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1 & Zeta

    촬영지: 남양주 상판리20121124 + 수피령2011930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광학계:Epsilon180 ED 카메라:QSI583WS 노출:L+ Ha +R+G+B 180+120+30+30+60 황소자리 Zeta성과 게성운 입니다 11년도에 촬영한 대상인데 부족한 느낌이있어 가까운 곳에서 Ha...
    Date2012.11.30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061
    Read More
  2. Heart Nebula ( IC 1805)

    ||12012.11.18 Fetus후 Heart 까지.. RGB 3x3 Test 입니다. FSQ-106 + FLI 16083 Ha 1200s x 3 , RGB 300s 3x3 각 1장씩.- 장수가 적으니 색감은 얼룩덜룩합니다. Flat이 빠지지 않아 주변부는 버리고 center부위만 Crop하였습니다. 2/3 resize하여 줄여서 올...
    Date2012.12.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64
    Read More
  3. Merry Christmas!!

    ||1오늘 함박눈이 펑펑오는군요.. 좀 있으면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데. 미리 크리스트마스 트리와 주변을 맴도는 도깨비불을 만들어 올립니다. 2012.11. 19일 새벽 (FSQ+16803 Ha RGB Oiii - 각 900s x 3 NGC 2264 & IC 2169 중간부위 Crop후 1/3 resize입니다.
    Date2012.12.0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57
    Read More
  4. IC 405, 410 M38

    ||1올해 11월에 찍은 마지막 사진입니다. 항상 이미지를 과하게 처리하게 되네요.. FSQ- 16803 L- 600s. Ha 1200s .RGB 300s 입니다. 1/3 크기로 줄여서 올립니다.
    Date2012.12.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52
    Read More
  5. VEil Nebula .. 재처리 Crop

    ||12012.10.15일 FSQ + FLI로 찍어 간단히 합성하여 올렸던 veil성운의 재처리 이미지입니다. 이전과 똑같이 올리면 않될것같아 crop후 약강 resize해서 올립니다. OIII은 어떤때는 Blue Channel에 붙일때도 좋지만 Veil은 Green으로 합성하는 것이 더 좋아보...
    Date2012.12.10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14
    Read More
  6. NGC2170 주변

    촬영지:수피령201212 마운트:Takahasi Em200 Temm2 경통: Takahashi Epsilon 180ED 가이드: Pegasus 50ED +DSI 카메라:QSI583WS 노출:L R G B 60+30+30+30 오리온자리에 있는 NGC2170 주변입니다 상당히 어두운 대상 같습니다 제가 바탕이 지저분한 지역은 좋...
    Date2012.12.2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906
    Read More
  7. NGC7635 Bubble Nebula

    거의 매년 한 번 정도는 찍고 지나가게 되는 Bubble Nenula 입니다. 이 사진은 사실 10월 20일 무주 Star Party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옅은 구름이 왔다갔다 하는 사이로 찍어 그리 상태가 좋지 않은지라 미루어 두었다가 QSI683 성능 테스트 의미로 찍은 것...
    Date2012.12.26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709
    Read More
  8. Crab Nebula(M1)

    달 때문에 초저녁 고도가 낮을때 3일에 걸쳐 찍었으나, 광해로 이미지 처리가 매우 힘들고, 그냥 밋밋한 게가 되었습니다.^^ 요즈음 아주 추운 날씨와 좋은 하늘이 몇일 있어서 그래도 밤에는 행복 했습니다.너무 추워서 좀 그런가요?^^ 2013-01-06일 starvil...
    Date2013.01.08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880
    Read More
  9. Tadpoles Nebular (IC 410)...올챙이성운

    2012년에는 사진찍기가 정말 어려웠습니다.. 주말마다 흐리거나 눈비가오고..아니면 월령이 때문에 어렵고.. 2013년에는 맑은 하늘이 많아지를 기원합니다.. 지난번 간만에 굴절을 사용해서 한 컷한 것 올려봅니다.. 밤하늘에서 멀어지고 있는 느낌입니다.. [...
    Date2013.01.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808
    Read More
  10. NGC 1977 (Running Man)

