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게성운 (M1)

    대상 (Object) : M1 촬영일 (Date) : 2016.12.02 촬영장소 (Location): 강원도 홍천 (Hongcheon, Gangwon-Do, South Korea) 망원경 (Telescope) : FDK470 (D=470mm, f=3577mm, Flat-field Dall Kerkham, Made by Joon-Kyu Yu) 적도의 (Mount) : SUA (Germna E...
    Date2016.12.1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63
    Read More
  2. 거품성운 (Bubble Nebula, NGC 7635)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CCDT67 x0.75 reducer)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8월 15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13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날이 ...
    Date2009.08.1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405
    Read More
  3. 거품성운

    전에 찍었던 Ha와 이번에 찍은 O3를 합성해 보았습니다. 역시 미숙합니다. 10.29 광명 Orion 8"(F4.4) EM200 TM2jr HaHa(Ha+O3)O3합성
    Date2004.11.03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305
    Read More
  4. 감마 시그니~

    저두 한번 찍어보았습니다. 이윤님과 황인준님을 따라서. Try ................. 이윤님의 Nude 300D나 황인준님의 Normal 20D가 제 nude 20D로 찍은거 보다. 좋습니다.. 역시 카메라 를 탓할게 아닙니다. .. 찍사의 내공을 더 쌓아야~
    Date2005.05.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43
    Read More
  5. 감마 시그니 부근...

    적상산에서 16일 저녁에 찍었습니다. 딮스카이필터 끼고 2분노출 x 4매 eos10d +200mm F1.8개방조리개 감도800 달도 떠 있어서 인지 백그라운드가 밝게 올라와서 컷당 노출을 많이 못준게 아쉬움으로 남네요.
    Date2003.10.20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626
    Read More
  6. 감마 시그니

    18일 덕초현에 찍은 백조자리 감마성 주변입니다. 여름철 대상이다 보니, 조금 찍다 서쪽으로 넘어가서, 노출을 오래줄수 없었습니다. 장비: E180+Em200+Astro350D 노출: 8*3분
    Date2006.11.22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40
    Read More
  7. 갈매기성운(IC2177 &...)

    외뿔소자리에 있는 120'x120' 크기의 성운으로 FSQ106+11K조합에서도 넉넉한 화각은 아닌것 같습니다. 적색성운을 강조하고 촬영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Ha, G, B필터만으로 찍었더니 L,R,G,B필터보다 자연스런 색상표현이 어렵습니다. 노트북화면이라 칼러밸...
    Date2007.12.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29
    Read More
  8. 갈매기성운

    지난 4일 저녁 점프를 하여 촬영하였습니다. 겨울철 은하수가 훤히 보이던 그런 밤...혼자서 찍으니 심심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 촬영한 대상이고, 플랫과 다크를 처음으로 처리해 봤습니다만, 잘 안 된 듯 합니다.^^;; em10b, fd300@f4, astro350d, iso1600,...
    Date2007.12.10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388
    Read More
  9. 갈매기 성운(IC2177)

    도배를 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신범영샘의 갈매기 색이 너무 예뻐, 비슷하게 만들어보려고 지난 겨울에 찍어두었던 이미지를 꺼내어 보았습니다. CCD 구입 후 얼마 안되어 찍었던 건데, 그동안 제 스스로 이미지 처리방법도 많이 달라지고 해서 재처리를 ...
    Date2007.12.2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66
    Read More
  10. 갈매기 성운(IC2177)

      오랜만에 촬영해 본 딥스카이 대상입니다. 디더링을 활성화하여 세로줄무늬를 없애보려했는데, 안 없어집니다. 뭔간 잘못된 듯 합니다. 다시 해 보는 수밖에 없을 듯...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맥심 5.24버전에서 6D 파일 처리하는게 힘듭니다. 6.0 이상 버젼...
    Date2014.12.24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396
    Read More
  11. 갈매기 성운 IC2177

