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101209_ngc2359

    2010년 12월 9일 촬영한 헬멧 입니다. 하늘의 상태는 그리 나쁘지 않았던 것 같은데 고도가 낮고 적도의 추적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던 날이어서 그런지 마음에 들지는 않는 이미지 입니다. 또한 이미지 처리를 하면서 느낀 것이지만 별상이 너무 크다는 생각...
    Date2010.12.15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74
    Read More
  2. IC 1396 in Cepheus

    마음 같아서는 매일 한 작품 씩 올릴려고 했는데 훌쩍 일주일이 지나갔네요. 화각이 1도가 안되는 반사경통에서는 엄두가 나지 않던 1396을 FSQ106를 올린 기념으로 찍어보았습니다. 3년만에 다시 찍어보는데 11월16일은 11시쯤 하현달이 올라오는 월령이어서...
    Date2010.12.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43
    Read More
  3. 크리스마스에는 빨간 장미를~~

    ||1크리스마스만 찍은 것은 폭삭 망했는데,  그래도 wide 로 찍은거 처리하니 위안이 됩니다. Pentax67 렌즈가 참 좋은데 블루채널 색수차가 엄청 심하다는게 문제네요. 백포커스가 다른 렌즈들에 비해 길기 때문에 개조하기도 쉬워서 준비를 하긴 ...
    Date2010.12.1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83
    Read More
  4. 101203_ngc7635

    2010년 12월 3일 촬영한 버블 입니다. 요즘에는 찍을 수 있는 대상이 그리 쉽게 선정 되지 않습니다. 관측소의 제 망원경의 위치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그렇습니다. 결국에는 유명하고 밝고 큰 놈으로 선정해서 테스트 촬영을 하게 됩니다. 저는 요즘 완전히 ...
    Date2010.12.2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48
    Read More
  5. 크리스마스 성운 (NGC2264)

    Merry Christmas! 크리스마스 이브인데 30년만에 가정추운 12월 날씨라하네요. 추운날씨지만 모두 즐겁고 따뜻한 성탄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크리스마스 트리를 선물로 드립니다.^^ [촬영정보] Optics: Takahashi FSQ106(106mm, F5,refractor) Mount: Astro-P...
    Date2010.12.2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30
    Read More
  6. NGC1333 & IC348 Region

    마지막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아쉬움도 있었지만 1주일은 적지 않은 시간이기도 하고 해서 한국의 가족들이 그리웠습니다. 떠날때 가지 않으면 안되냐시던 노모의 얼굴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그곳의 이준희 신부님과 밤새 나눈 대화는 기부에 대한 생각을 ...
    Date2010.12.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3
    Read More
  7. IC2177

    Object: IC2177 Date: 2011/1/1 Lens: canon200mm F2.8(at 3.2)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6장) RGB(400s*4장) Guiding: FS60C/DSI(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새해 많은 분들이 집을 떠나 관측지에서 새해를 맞이하...
    Date2011.01.0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84
    Read More
  8. 오리온자리 일부분

    ||1CCD로 와이드필드를 잡기위해 펜67렌즈들을 쓰는 것은 포기하고 다른 렌즈들을 찾다가 일단 니콘 렌즈 200mm 급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렌즈를 테스트 해봤습니다.  (AF-S 80-200mm F2.8) 테스트를 위해 QHY9 용 니콘 렌즈 어댑터를 급히 만...
    Date2011.01.03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40
    Read More
  9. ic405

    촬영지:수피령20110101-02 마운트:eq6-pro 경통:epsilon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0장 기온:-17 새해 첫출사 기념사진입니다 사정상 노출을 많이 주지 못했습니다 새해 건강하십시요^^
    Date2011.01.0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705
    Read More
  10. NGC2174 오공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 Reducer(x0.77) = 616mm F4.9 적도의 : EM-200B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20'c) 촬영정보 : Ha 1200*6 / RGB 300*3 / Dark 처리정보: 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
    Date2011.01.06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344
    Read More
  11. IC405_410

    Object: IC405_410 Date: 2011/1/7 Lens: TMB92SS(WO 리듀서4형)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7장) RGB(400s*4장) Guiding: FS60C/QHY5(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지인의 장비를 빌려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워낙 빠른 ...
    Date2011.01.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300
    Read More
  12. 2011년 첫 출사 NGC2244 & NGC2237

