아쉬워하며 이번 월령 마지막 출사를 어제에 이어 광덕산으로 다녀왔습니다. 이번달들어 시상이 가장 좋았던 날이었습니다. FD300에 비록 크롭화각이지만 한 화면에 두개 이상의 대상을 넣어보려고 시뮬레이션으로 탐색을 해보니 의외로 ...
    Date2009.04.30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46
    Read More
  25. NGC 281 팩맨 성운

    지난주 금요일 날이 좋아서, 오후 반차내고 달려 보았습니다. 500mm 팩맨은 너무 작아서 중앙부 크롭 100% 사이즈 입니다. [11월25일 수정사항] 배경처리 다시. EM200+Epsilon180ED Carbon+STL11000C1 HaRGB=6*10+3*(3+3+3) 유리별-하늘이 천문대 2008-11-21
    Date2008.11.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543
    Read More
  26. IC443 해파리와 NGC2174 원숭이

    m45를 찍다가 선택한 대상입니다. rgb부터 찍어주고 ha를 찍기 시작하자 구름이 밀려와 3장밖에 건지지 못했습니다. 사진이 거칠어서 처리하지 않으려다가 연휴에 처리하여 올리게 되었습니다. 2009. 12. 22 의령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kkor ed 180mm mo...
    Date2009.12.26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43
    Read More
  27. ic5146 코쿤

    2011. 5. 5 의령 한우산 무풍지대 FD300mm 2.8L @f3.75 GPD-ss2kpc astro 400D / iso800 LPS-P2 : 600"×1 , 480"×1 80S / DSI / Maxim 가이드 새벽 4시가 다되어 드디어 하늘의 구름과 황사가 걷히고 찐~한 은하수가 나왔습니다. 정말 멋지고도 멋진 하늘이었...
    Date2011.05.05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43
    Read More
  28. 111204-ic434

    111204_IC434 sbig stl 11000m의 두번째 테스트 이미지 입니다. 토요일 밤에 촬영한 M45는 구름의 영향으로 rgb를 충분히 얻지를 못했는데 다음날인 일요일날 밤에도 초반에는 구름으로 인하여 촬영을 하지 못하고 있었씁니다. 결국 철수를 고민하게 되었을 ...
    Date2011.12.1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42
    Read More
  29. M97과 M108

    또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 스타파티는 잘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토요일에 적도의 구입차 서울에 올라갔습니다. 그냥 내려오기 뭣해서 네이버 동호회 분들과 함께 대부도에서 관측을 하고 내려왔습니다... 생각보다 작은 대남 초등학교와 말로만 듣던...
    Date2009.03.03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541
    Read More
  30. 캘리포니아성운, ngc1499

    8월 17일, 그 좋았던 날, 세번째로 찍은 이미지입니다. 오랜만에 만난 황홀한 밤하늘이 너무나 아까워서 이것 저것 욕심내다 요놈(?)까지 손을 대었습니다. 나중에 충분한 노출로 찍어도 되었을 것을.... 필름으로 찍을 땐, 전체 모양이 캘리포니아반도를 닮...
    Date2007.08.2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0
    Read More
  31. M61 처녀자리 나선은하

    처녀자리에 있는 정면 나선은하입니다. 이날은 시상은 좋았지만 바람이 많이 불었던 날로 기억이 됩니다. 앞이 터진 대구경 뉴튼식의 경우는 특히 바람에 약할수 밖에 없더군요. 바람막이를 설치해야 될지... 아래에는 M61과 모양이 비슷한 13.6등급의 정면 ...
    Date2004.06.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39
    Read More
  32. 메시에 목록

    이 사진은 지난 2003년에 CCD 촬영을 하면서 부터 2006년 지금까지 촬영한 메시에 목록을 번호별로 나열한 사진입니다. 이제와서 보니 미숙한 부분이 많이 보이는 사진들이지만, 차츰 보완을 해 나갈 예정입니다. 좀 더 큰 사진(원본의 1/3사이즈)은 아래 링...
    Date2006.03.2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