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Sh2-112

    Date: 2008. 09. 06~07(양평군 양동면)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600s*3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어떤 대상을 골라볼까 고민하다 스테리나잇에서 백조 데네...
    Date2008.09.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98
    Read More
  2. Sh2-112

    습도가 높은 날은, 천정부근의 대상을 삼가야겠다고 절실히 느낀 날이었습니다. 촬영 시작후 1시간이 지난 사진들은 이슬을 살짝 머금었는지 다크가 잘 빠지지 않아 처리에 애를 먹었습니다. 우라노 성도보면서 어둡지만 새로운 대상들을 찍어보고 있는데, 네...
    Date2009.08.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03
    Read More
  3. Sh2-129 & Ou4

    나는 박쥐 성운 (Flying Bat Nebula) Sh2-129와 거대 오징어 성운 (Gaint Squid Nebula) Ou4입니다. Ou4는 워낙 어두운 대상이라 신정욱님과 함께 촬영하여 데이터를 합쳤습니다. 바더 내로우밴드 필터에서 발생하는 halo가 거슬리는데 실력 부족으로 지우기...
    Date2018.09.12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03
    Read More
  4. Sh2-132 & Sh2-261

    위는 케페우스 자리에 있는 발광성운 Sh2-132이고, 아래는 오리온자리에 있는 발광성운 Sh2-261입니다. 두 녀석 다 사전 정보 없이 성도만 보면서 무턱대고(?) 찍어본 대상입니다. 무척 어둡긴 하지만 유명한 대상들만큼이나 굴곡이 좀 있네요. 다음 기회에 ...
    Date2008.01.1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17
    Read More
  5. Sh2-132 in Cepheus

    기말고사 기간동안 재고를 줄이려고 마구 올립니다. 양해바랍니다...^^ Cepheus 자리의 거대한 성운인 IC1396로 부터 동쪽으로 떨어져있는 보름달 크기정도(30분X20분)의 어두운 성운입니다. 지난 6월22일 날이 비교적 좋았지만 자정 이후 월령20일의 밝은 달...
    Date2008.07.0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22
    Read More
  6. SH2-132 사자성운

    사자성운입니다. 매우 어두워촬영매수를 확보한다고 하였으나 좀 부족합니다. 협대역 필터로 촬영한 사진을 보면 실망스러운 결과지만 별이 많고 아름다워 위안을 삼습니다.  WO Spacecat51 Crux140Traveler  QHY247C + STC Duo filter 400sec X 16 2019/10/29
    Date2019.11.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6
    Read More
  7. SH2-140, 145, 150

    Telesocpe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SBIG RemoteGuideHead Exposure : L 600s x 40(1bin),...
    Date2017.11.27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69
    Read More
  8. Sh2-142 (NGC 7380)

    대전에서 FC-100DF로 H-a만 촬영한 적이 있는 대상인데, 날씨가 너무 구려서 이 대상을 올해 촬영은 더 힘들 것 같습니다. 내년에 SHO 노출을 늘려서 국내버전도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일단, 뉴멕 버전입니다.  --------------------------------------- FSQ-...
    Date2016.11.08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34
    Read More
  9. Sh2-155 Cave Nebula

    세페우스자리 Sh-155 (Cave Nebula)입니다. 한 시야안에 산광성운, 반사성운, 암흑성운 모두 모여있는 아름다운 필드입니다. 그러고보면 세페우스자리 주변에 보석들이 드글드글하는 것 같습니다. --------------------------------------- FSQ-106ED(FL=530m...
    Date2016.10.29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34
    Read More
  10. SH2-155 Cave nebula

    Telescope : Planewave CDK14 (D:356mm, fl:2563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ZWO ASI174MM Exposure : L 900s x 30(1x1bin), RGB 900s...
    Date2017.11.24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37
    Read More
  11. sh2-157 & ngc7510

