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The Helix Nebular

    ||1많은 분들이 찍으셨지만 저는 3년만에 수차례의 시도 끝에 처음으로 마무리 한 대상이네요. 저에게는 애증의 대상이랄까요...ㅎㅎ 디테일 위주로 잡아봤습니당. 사진은 언제나 처럼 큰 사이즈로 올려봅니다. # 촬영정보 : 2010/10/09 강원도 홍천군 * Equi...
    Date2010.10.10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00
    Read More
  2. Ced65,66 NGC2170,2182,2183,2185

    Object: Ced65,66 NGC2170,2182,2183,2185 Date: 2010.10.09~10 Telescope: TMB130SS/WO RF4/F5.6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L(900s*3장) RGB(400s*3장) Guiding: FS60C/DSI(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괘석리 느즈막히 도착...
    Date2010.10.1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54
    Read More
  3. ngc1535

    촬영지:수피령20101010 02:00- 마운트:eq6-pro 경통: tak mt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6장 수피령에 단풍이 물들기 시작했습니다 깊은 우주를 유영하는듯한 작은 성운처럼 이 가을도 깊어가고 있습니다 에리다누스자리 행성...
    Date2010.10.11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11
    Read More
  4. IC-1795

    하트 성운과 함께있는 고추성운입니다.^^ 디테일을 살리지 못한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Ha로 찍어야될듯 합니다.^^. 2010-10-10일 별마실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20도 L:1200*4장 RG:600s*각3장 B:2장
    Date2010.10.1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96
    Read More
  5. IC1396(VDB142)

    Object: IC1396(VDB142) Date: 2010.10.09~10 Telescope: TMB130SS/WO RF4/F5.6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900s*6장) RGB(400s*3장) Guiding: FS60C/DSI(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괘석리 어정쩡한 화각으로 담기에는 좀 ...
    Date2010.10.1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78
    Read More
  6. Bubble. 집게발.. 부근

    ||1M52부근.. FD300mm x 16803 .NJP.. .중앙부크롭후 약 40% resize (Flat이 이상해서 처리를 못하고 주변별상이 몽땅 날아가네요.ㅠㅠ. ) 이슬이 많이 내리던 밤이었던것 같습니다. Ha image를 1x1 3000sec를 3장찍었는데.. (3000sec Dark도 없고..) 중간에 ...
    Date2010.10.1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03
    Read More
  7. ngc7654 & m52

    촬영지:광덕산 20101015 마운트:eq6-pro 경통:tak mt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 iso800 10분7장 20장 걸어놓고 쉬다 나오니 7장만 들어와있습니다 뭔가 지나간듯합니다 평상시다니던 관측지가 군 작전중이라 못들어가서 고창균 선생님께 ...
    Date2010.10.15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10
    Read More
  8. The Rosette Nebular

    ||11년에 한두번씩 꼭 찍어보는 대상인데, 작년보다는 많이 나아진 듯 해서 다행이라 생각중 입니다. 촬영일에 바람이 좀 심하게 불어서 조금 아쉽기는 합니다만, 뭐 좀 아쉬워야 다음에 뭔가 더 좋아지겠죠. # 촬영정보 : 2010/10/15 강원도 인제군 * Equipm...
    Date2010.10.17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03
    Read More
  9. IC1848 태아성운

    이젠 날씨도 , 대상도 완연한 겨울이 다가오는것 같습니다. 모두들 감기조심하시구요...! FD300 / EM200 / ST-8300 2010.10.16 경남 산청 지리산 Ha-R-G-B : 3600/2400/2400/2400 Sec
    Date2010.10.17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722
    Read More
  10. ngc2264

    촬영지:수피령20101018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01000 10분12장 기온: +0.8
    Date2010.10.19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576
    Read More
  11. The Iris nebular, ngc7023

    광해가 많은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잡기 힘든게 암흑성운 찍기 인 것 같습니다. 산광성운들이야 적당한 필터를 쓰면 잡아지기는 하지만, 암흑성운은 어떠한 필터를 쓰지 않아야 나오는 대상이다보니, 적정 노출량을 확보하기 힘이 듭니다. 몽골 하늘 이야기...
    Date2010.10.1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01
    Read More
  12. NGC6888 - Crescent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 -Hα : 1200초X7장(1X1) -OIII : 1200초X8장(1X1) -2010. 10/07, 10/09 ST-10XME의 셀프가이더가 컬러필터 촬영시 가이드성이 밝지 않으면 가...
    Date2010.10.2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080
    Read More
  13. NGC7023 region