    모든 분들에게 올한해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2011년 서천동 첫 정기관측에서 저렴한 경통으로 얻은 이미지입니다.. 관측지 펜션에서 관측 후 기본적인 처리를 하고 집에 와서 색을 입혔습니다. 날씨는 춥과 차들이 미끌어지고 했지만 많은 별지기 분...
    Date2011.01.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14
    Read More
  13. 말머리&불꽃성운

    Object: 말머리&불꽃성운 Date: 2011/1/7 Telescope: TMB92SS(WO 리듀서4형)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9장) RGB(400s*4장) Guiding: FS60C/QHY5(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겨울이면 꼭 촬영대상 1호가 되는 말머리...
    Date2011.01.0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11
    Read More
  14. NGC1555 주변

    히아데스성단 윗쪽에 있는 변광성운 NGC1555 부근입니다. 우측상단에 보이는 작은 성운이 NGC1555이고 왼쪽의 밝은 별은 히아데스성단에 속한 황소자리 엡실론성 입니다. 촬영 일시 : 2011. 1. 9, 20시 3분 ~ 익일 1시 4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16~-18...
    Date2011.01.1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458
    Read More
  15. 장미성운부근 찍기.

    ||1푸른색 색수차 때문에 좌절했던 펜탁스67렌즈들을 뒤로 하고 이번에는 니콘 계열 렌즈로 해서 CCD용 wide 필드 촬영을 준비했는데, 대략 95%정도 완료된 듯 합니다. 이곳저곳 검색하다가, 가장 화질이 좋다는 렌즈 + 튼튼한 렌즈마운트가 있는 녀석으로 골...
    Date2011.01.1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56
    Read More
  16. 장미성운

    겨울철은 바람 때문에 FSQ106을 올리다보니 약 3x4도인 화각때문에 대상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화각에 적당한 대표적인 대상인 장미를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몇번 찍었습니다. 달이 없는 월령에는 R,G,B를 찍고 달이 있는 월령에는 Ha, S2,O3 등 내로밴드 채...
    Date2011.01.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14
    Read More
  17. 삼태성과 말머리

    촬영지:수피령20110113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1장 기온: -22 산넘어 달리는 말머리를 노출20장만 달라고 애원하며 잡아봤지만 저와 별상 스파이더까지 질질 끌고 곧 수피령 산넘어로 사라졌습...
    Date2011.01.14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64
    Read More
  18. IC2177

    바람이 불고 시상이 좋지 않은 날이었습니다. 전날의 시상에 비하면 아주 나빠서 1등성까지도 반짝반짝 춤을 추었습니다. 그리고고도가 낮은 것도 한 몫 합니다. 몽고가서 찍은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잘 나온 것과 별상이 큰 것이 아주대비가 됩니다. 지나가...
    Date2011.01.1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37
    Read More
  19. NGC7822 & CED214

    고도가 높아서 그런지 아님 처짐 현상이 덜해서 그런지 별상이 좋군요.. 세페우스 자리도 사실 찍을 대상이 무궁무진 합니다. 늘 장 초점을 선호하는 이유도 그것인데 다가오는 봄에는 좀 긴 초점거리의 망원경을 사용하여 찍어 볼 생각입니다. 이미지 처리는...
    Date2011.01.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82
    Read More
  20. IC1805 (Heart Nebula, Valentine Nebula)

    FSQ 106을 가대에 올리면 한번씩 찍어보는 하트성운입니다. 가을철에 찍어야 제격인데 FSQ106을 겨울에 올리다보니 서쪽으로 기운대상을 찍게되었네요. 11월29일 하현달이 뜨기전에 서쪽에 있는 대상에 대하여 RGB를 찍었고 Ha, S2, O3는 대부분 달이 있는 시...
    Date2011.01.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01
    Read More
  21. IC405 & IC410

    마차부자리에 나란이 마주보고 있는 두 성운으로 위쪽이 IC405, 아랫쪽이 IC410입니다. 지난 12월부터 1월말까지 달과 숨바꼭질하며 20시간이상 촬영한 것 중 선별하여 이미지처리하였습니다. 겨울은하수 한가운데 있어서 주변에 잔별들이 많습니다. [촬영정...
    Date2011.01.2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30
    Read More
  22. NGC1333-IC348