    장마철이지만, 모처럼 좋은 날씨를 보여주었던 지난 9일 촬영했습니다. 벌써 이 대상을 3일째 겨누었지만 워낙 어두워 네로우로 찍기엔 역부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간간이 지나가는 구름들에 의해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버리게 된 프레임도 무지 많...
    Date2008.07.1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005
    Read More
  12. Sh2-157 in Cassiopeia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버블성운옆에 있는 60분X50분 크기의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생긴 모양이 집게벌레와 흡사합니다. 11월5일 새벽에 찍었는데 투명도가 떨어지고 바람의 영향도 좀 있어서 별상도 좀 않좋고 이미지가 선명한 느낌이 안나네요. 망원경: ADT Ka...
    Date2008.1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84
    Read More
  13. SH2-202

    Telescope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SBIG RemoteGuideHead Exposure : L 600s x 38(1bin), ...
    Date2018.10.15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40
    Read More
  14. Sh2-231~3, 235

    ||1며칠동안 좋은 날씨에 계속 찍기만 했지, 방학전 바쁜 일정에 이미지 처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름들이 오갔나요? 바탕이 좀 거치네요. 오랜만에 RGB 처리를 해보니 별색 내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동안 SDP로 딥스카이 찍으면서, 함께 올려놓은 냉각5...
    Date2009.12.2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490
    Read More
  15. sh2-240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2-15(목요일) / 강원도 수피령 - Ha:R:G:B = 60(min):30:30:30 (-40도) Ha 15min*4(1*1), RGB 각각 10min*3...
    Date2007.02.1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73
    Read More
  16. Sh2-240

    fd300 별상이 아직 안잡혔는데 어댑터 문제보다는 광학계 자체의 문제가 큰 것 같아 속이 많이 쓰립니다. [촬영정보] - FD300 (전면 마스킹, F4)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with 125SDP - ...
    Date2008.12.0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356
    Read More
  17. SH2-240

    맑았던 하늘이 한우산에 올라가는 순간 구름 가득에 눈발까지 날리길래, 실로 오랜만에 삼랑진 천태공원을 찾았습니다. 근데 거기가 원래 그래 밝았던가... 아님 최근에 밝아진건지. 하늘이 회색이더군요. 벼르고 찍었건만 배경이 너무 타버리고 매수부족이라...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65
    Read More
  18. SH2-240 스파게티 성운

    제목 :SH2-240 망원경/렌즈 : FSQ106ED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AP EQ1200GTO 필터 : Astrodon HaLRGB 노출정보 : Ha 20분x11장 RGB 10분x10장씩 촬영장소 :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촬영일시 : 2014년 크리스마스 전후 촬영후기 : 오리온자...
    Date2014.12.2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656
    Read More
  19. SH2-240 재도전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2-15, 2-19 / 강원도 수피령 - Ha:R:G:B = 180(min):60:60:60 (-40도) Ha 15min*12(1*1), RGB 각각 10min*6...
    Date2007.02.2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276
    Read More
  20. SH2-240(Simeis147)

    ||1-NADA 제1천문대 -PENTAX 67 SMC 165mm F2.8 -> F4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Hα : 2400초X24장(1X1) -RB : 각 300초X23장씩(1X1) -G : 300초X24장(1X1) -Hα:R:G:B=960:115:120:115 → 총노출 : 21시간 50분 -five frame mosaic -2008. 12/0...
    Date2009.01.1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265
    Read More
  21. SH2-261

    어두운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샤프리스 목록 261으로 오리온의 방망이 근처에 있으며 크기는 39분X15분입니다. 이틀간 노출을 주었는데 바람 때문에 여러 장을 버렸고 앞의 날 찍은 것과 다음날 찍은 것 사이에 얼라인이 어긋나서 일부 귀퉁이의 별이 어긋...
    Date2010.01.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44
    Read More
  22. SH2-261

    어두운 대상이라서 촬영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 했습니다. 디지탈 현상은 손을 대면 댈 수록 좋아집니다만 시간이 별로 없는 관계로 아쉬움이 남습니다. 오리온 자리 왼편에 있는 대상입니다. 처음 촬영하지만 특이점은 보이질 않습니다. 별들이 아름다워 별...
    Date2019.11.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6
    Read More
  23. Sh2-264 Angelfish 성운

