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ST-4000XCM으로 찍은 오리온 대성운

    요즘 다른 분 소유의 장비를 다루는 일이 많네요. 부산 천문 동호회원 한 분께서 ST-4000XCM을 구입하셔서 테스트 차원에서 찍어보았습니다. 장비는 모두 그분 것이고 기본 촬영 세팅은 제가 해드려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기록 차원에서 하나 올려둡니다. 맥...
    Date2008.02.05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966
    Read More
  2. Tadpoles Nebular (IC 410)...올챙이성운

    2012년에는 사진찍기가 정말 어려웠습니다.. 주말마다 흐리거나 눈비가오고..아니면 월령이 때문에 어렵고.. 2013년에는 맑은 하늘이 많아지를 기원합니다.. 지난번 간만에 굴절을 사용해서 한 컷한 것 올려봅니다.. 밤하늘에서 멀어지고 있는 느낌입니다.. [...
    Date2013.01.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808
    Read More
  3. The California Nebula, NGC1499

     < The California Nebula >  제목 : The California Nebula, NGC1499 망원경/렌즈 : Fsq106 카메라 : Zwo 1600mm / QHY10 마운트 : RainbowAstro RST-135  / EQ6 필터 : 아스트로노믹 6나노  노출정보 : Ha 400s x 138 = 15시간 20분  /  RGB 600s x 42 =...
    Date2020.01.03 CategoryNebula By공양식 Views520
    Read More
  4. The Carina nebula, NGC 3372

    오랜만에 날이 좋았습니다. 새로운 장비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미지 처리도 아직 서툴고, dark도 정확히 처리되지 못했고, 이것저것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Ha 사용한적이 거의 없었는데, 성운은 ...
    Date2006.02.28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881
    Read More
  5. The Dark Tower Of Scorpius

    전갈자리의 검은탑성운으로 불리는 암흑성운입니다. NGC6231의 가까운 곳에 있으며 암흑성운인 관계로 잘 보이거나 찍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별의 생성이 활발한 지역으로 표면온도가 높은 젊은 별에서 에너지를 얻어 프르게 빛나는 반사성운도 곳곳에 보입...
    Date2016.09.2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51
    Read More
  6. The Great Orion Nebula

                  제목 : The Great Orion Nebula 망원경/렌즈 : Takahashi FCT-100+FCT-100 Reducer 카메라 : QHY 268C 마운트 : Rainbow Astro RST-135 + Photoclam Astro 44 tripod 필터 : Baader Ha (7nm) 노출정보 : 600s x 20 shot(Ha), 600s x 8 shot (RGB...
    Date2021.01.21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229
    Read More
  7. The Heart Nebula

    3달에 가까운 우기 덕분에 답답해하면서,  많은 장비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신형노트북은 wife 한테 뺐기고,  적도의는 어찌하다보니 ieq45 중고를 공수해오고, CCD는 한EU FTA 기념으로 영국에서 한세트 공수하고, 입실론180ed는 사경에...
    Date2011.09.04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82
    Read More
  8. The Helix Nebular

    ||1많은 분들이 찍으셨지만 저는 3년만에 수차례의 시도 끝에 처음으로 마무리 한 대상이네요. 저에게는 애증의 대상이랄까요...ㅎㅎ 디테일 위주로 잡아봤습니당. 사진은 언제나 처럼 큰 사이즈로 올려봅니다. # 촬영정보 : 2010/10/09 강원도 홍천군 * Equi...
    Date2010.10.10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00
    Read More
  9. The Iris nebular, ngc7023

    광해가 많은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잡기 힘든게 암흑성운 찍기 인 것 같습니다. 산광성운들이야 적당한 필터를 쓰면 잡아지기는 하지만, 암흑성운은 어떠한 필터를 쓰지 않아야 나오는 대상이다보니, 적정 노출량을 확보하기 힘이 듭니다. 몽골 하늘 이야기...
    Date2010.10.1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01
    Read More
  10. The Jellyfish nebula

    파악 퍼지는 독구름을 잘 잡아보고 싶었는데.... 조금 노출이 아쉽습니다. 아마 Kai11002 의 Ha 영역 Q/E가 30% 정도로 낮아서 그런 듯 싶습니다. (CCD바꾸기전 Kaf8300 은 Ha영역 Q/E 가 48% 이고, 요즘 신형 KAF16803 도 비슷한 감도....부러워요~) 기회되...
    Date2012.01.3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068
    Read More
  11. The Lagoon Nebula M8