    춥지만 맑은 하늘이었습니다. 겨울가기전에 갈매기 잡아보려고 했는데 구도는 또...좀 실패했습니다. 연이은 송년회에 체력이 ㅠㅠ 그만 중간에 잠이 들어서 구도도 못고쳤습니다. 아쉬움은 다음기회를 위해 가볍게 토스~ PENTAX 100 SDUF EM200 Tjr ASTRO 35...
    Date2008.12.31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262
    Read More
  12. 갈매기 성운

    다크 플랫 처리를 못한 갈매기 성운을 다시 처리하였습니다..... PENTAX 100 SDUF ASTRO 350D ISO 1600 7분 x 30 2008.12.31 2009.1.23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9.03.1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565
    Read More
  13. 간만의 출사..

    어제 저녁 날씨가 심상치 않아서 급하게 연락을 했더니 역시나 신범영님 고창균님은 이미 수피령으로 떠나셨습니다 ㅋ 저도 얼른 부리나케 떠났는데 서울 벗어나는데만 1시간 반 걸리더라구요 헐;; 부지런히 달렸는데 이상하게 서울에선 별이 총총했는데 수피...
    Date2007.05.13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399
    Read More
  14. 간만에 파란 주말이 되나 싶더니...

    주말엔 비가 온다고 하네요...좋은 월령인데..ㅠㅠ 올해 이상합니다..주말만되면 날씨가....ㅠㅠ 퇴근 일찍한 기념으로 작년 12월에 찍은 M33에 마찬가지로 플랫처리 해보았습니다.ㅎ 수상하신분들 모두 축하드리구요^^ 2008.12.3 2009.1.22 EM200B ASTRO 350...
    Date2009.03.2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589
    Read More
  15. 가을2...m45

    경북 울진 2007년09월09일 fs60, eq6, 아스트로350d, st402가이드 10분 * 9장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가을이 왔다는 두번째 증거입니다. 오랫만에 별빛을 보니 또 폭주했습니다.^^
    Date2007.09.10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308
    Read More
  16. 가벼운 장미..

    일욜밤은 새벽1시에 구름이 끼었습니다. 새벽1시라............... 퇴근하고 도착해서 망경펴놓고 초점맞추고 구도잡고 가이드성 잡은다음, 셔터누른후에 가이드 상태 점검하면서 흐뭇해하다가 커피한잔 .......할 시간이 1시 아닙니까! 결국 3장찍고 구름들...
    Date2008.11.0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237
    Read More
  17. ε-210 First Light M42 region

    2019년 1월 4일 / 경북 영천  ε-210 (부천동 김정식님 장비) L 600s x 12 / R 600s x 6/ G 600s x 6/ B 600s x 6, All Bin1 같은 방법으로 90s x 6 / 15s x 6 Total 342min (5.8h) STL-11000m(-20도) Rainbowastro RST400 Equatorial Mount TC237 internal gu...
    Date2019.01.08 CategoryNebula By권한조 Views242
    Read More
  18. [필름] 오리온 자리 성운기

      요즘 갤러리에 엄청난 사진들이 하도 많이 올라와서 겁이 나긴 하지만, 그래도 올려 보렵니다.   10월 16~17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
    Date2004.10.28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560
    Read More
  19. [필름] 오리온 + 말머리

    오랜만에 포스팅입니다. 디지털 사진 동호회에 필름 사진만 계속 올려서 죄송하기는 한데 저는 아직까지 필름 사진이 손에 익어서 이게 편하네요. 필름 사진 올린다고 짜르시지는 않겠죠? 2008. 12.5~12.6 횡성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Borg 125ED) D=...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695
    Read More
  20. [필름]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오래 전에 찍었었던 필름 사진입니다. 별자리 사진을 찾으러 백업cd를 뒤지다가 요게 보이길래 한 번 니트를 돌려보았습니다. 필름입자의 거친 부분이 대충 없어집니다. 포샵에서 만지작거리다보니 정작 해야할 다른 작업은 뒷전이군요. 요즘 디지탈카메라로 ...
    Date2006.10.1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294
    Read More
  21. [필름] 베일 성운