    엔젤피쉬 성운입니다. 상당히 어두운 성운이라 R64필터를 끼고 찍은 사진과 그냥 찍은 사진을 합성하였습니다. 촬영할 때 구름이 오락가락하더니 밝은 별 주위가 부었네요. 촬영일시: 2009.12.18. 22:50~25:24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6도~-19도 렌즈: 삼양...
    Date2009.12.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582
    Read More
  24. SH2-274 메두사 성운

      작년에 촬영했던 이미지인데 다시 재처리해봤습니다. 초점거리와 센서크기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좀 작게 나오는 녀석이라 적당히 크롭한 이미지를 올려봅니다. ㅎ 처음엔 왜 메두사라고 이름이 지어졌는지 궁금했는데 계속 보다보니 머리 위에 꽈리를 틀고있...
    Date2023.10.26 CategoryNebula By김영대. Views40
    Read More
  25. SH2-5 Region

    전갈자리 꼬리쪽에 있는 어두운 대상입니다. 하지만 주변으로는 많은 NGC, SH, VDB, PK넘버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원래 원정기간이 짧으면 촬영을 안 했을 지역이지만 겨눠보았습니다. 천천히 보다보면 많은 보석들이 숨어 있는 지역입니다. 초점거리 1500에 ...
    Date2016.08.3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63
    Read More
  26. Sh2-86 (NGC 6820, NGC 6823) - SHO

    Sh2-86은 여우자리의 M27 근방에 있는 발광성운(H II region)인 NGC6820과 산개성단 NGC 6823으로 이루어져있는 Sharpless 목록 천체입니다. Pelican Nebula(http://www.astrobin.com/262172/0/)에서와 같이 Trunk같은 구조가 여기서도 발견됩니다. 산개성단...
    Date2016.10.09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28
    Read More
  27. Sharpless 232 (Sh2-232)

    마차부자리 오각형 안에 있는 많은 성운 성단중에 모양이 제각각인 성운들입니다. 왼쪽 큰 성운으로 부터 오른쪽으로 Sh2-232, Sh2-235 (제일 밝은 성운), Sh2-231, Sh2-233 순서입니다. 이 부근은 새롭게 찍을 뭔가를 고르고 고르다가 찍어본 대상입니다. 흐...
    Date2008.03.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883
    Read More
  28. Simeis 147 스파게티 성운

    확실히 어두운 대상이 맞나봅니다. 생각했던 만큼 스파게티 면발이 제대로 살아나지 않네요.  사실 작년말에 마무리 해놓은 이미지인데 생각나서 내친김에 이미지 재보정해봤습니다.  이제 이미지처리할 만한 재고도 다 떨어졌고... 다시 틈틈히 촬영해봐야겠...
    Date2021.04.26 CategoryNebula By김영대. Views360
    Read More
  29. Simeis 147~~~

    서천동 번개관측으로 양평에서 찍은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입니다.. SH2 240 또는 Simeis 147로 불리는 어두운 대상입니다.. 카메라렌즈로 얼마나 찍힐지 테스트겸했는데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담에 광해가 적은 어두운 곳에 가서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벌써 ...
    Date2012.01.1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66
    Read More
  30. SMC

    눈으로도 화려하게 보이는 작은 마젤란성운입니다. 우리은하의 식구이기는 하지만 참 특히한 대상이라는 것 외에는 별 매력을 못 느꼈던 대상입니다. 나중에 Ha도 더해서 처리를 해 보아야 겠습니다. Canon FD300 2.8L Takahashi Em-11 ST-10XE w/ CFW-10(-15...
    Date2006.12.1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50
    Read More
  31. Soul & Heart Nebula Mosaic

    1920 x 1080 pixel 2560 x 1440 pixel Telesocpe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SBIG RemoteGui...
    Date2017.11.08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54
    Read More
  32. ST-4000XCM으로 찍은 오리온 대성운

    요즘 다른 분 소유의 장비를 다루는 일이 많네요. 부산 천문 동호회원 한 분께서 ST-4000XCM을 구입하셔서 테스트 차원에서 찍어보았습니다. 장비는 모두 그분 것이고 기본 촬영 세팅은 제가 해드려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기록 차원에서 하나 올려둡니다. 맥...
    Date2008.02.05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