    Object: The Lagoon Nebula M8 in Sagittarius Exposure: Composite of one 134seconds and one 126seconds, ISO1600 Exposure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ujifilm FinePixS2Pr...
    Date2003.04.07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2750
    Read More
  12. The Merak & Friends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경통: Takahashi Epsilon180ED 카메라:QSI583WS 가이드:Pegasus 50mm +DSI 노출:L R G B 30: 30: 30: 30 한동안 출사가 어려울듯해서 한번 더 나갔습니다 지난 1월15일은 전국적으로 연무가 가득한 날이였으나 지대가 높은 수...
    Date2013.01.17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009
    Read More
  13. The North America Nebula - NGC7000, 2003년 6월 1일

    Object: The North America Nebula - NGC7000 in Cygnus Exposure: F4, 181 secondS, ISO800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Nikon 300mm lense + s2pro Mount: Tak. NJP Guiding: None Location: KOREA Date: 06/01/2003 KS...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2512
    Read More
  14. The Rosette Nebular

    ||11년에 한두번씩 꼭 찍어보는 대상인데, 작년보다는 많이 나아진 듯 해서 다행이라 생각중 입니다. 촬영일에 바람이 좀 심하게 불어서 조금 아쉽기는 합니다만, 뭐 좀 아쉬워야 다음에 뭔가 더 좋아지겠죠. # 촬영정보 : 2010/10/15 강원도 인제군 * Equipm...
    Date2010.10.17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03
    Read More
  15. The Seagull nebula

    1월 29일은 상현달이었지만, 날씨가 워낙 좋아서 일요일밤을 노리고 경춘 고속도로를 달렸었습니다. 너무 맑은 날씨 때문에 상현달이 너무 밝아서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 달이 지기 전에 Ha 이미지를 찍고,   달이 서쪽으로 넘어간 다음부터 ...
    Date2012.02.1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225
    Read More
  16. The witch head nebula (IC2118, 마녀머리성운)

    마녀머리성운을 한번 찍어 봤습니다. 오리온 자리의 우측에 있고, 시간에 맞는 마땅한 대상이 애매해서 한번 시도해 보긴 했는데, 시간 계산을 잘못해서 그런지.....Blue 채널 1장 찍어지고 천문박명이 도래 했습니다. B채널 1장 가지고 처리 하다보니 배경이...
    Date2011.10.07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52
    Read More
  17. Thor's Helmet Bubble nebular (ngc2359)_2013년 서천동 마지막 정관에서...

    ||1방내리 서천동 2013년 마지막 정관에서 가이드 카메라 오류로 하루 공치고 그 다음날 낚은 헬멧입니다... [2013. 12. 28. 강원도 홍천군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10inch newtonian(f/4.6) Camera : QSI583wsg, Lodestar guide CCD camera Mount : Taka...
    Date2013.12.31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890
    Read More
  18. Thor's Helmet NGC2359

    ||1------------------------- 20071208 횡성 온누리팬션 Orion 10" F4.8 EM200TPC EOS 350D 1600 x 6min x 15매 50% 리사이즈후 중심부 크롭 ------------------------- 역시 가이드 문제로 지난 사진보다 별이 더 길~쭉하지요? 리사이즈를 좀더 해야 할텐데...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651
    Read More
  19. Thor`s Helmet(NGC2359)

    큰개자리에 있는 헬멧모양을 닮은 성운입니다.(크기 9'x9') 12월22일 자정 이전에는 FWHM의 값이 3.5이하로 잘 내려가지 않을 정도로 시상이 않좋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별상이 좀 커보이고 디테일도 부족합니다. ADT Kastron 12.5 + AP EQ1200 GTO + STL11000...
    Date2006.12.2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253
    Read More
  20. Thor`s helmet(NGC2359)

    예쁘게 찍어볼려고 했는데 어렵습니다. 별상이 왕방울만해져서.. ㅠㅠ TOA with 6303 L 1200s x 5장. RGB 600s x 3장.. 전북장수.. 무령고개.. * 색감이 원래 초록색인데.... GB channel이 바뀐것같기도 하구요..ㅠㅠ
    Date2009.0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60
    Read More
  21. Trapezium in M42