    베일 성운입니다. 촬영당시 고도가 낮아서 노출이 과한데다 초점도 별로 좋지 않군요.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폴라로...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919
    Read More
  22. [필름] 백조자리 감마별 부근

      6월 12~13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100s 50분 노출, 3스톱 증감 8x10 인화를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사진상에선 성운기가 매우 빈약하게 나...
    Date2004.06.18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277
    Read More
  23. [필름] 마차부자리 IC405, IC410, M38

      몇 주 전에 찍은 사진인데 그 동안 시간이 없어 찾지를 못하다가 겨우 찾았습니다. 필름을 옷주머니에 넣어 두었는데 마눌님이 필름이 들어있는 줄도 모르고 세탁기에 돌려서 돈세탁 아닌 필름세탁이 되었습니다. (^_^) 에구 날렸구나 하고 별로 기대도 하...
    Date2004.11.23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269
    Read More
  24. [필름] NGC7822 + Ced 214

    케페우스 자리의 큰 발광성운 두 개입니다. 위의 가로로 길쭉한 것이 NGC7822 이고 아래의 것이 Ced 214 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003
    Read More
  25. [필름] NGC7000 북아메리카 성운

    주말에 덕초현에서 찍은 북아메리카입니다. 현상만 한 다음 필름 스캐너로 스캔했는데 필름 스캐너의 홀더가 부실한지 스캔시 초점이 정확하지 않네요. 2005년 5월 15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
    Date2005.05.16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412
    Read More
  26. [필름] NGC6334 + NGC6357 (Cat's Paw)

      3월 18~19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200 35분 노출, 2스톱 증감 8x10 인화,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이날 맘먹고 찍은 안타레스 부근은 초점이...
    Date2005.03.23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451
    Read More
  27. [필름] NGC2237 장미성운

      12월 4~5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 필름 1/2 정도를 크롭하여 8x10 인화,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관측지에 너무 ...
    Date2004.12.25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178
    Read More
  28. [필름] NGC1499 캘리포니아 성운

      밑의 사진과 같은날 찍은 캘리포니아 성운입니다. 역시 인화물에 비해 성운기를 조금 강조했습니다.   2004년 11월 6~7일, 중앙 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F6.4 렌즈) EM-200, ST-4 오토가이드 펜탁스 6x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 8x10 ...
    Date2004.11.23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241
    Read More
  29. [필름] M8 + M20

      6월 12~13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100s 40분 노출, 3스톱 증감 8x10 인화를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1년전부터 세팅하고 있던 125ED 굴절과 ...
    Date2004.06.18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304
    Read More
  30. [필름] M16 + M17 (독수리 성운, 오메가 성운)

    2010년 5월 15~16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F6.4), 다카하시 EM-200 펜탁스6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평판스캐너로 필름스캔, 80% 정도 크롭 광해가 많아서 그런지 사진이 많이 거칠게 나왔네요. 기록 차원에서 올려 봅...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728
    Read More
  31. [필름] IC1396

    9월달에 간신히 시간을 내어 덕초현에 갔는데 구름이 왔다리 갔다리 해서 한 장밖에 못찍었습니다. 그나마도 노출이 부족해서 보정을 해도 영 시원찮네요. 평균점수 깎아먹는 사진이지만 기록 차원에서 남깁니다. 2009년 9월 19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
    Date2009.11.02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522
    Read More
  32. [필름 ] IC1805 + IC1848 (Heart & Soul)

    한참 전에 찍어서 현상만 해서 처박아 두었다가 이번에 인화해서 스캔해 보았습니다. E200 필름이 떨어져서 프로비아 400F 로 찍었는데 역시 성운기 표현이 많이 떨어지는군요. 성운기를 표현하려고 무리하게 커브를 줬더니 사진이 깨끗하지 않네요. 작은 사...
    Date2007.01.1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1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