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Running Man( NGC 1977)

    요즈음 다른 취미에 정신이 홀딱 팔려서 하늘 보는 일이 뜸해져서 모처럼 인사드립니다. 이제는 재철이니 한번 열심히 달려 보겠습니다.^^ 이쪽 지역이 인공위성 길목인듯 영 신경 쓰입니다.^^ 찍는것부터 처리까지 생소함 마져듭니다. 회원 여러분! 즐거운 ...
    Date2011.12.2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058
    Read More
  2. 111222_ngc2264

    111222_ngc2264 12월 22일 목요일 밤에 아산에서 촬영한 크리스마스용 입니다. 이날은 밤새 날이 좋아서 간만에 즐거운 마음으로 촬영할 수 있었씁니다. 조진원씨, 임경순씨가 함께 했었씁니다. 동장군이 찾아와서 좀 춥기는 했지만 그래도 날이 맑다는 것으...
    Date2011.12.2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945
    Read More
  3. IC 2169 주변

    어제 저녁부터 새벽 2시까지 촬영한 사진입니다. 날이 맑을 것 같아 5시쯤 시골집으로 출발했는데 도착하고 보니 계속 구름이 오락가락..정확히 한달 만에 마당에 홀로 주인을 기다리던 망원경이 별빛을 쬐었습니다. 오락가락하던 구름은 10시 가까이 되니 사...
    Date2011.12.26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931
    Read More
  4. 111226_ic443

    111226_ic443 12월 25일 성탄절 밤 하늘이 좋아서 가족과의 저녁 약속도 펑크내고 아산으로 달려 갔었는데..... 찍을 만한 시간이 되자 하늘에 별과 구름이 함께 하면서 눈이 조금씩 내리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새벽에 철수를 하였지요. 그리고 다시 월요일 ...
    Date2011.12.2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86
    Read More
  5. 별자리 오리온과 장미성운

    올릴까말까 고민하다 기록차원으로 올립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다크가 잘 안빠진건지, 바탕이 마음에 안 듭니다. 관측소의 지역적 특성상 남쪽 하늘은 광해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라 더 이상 좋은 작품도 안 나올 것도 같습니다. LHa+RHa+G+B 합성을 하려고 했...
    Date2011.12.2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214
    Read More
  6. 별자리 카시오페이아 주변부

    방학이 좋긴 좋습니다. 학기중과 다름없이 하루 종일 학교에 나가서 근무를 하지만 그래도 수업이 없고, 마음의 여유가 있어선지 밀렸던 이미지에 손이 가게 됩니다. 데이터를 보니 11월 20일 촬영, 한달이나 더 된 묵은(?) 이미지네요. 가을의 대표적인 별자...
    Date2011.12.2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133
    Read More
  7. 별자리 황소와 마차부

    요즘 제가 찍는 광시야 사진은 화각(가로 35도)이 크다보니 아무래도 고도나 지역적인 광해 영향이 만만치 않습니다. 천정 부근을 지날때 맞춰서 찍어야겠습니다. Sh2-240, 정말 어둡네요. 이렇게 한 화각으로 보니, 주로 찍는 대상들의 밝기와 크기 비교에 ...
    Date2011.12.3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999
    Read More
  8. M42 ( 오리온자리 대성운 )

    별상도 좋지 않고 사진은 좋지 않지만, 정말 오랜만에 (5년 ?) 찍어본 천체사진입니다. 미러리스 카메라인 NX200 으로 찍었습니다. 냉각CCD 카메라 보다 못하지만, 간편하게 찍기에 알맞은 것 같습니다. 망원경 개조 및 카메라 정비후 본격적으로 천체사진을 ...
    Date2012.01.0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258
    Read More
  9. IC405 & 410

    겨울철 한번은 찍어보게 되는 대상입니다. 카메라의 화각과 대상의 방향이 잘 맞지 않아 간신히 두 대상을 넣어 보았는데 주변부 여유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카메라의 구도를 원격으로 바꾸는 로테이터가 해결책인데 가득이나 접안부가 무거워서 엄두가 안납...
    Date2012.01.0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029
    Read More
  10. IC1795 - North Bear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 -40) -SII : 1200초X34장(1X1) -Hα : 1200초X15장(1X1) -OIII : 1200초X18장(1X1) -2011. 10/22, 10/25, 10/30, 12/24, 12/25, 12/27 IC1805(...
    Date2012.01.08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489
    Read More
  11. IC 2118 (Witch Head Nebula)