    역시 분당 전원주택지에서 찍은 마지막 사진입니다. 구성 별들이 대부분 찍힌 것 같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15도) - L=20초X 50장(1X1) R=20초X 20장, G=20초X 20장, B=20초X 2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Date2003.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42
    Read More
  22. Tulip Nebula

    튜울립성운입니다!   오랜만에 하니 모든 것이 익숙치 않습니다. 하지만 뭐 그럭저럭 입니다. 역시 협대역필터는 적어도 하루 종일은 찍어야 할 듯합니다. Crux적도의의 신 기능 MF모드를 써서 행복 했습니다. FDK250 Crux200MF ASI2600MM HOBYM Observatory 2...
    Date2024.05.1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8
    Read More
  23. uhc & 원샷냉각ccd 테스트

    말머리성운 : fs60c, st2000xcm, em200, uhc필터 8분1장+10분*1장 장미성운 : 동일조건 5분2장 uhc와 원샷 냉각ccd궁합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st2000xcm에서도 원샷컬러라서 그런지 붉은색 표현이 힘들었는데 만족 스럽습니다.^^ 이전 lps와 dslr 10d에서 보...
    Date2006.04.01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134
    Read More
  24. V1647 Ori....

    생각난김에... 예전 이미지를 재처리 해보았습니다. 예전 게시물은...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dso&no=978 촬영 데이터는 위와똑같구요... 대신 RGB 합성을... 다른방법으로 해보았습니다. RGB에 해당하는 필터를... Johnson RV...
    Date2006.01.05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900
    Read More
  25. V1647 Orionis / McNeil 성운

    1월 초에 승남씨가 사진올린것을 보고... 레몬산 1m 망원경으로 몇장찍어달라고 부탁을 했었습니다. 1월 한달은 보고서 쓰느라.. 이제이미지 다운받아서 처리해봤습니다. . 컬러 이미지를 만들것은 아니었고... 그냥 위치 확인정도만... ^^ . 작은 이미지는 ...
    Date2006.01.27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969
    Read More
  26. vDB 141 Ghost Nebula

    vDB 141 "Ghost Nebula" --------------------------------------- FSQ-106ED(FL=530mm) and QSI683wsg (DSW data @Rowe, NM) SHO Filters: 14.2 hours Higher resolution(full): http://www.astrobin.com/270247/C/ ---------------------------------------...
    Date2016.11.09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39
    Read More
  27. VDB 142, IC1396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거대한 성운인 IC1396과 그 내부에 있는 vdb142성운으로 코끼리코(Elephant Trunk)라는 애칭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망원경: VDB132 :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IC1396 : FSQ106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
    Date2011.06.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525
    Read More
  28. VDB 152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25, -40, -40) -L : 300초X21장(1X1) -RGB : 각 300초X7장씩(2X2) -2007. 10/14, 11/12, 12/4 이 대상만 몇날 몇일을 찍었는지 모릅니다. 9월...
    Date2007.12.29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101
    Read More
  29. VDB 152

    이 부분들도 더스트들이 많은 곳이죠.. 이버 여행에서의 촬영 준비는 주로 LRGB로 승부를 낼 수 있는 대상으로 별을 자연스레 많이 찍히게 하는데 있었습니다. 이 대상 역시 배경의 아두운 부분을 살려내는데 역점을 두어 별이 많이 부은듯 나왔습니다. 하지...
    Date2010.11.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11
    Read More
  30. vdB 152 in Cepheus

    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흑룡 모양의 유명한 암흑성운인데 화각이 작은 반사경통으로 찍다보니 머리부분만 보입니다. 지난해 가을에 찍어놓고 방학 여유시간을 이용하여 이제야 이미지처리를 하였습니다. 꽤 많은 시간 노출을 하였는데도 습도가 높고 여름에 비...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46
    Read More
  31. vdb141 Ghost nebula

    Telescope : Planewave CDK14 (D:356mm, fl:2563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50mm square true balance gen2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ZWO ASI174MM Exposure : L 600s x 50(1x1bin), RGB each ...
    Date2018.10.10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80
    Read More
  32. Vdb142

    IC1396 내에 있는 Vdb142으로, 사진으로만 볼수 있는 멋있는 대상입니다. 2005년 6월 12일 덕초현천문인마을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60m, 15, 15, 15 2장 모자익 처리를 하려는 사진이었으나, 후반부에 구름이 끼면서 아직까지 다시 찍을 기...
    Date2005.09.0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