    목요일 날씨가 좋아서 즐거운 마음으로 기대하고 찍었으나, 광축이 살짝 나간듯합니다. 다시가서 광축을 조정해야할듯 .......그래도 처리했으니 즐감하십시요.^^ 2013-01-10일 starvillage.net 별마실관측소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Date2013.01.13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883
    Read More
  11. The Merak & Friends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경통: Takahashi Epsilon180ED 카메라:QSI583WS 가이드:Pegasus 50mm +DSI 노출:L R G B 30: 30: 30: 30 한동안 출사가 어려울듯해서 한번 더 나갔습니다 지난 1월15일은 전국적으로 연무가 가득한 날이였으나 지대가 높은 수...
    Date2013.01.17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009
    Read More
  12. NGC 2359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3년 2월 2일 장소: 강원도 횡성군 노출시간:  15분 6매, 1시간 30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4, 50% 리사이즈 일명 Thor's helmet. 제 눈에...
    Date2013.02.03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802
    Read More
  13. M1 Crab Nebula

    ||1OTA: Planewave CDK431mm (F4.5) Camera: FLI-PL6303E @-45C Mount: Planewave Ascension 200HR Exposure: H=5 x 900s (bin1), L=21 x 300s (bin1), R/G/B=7x300s (bin2) each. (H+L)-RGB Location: New Mexico (iTelescope Remote Operated) 계속되는 흐...
    Date2013.02.10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992
    Read More
  14. 오리온 칼 부분

    매년 찍어주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 부분을 올해도 역시나 찍어봤습니다. 2011년말~12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2568 2010년말~11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787 2009년말~10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332 2007년말~0...
    Date2013.02.1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163
    Read More
  15. IC2177

    2013. 2. 15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50D, iso1600 Ha : 600"×16 날이 많이 따뜻해져서 산에 눈도 많이 녹았더랬습니다. Ha 촬영매수만 생각하다가, 어느새 보니 컨테이너박스 뒤로 갈매기가 숨어버렸습니다.
    Date2013.02.16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694
    Read More
  16. 북아메리카 & 펠리칸 성운

    지난 금요일 날씨가 좋아 장수 무령고개(이정표에는 무룡고개)에 다녀왔습니다. 일찍 도착하여 정자 있는 곳에 올라 주변을 보니 탁 트여 있어 매우 좋더군요. 2년 전쯤에 갔을 때는 구름으로 볼 수 없었던 하늘을 이 날은 저녁내내 보고 왔습니다. 이 날은 ...
    Date2013.02.17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920
    Read More
  17. NGC3372 Eta Carina 대성운

    R.O.로 첫 촬영한 남반구 하늘의 대상이자 남쪽 하늘의 대표적 성운인 Eta Carina입니다. 그런데, 호주 천문대 현지에 바람이 많이 불고 Internal 가이드 세팅에도 문제가 있어 Luminance 10분씩 11장을 찍었음에도 모두 문제가 있어 촬영에 애를 먹었습니다....
    Date2013.02.23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779
    Read More
  18. 행성상 성운 PLN164+31.1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3년 3월 10일 장소: 강원도 횡성군 노출시간: 15분 8매, 2시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4, 50% 리사이즈 전날 횡성에 갔다가 바람이 너무 세게 부는데...
    Date2013.03.12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917
    Read More
  19. 안타레스 주변

    2013. 4. 13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3.75) EM200-ss2kpc Vixen80s, DSI guide astro50D, iso1600 LPS-P2 & LPS-V3-FF : 240"×16
    Date2013.04.13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638
    Read More
  20. 안타레스 주변

    안타레스 부근을 광시야로 진하게 잡아봤습니다. 조리개링만 안돌아갔으면 되는데 렌즈 전면마스킹도 했는데 조리개링이 한단계 돌아가 있었네요. 조리개 산란광땜시 별상이 좀 아쉽지만....또 다음에 찍어보겠습니다. # Date : 2013/04/12 # Location : 경상...
    Date2013.04.20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047
    Read More
  21. Dark .. Antares.. Dark blue horsehead

    ||1SBIG 8300c + 100mm 렌즈. 900s x 12장 Half resize 아름다운 색감은 온데간데없고. 어둠이 뒤덮은 안타레스부근입니다. Dark blue horsehead 오른쪽 위로 사알짝 보입니다. * 깜빡하고 있었습니다. . 하늘이 너무 밝아서 렌즈 앞에 48mm Astronimik CLS f...
    Date2013.04.2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39
    Read More
  22. M1 게성운