    오리온 리겔 오른쪽에 있는 생긴 그대로 마귀할멈 성운인데 별만세 관측소의 취약구역인 남쪽의 고도가 낮은 지역에 있다 보니 광해 때문에 촬영이 쉽지 않습니다. 남중이전까지 찍다보니 노출시간이 부족하여 바탕이 매끄럽지 않네요. 다음 월령에 노출시간...
    Date2012.01.1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63
    Read More
  12. vdB 152 in Cepheus

    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흑룡 모양의 유명한 암흑성운인데 화각이 작은 반사경통으로 찍다보니 머리부분만 보입니다. 지난해 가을에 찍어놓고 방학 여유시간을 이용하여 이제야 이미지처리를 하였습니다. 꽤 많은 시간 노출을 하였는데도 습도가 높고 여름에 비...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46
    Read More
  13. IC443 (Jellyfish Nebula) in Gemini

    쌍둥이 발밑에 있는 해파리성운으로 작년 겨울에 찍어서 천체사진전에 출품하였던 작품인데 다른 작품이 입상하면서 들러리가 된 녀석입니다. 12월에서 2월까지 촬영한 이미지 중 13시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는데 자연스런 별색을 강조했습니다. [촬영정보] O...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02
    Read More
  14. Simeis 147~~~

    서천동 번개관측으로 양평에서 찍은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입니다.. SH2 240 또는 Simeis 147로 불리는 어두운 대상입니다.. 카메라렌즈로 얼마나 찍힐지 테스트겸했는데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담에 광해가 적은 어두운 곳에 가서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벌써 ...
    Date2012.01.1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66
    Read More
  15. 오리온의 칼 부분

    이 부분은 매년 찍어도 항상 새로운 곳이라,  매년 한번씩 찍어보고 있는데 올해도 찍어보니 또 다른 뭔가가 있네요...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건강들 잘 챙기시고요 # Date : 2012/01/23 #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 Equipment...
    Date2012.01.25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332
    Read More
  16. Rosette Nebula

    Object:NGC2237 Date: 2012/1/27 Telescope: TEC140(WO4 Reducer) f5.6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900s*6장) RGB(400s*4장) Guiding: 80mm 빅센/DSI2mono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괘석리 오랜만에 촬영장비를 세팅해봤습니다. 그동...
    Date2012.01.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02
    Read More
  17. The Jellyfish nebula

    파악 퍼지는 독구름을 잘 잡아보고 싶었는데.... 조금 노출이 아쉽습니다. 아마 Kai11002 의 Ha 영역 Q/E가 30% 정도로 낮아서 그런 듯 싶습니다. (CCD바꾸기전 Kaf8300 은 Ha영역 Q/E 가 48% 이고, 요즘 신형 KAF16803 도 비슷한 감도....부러워요~) 기회되...
    Date2012.01.3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068
    Read More
  18. IC410 - Tadpole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40) -SII,Hα,OIII,L,R,G,B : 16시간 48분 -2011. 12/29, 12/30, 01/25, 01/29 원래 계획했던 것 보다는... 촬영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지만... 나...
    Date2012.01.3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677
    Read More
  19. The Seagull nebula

    1월 29일은 상현달이었지만, 날씨가 워낙 좋아서 일요일밤을 노리고 경춘 고속도로를 달렸었습니다. 너무 맑은 날씨 때문에 상현달이 너무 밝아서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 달이 지기 전에 Ha 이미지를 찍고,   달이 서쪽으로 넘어간 다음부터 ...
    Date2012.02.1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225
    Read More
  20. IC405 & IC410 ~~

    안녕하신지요~~ 설매재에서 구름 사이로 찍은 성운들입니다.. 새로 영입한 메그레즈72를 테스트하러 나갔는데... 어댑터를 놓고 가는 바람에 이틀 연속 썰매를 탔습니다.. 이틀째에는 구름이 오락가락해서 RGB를 한장씩 밖에 쓸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색감...
    Date2012.02.16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66
    Read More
  21. IC443

    2012. 2. 18~19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 GPD-ss2kpc astro400D Ha iso1600 600"×9 LPS-P2 iso 1600 180"×5 1월에 찍었어야하는데... 관측지에 도착하니 이미 자오선을 넘어가네요.
    Date2012.02.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992
    Read More
  22. 말머리와 오리온 대성운