    Object: NGC1333-IC348 Date: 2011/1/30.31 Telescope: Tak FS60C/Reducer(x0.72)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L(600s*10장) RGB(300s*4장) Guiding: Vixen80mm/QHY5(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설연휴를 앞두고 있었지만 한파...
    Date2011.01.3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26
    Read More
  23. 말머리성운과 오리온대성운

    말머리성운과 오리온대성운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화각을 맞추기 위해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에 맞지 않는 리듀서를 무리해서 연결하였더니 주변 별상이 늘어지네요. 간이식으로 되어있는 미니보그 경통 초점조절장치의 영향으로 사진 위쪽 부분은 더욱 ...
    Date2011.02.02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172
    Read More
  24. IC2177

    촬영을 너무 늦게 시작하는 바람에 고도가 낮아져 노출을 충분히 줄 수 없었습니다. 윗쪽 부분에 검은 그림자가 있는데 아마도 너무 내려간 기온으로 센서 표면에 서리가 생기지 않았나 싶군요. 갈매기성운 윗쪽으로 찍혀 있는 희미한 초록색 천체는 Hartley ...
    Date2011.02.02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70
    Read More
  25. M78과 그 주변부

    작년에 입수한 APM 80/500 경통에 윌리엄옵틱스 0.8배 리듀서/플래트너를 조합하여 촬영하였습니다. 두개의 궁합이 나름대로 잘 맞는 것 같습니다. 하늘이 생각만큼 어둡지 않았고 노출이 다소 부족한 감은 있지만 M78 주변의 성운이 비교적 잘 표현된 것 같...
    Date2011.03.0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94
    Read More
  26. m8

    2011. 3. 5 양산 하늘공원 C9.25 @f6.3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Ha : 600"×4 4달만에 참으로 오랜만에 관측나온 신고식을 톡톡히 치뤘습니다. 적도의를 빼먹고 간 바람에 다시 집에갔다왔습니다. 노트북 포맷 후 usb->serial 드라이버를 까는걸 잊어...
    Date2011.03.10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420
    Read More
  27. NGC2237 Rosette Nebula

    철지난 이미지로 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별만세 관측소의 유일한 광해원이 남서쪽의 포천인데 그 광해지역을 유유히(?) 흐르는 장미를 잡아보았습니다. 지난 해엔 원체 몸이 바쁜지라 사진이라곤 찍어본게 없었는데, 올해 좀 자유로워지면서 망원경 손 좀 봤...
    Date2011.03.24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48
    Read More
  28. 안타레스 부근..

    ||1좀 과한 이미지 긴하지만 이 영역은 색감이 아름다워 자꾸 Saturation을 올리게 되네요.. 잠시 빌린 FSQ 106에 FLI 16803을 물렸습니다. L- 900ssec 1x1 , RGB 600sec 2x2 각 4장씩. 2011.4.5-6. 전북 장수
    Date2011.04.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533
    Read More
  29. m16

    2011. 4. 10 의령 한우산 무풍지대 C9.25 @f6.3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Badder Ha 7nm : 600"×8 Vixen80s / DSI / Maxim 가이드 하늘의 뿌~연 연무(황사)만 없었다면 ...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Date2011.04.10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729
    Read More
  30. 안타레스 다시한번..

    ||1아래사진이 너무 밋밋하여 - 색감도 이상하구요.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FSQ + 16803 L image 1x1 1200sec. RGB 3x3 600sec 각 4장씩. 3x3 image의 flat이 제대로 되지 않아 주변은 잘라내었습니다. 마지막은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Pentax 90mm + FLI - No...
    Date2011.04.1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37
    Read More
  31. NGC6992 [Veil Nebula]

    Location:Mt.Gangdeog 20110412 Telescope:Takahashi Mt160 Mount:Takahashi Em200 Temma2 Camera:QSI583WS Astrodon Fiter Guiding:Stella Vue Fider Scope+dsi Exposure:L=600sx5[1Binning] RGB300sx3[1Binning]Ha900sx2[1Binning] 늦은시간에 출발해 오랜...
    Date2011.04.1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554
    Read More
  32. IC4592

    전갈자리 북쪽에 있는 파란 말머리성운입니다. 이날은 워낙 투명도가 좋아 거의 지평선부근까지 은하수가 보이더군요. 촬영 일시 : 2011. 4. 12, 1시 42분 ~ 4시 28분 촬영 장소 :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기온: -3~-6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
    Date2011.04.13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