    M1 CRAP NEBULA 게성운 2012년 5월 OGS14.5 QSI583 EQ1200 HA 1800 SEC X 3 진짜 오랜만에 사진 올립니다. 이제 숨 돌릴 틈이 생겼습니다. 이 게성운운 작년에 찍었던 사진이고, 김삼진님의 경통을 빌려서 찍었습니다. 테스트 겸, 달랑 세장을 가지고 처리합...
    Date2013.05.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09
    Read More
  23. NGC3372, The Great Eta Carina Nebula

    ||1지난 2월달 시도에 이어 Luminance와 Ha를 추가로 찍고 두번째 시도입니다. 지난번 보다는 좀 더 배경이나 성운기가 자연스럽게 표현이 되어진 듯 합니다만. 광각(비교적?^^) 망원경에 Full Frame CCD로 성상이 예쁘게 나오게 하기는 참 힘이 드는군요. ^....
    Date2013.05.10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756
    Read More
  24. NGC 7129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3년 5월 5일 장소: 강원도 횡성군 노출시간: 15분 8매, 2시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5, 50% 리사이즈 Cepheus 자리에 있는 반사성운입니다. 단위노...
    Date2013.05.12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642
    Read More
  25. M20 삼렬성운

    지난 금요일밤은 날씨가 참 좋았습니다. 그래서 간만에 인터넷을 통해 관측소 뚜껑을 열었습니다. 흔치 않은 기회라서 명작중에 제대로 찍지 못했던 이 녀석을 고르고 초점맞추는데 잘 안맞네요. 아래쪽이라서 시상영향도 많고.. LRGB 네장씩 한 세트 찍고 다...
    Date2013.05.1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815
    Read More
  26. NGC 6334 Cat'sPaw Nebula

    ||1요즘은 장수하늘도 너무 밝아져서 은하수가 그냥 조금만 보이는 날이 많네요.. 5월 20일 M13 TEst후 전갈꼬리가 간만에 보여 Test 용으로 Ha, Oiii Image 만 찍어보았습니다. CAA 250 + 16803 TEst Shot , 3x3 Binning, 각 600sec 각 5장씩. 원본크기입니...
    Date2013.05.2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703
    Read More
  27. M27 아령성운

    21일, 야근하고 퇴근하는데 날이 맑더군요. 달이 지는 시간을 스카이사파리에서 찾아보니 한시 반정도. RO 문열고 삼렬성운 좀 더 찍어 볼까 이리 저리 돌아 댕기다.... 남쪽은 영 시원치 않은 분위기라서 천정에 있는 아령을 조금 찍는데, 금방 날이 밝더군...
    Date2013.05.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99
    Read More
  28. Antares

    ||12013년 4월 여러날.. 해마다 이 부위를 찍어 보지만.. 정말 날씨 좋은날 진하게 찍어보고 싶네요.. FSQ + 16803: RGB 2x2 300s 5장, 3x3 300s 5장.. 입니다. 요즘 너무 사진을 크게 올리는것 같아서 3x3 binning크기, 주변부 Crop 하고 올립니다.
    Date2013.05.2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00
    Read More
  29. 여름철 남쪽 은하수에 담겨있는 성운들

    ||1FLI 16803 + Pentax 67 90mm lens (-> F5.6) / LRGBHa 1x1 각 600sec / 1장씩 . / 사진이 너무 커서 1/4로 줄여서 올립니다. 아래는 원본크기의 좌우를 잘라내고 중심부만 올려봅니다.
    Date2013.06.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42
    Read More
  30. M57 고리성운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3년 6월 15일 장소: 강원도 횡성군 노출시간:  15분 8매, 2시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6, 1024x1024로 잘라 낸 원본 이미지 하늘은 개었...
    Date2013.06.1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765
    Read More
  31. M20 삼열성운

    Imaging Date: L -- May 4th, 2013 RGB--May 10th, 2013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self guide Imaging Camera: SBIG STL 11000 ( -30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300se...
    Date2013.06.19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886
    Read More
  32. Eta Carina nebular(ngc3372)

    에타 카리나성운 - 남반구에서 볼수 있는 성운으로 오리온성운의 8배 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서호주 탐사에 가져간 SKY90망원경(리듀서 사용으로 409mm)으로 화각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200mm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성운을 모두 담는데 효과적이라는 생...
    Date2013.08.14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68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