    Object:말머리와 오리온 대성운 Date: 2012/2/18 Lens: 시그마150mm마크로 F2.8(at F3.2)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6장) RGB(300s*3장) Guiding: 80mm 빅센/DSI2mono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렌즈 별상을 잡기 전에 촬영한 이...
    Date2012.02.1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289
    Read More
  23. 국민성운 M42

    ||1경통: Vixen ED81S, x0.8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2년 2월 18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5분 12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50% Resize 새로 촬영장비 세팅하고 처음 제대로 찍어봤네요. ...
    Date2012.02.20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206
    Read More
  24. 120219_m1

    120219_m1 이번에는 정말 테스트 사진 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GSO 10RC와 이번에 ADT에서 개발한 HD58RC의 조합으로 성능 테스트를 한 것 입니다. 2월 18일, 토요일은 맑고 투명한 하늘에서 함박눈이 내리는 진기한 현상을 경험하면서 그냥 날을 지새울 뻔...
    Date2012.02.2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204
    Read More
  25. NGC 1514 (수정구슬성운, Crystal Ball Nebula)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2ME 일시: 2012년 2월 18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분 40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RGB를 나누어 찍었다고 생각했는데 전부 L만 찍혀서 흑백 사진으로 ...
    Date2012.02.2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399
    Read More
  26. NGC2239

    2012년 3월 12일 떠오르는 달을 보면서... 적도의 - ASTRO DREAM TECH MORNING CLAM 300GE 카메라 - QSI583ws 망원경 - PENTAX105 가이드 - GHY5 - RGB 400초씩 2장 L-600초씩 5장 MAXIM 합성 PHOTOSHOP CS5
    Date2012.03.13 CategoryNebula By조진원 Views901
    Read More
  27. m8 & m20

    2012. 3. 25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400D Ha iso1600 480"×8 LPS-P2 iso800 300"×8 아직은 찍기에 이른감이 있었지만, 단초점 굴절로 재미볼만한 대상이 없는 시기같습니다. 대~ 충 맞춘 구도가 조금 아쉬움을 남깁니다.
    Date2012.03.2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877
    Read More
  28. 백조자리 꼬리부근.

    CCD용 광시야 장비 세팅을 Pentax67 계열은 블루채널 때문에 폭삭 망하고 Mamiya645 렌즈 계열로 다시 시작해보고 있습니다. 일단 200mm F2.8 APO렌즈와 Mamiya 645 Sekor C 80mm f1.8 렌즈를 준비해서 테스트해보고 있는데 어댑터 설정을 조금 더 하면 쓸만...
    Date2012.04.0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264
    Read More
  29. m17

    2012. 4. 24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400D Ha iso1600 600"×12 LPS-P2 iso1600 300"×6 16과 함께 넣을려다가 그냥 독사진 찍어줬습니다.
    Date2012.04.24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785
    Read More
  30. M16

    * Location : 경남 의령군 한우산 무풍지대 * Telescope : TEC140 fl980mm (F7.1) * Mount : Takahashi Temma2 * Camera : SBIG ST-10XE-CFW10 / Astrodon Ha(5nm)-HaRGB Filter set * Exposure : Ha 900s*6 / RGB 300s*1 (T.T) * Date : 2012. 4. 24 동호회 ...
    Date2012.04.25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103
    Read More
  31. Rho Ophiuchi Nebula and Antares [안타레스 주변]

    촬영지:강원도 화천 20120427 광학계: Tokina 300mm f4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카메라:QSI583WS 가이드:Borg50ed + DSI 노출:L600s x 7 RGB400s x 5 안타레스를 담으러 화천에 갔습니다 낮은 고도라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느라 장비들고 밤12시에 높은...
    Date2012.04.29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112
    Read More
  32. M8 & M20 영역

    한여름 남쪽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상인 M8(석호성운) 및 M20(삼렬성운) 부분을 찍어봤습니다. M8 영역은 좌측의 일명 곰발바닥(!) 부분 까지의 Ha 성운대, 붉은 빛을 살려야 제맛이고 M20 영역은 푸른 반사성운을 잘 살려줘야 하는데 아직 내공이 좀 부족...
    Date2012.04.2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1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