    몽고에서 두번째 날에 찍은 것입니다. 첫날에는 광해가 좀 있는 지역에서 울란바타르의 남서쪽 70키로 정도 떨어진 곳으로 대전카토릭교구에서 운영하는 존모트 캠프에서 진을 쳤습니다. 아주 환경이 좋은 곳이로 하늘 역시너무 좋은 그런 곳입니다. 이곳에 ...
    Date2010.10.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6
    Read More
  14. 베일성운

    ||1정말 오랜만의 촬영이었습니다. 제 강의를 수강하는 우리 학생들과 함께 서울천문동호회 정관에 참석하였습니다. 학생들에게 이것저것 촬영법을 보여준후 남은 시간에 함께 촬영해보았습니다. 오랜만에 열린 좋은 주말 밤하늘 덕분에 많은 분들이 참석하셨...
    Date2010.10.20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646
    Read More
  15. Orion's Belt

    우리가 묶던 몽고의 존모트는 북위 48도 부근입니다. 해서 남쪽의 낮은 대상은 찍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8키로에 육박하는 카메라가 그강성있는 FSQ의 접안부를 약간 휘게 했나 봅니다. 높으 곳을 찍을 떄는 그 현상이 미미 했으나 남쪽...
    Date2010.10.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40
    Read More
  16. NGC2264, TR5, IC2169 Region / 2010 Mongo

    처리를 하면서 보니 참 별이 많이 찍힌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사진 역시 김일순샘 지적대로 일부분 약간 별이 돌았습니다. 같은 날 찍은 것이므로 원인은 좀 더 봐야겠습니다. 크롭하면 해결되지만 그냥 올려봅니다. 날도 추워지고 거리에는 때이른 크리스마...
    Date2010.10.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43
    Read More
  17. Gamma sygni Region

    그러고보니 제대로 한번 찍어본 적이 없는 대상이기도 하고 늘 Ha로만 찍어 본 그런 대상이라서 별을 많이 찍히게 하고 또 RGB벨런스가 맞아서 다양한 계조가 살아있는 그런 사진을 원했습니다. 찍고자 하는 대상이 남중 전이었던 것도 이유입니다. 이날은 이...
    Date2010.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56
    Read More
  18. IC2118 / Witch Head Nebula

    몽고에서의 둘째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너무 고도가 낮을 때부터 찍어서 그런지 노출시간에 비해서는 불만족스런 결과입니다. 하지만 처음 찍은 마녀머리라서 그런지 애착이 가는 사진입니다. 호빔천문대에서는 찍기 힘든 사진인 만큼 개인적으로 몽고 원정의...
    Date2010.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74
    Read More
  19. ic348

    촬영지:수피령20101030 마운트:eq6-pro 경통:tak mt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0장 기온:-3.1 페르세우스자리 성운입니다 뿌연먼지속에 별들이 계속 탄생하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출사 나갈 월령은 아니지만 지인의 호출에 밤...
    Date2010.10.31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26
    Read More
  20. Bubble주변부

    ||1좀 식상하지만.. FD 300mm에 6303으로 찍은 사진이 있어서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6303 GB 1x1 600s x 3, Ha 1x1 1800s x3 50% REsize입니다.
    Date2010.11.0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18
    Read More
  21. 101102_ngc2237

    2010년 11월 2일 화요일 밤의 하늘은 정말 대박이라는 소리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집에서 저녁을 먹고 9시 반에 아산으로 출발 합니다. 한걸음에 달려간 호빔엔는 한기가 찾아 옵니다. 이제는 춥다는 소리가 절로 나오네요. 그동안 입지 않았던 방한복도 꺼내...
    Date2010.11.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40
    Read More
  22. IC-1848(태아성운)

    Ha필터의 초점 거리가 서로 달라서 애를 먹지만 모처럼 Ha로 찍어보니 아주 마음에듭니다.^^ 태아가 너무 커서 한 화각에 비좁습니다.장군감 인듯.....^^ 별마실관측소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25도 2010-10-28일 ...
    Date2010.11.0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99
    Read More
  23. Veil Nebula

    첫날에 찍은 사진인데 날이 계속 좋을 줄 알았습니다. 천천히 전략적으로 잡아 나갈 생각에 느긋하게 잡았던 대상입니다. 한국에서 한번도 제대로 찍어 본적이 없는 대상인 것도 이유입니다. 첫날 느꼈던 하늘에 대한 감동은 잊을 수 가 없습니다. 잔별이 8~9...
    Date2010.11.0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30
    Read More
  24. IC1805_1011_04

    너무나 오랜만에 사진을 올리게 되네요. 몽골관측의 후유증이라고나 해야할까..^^ CCD 교체이후 오토가이드 문제로 정상적인 사진촬영을 못한 탓도 있고 최적화된 각종 어댑터를 가공해야 하는데 귀차니즘탓에 많이 늦었습니다. FD300과 FLI-8300M에 사용할 ...
    Date2010.11.0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87
    Read More
  25. NGC2174/5, IC443, M35

    3가지 대상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촬영 일시 : 2010.11.02, 0시 54분 ~ 3시 04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1~3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 :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 노...
    Date2010.11.05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73
    Read More
  26. 백조자리 감마성-에타성 부근

    백조자리 감마성과 에타성 부근입니다. 렌즈테스트를 위해 여러가지 조리개값으로 찍어봤습니다. 포토샵에서 별의 크기를 줄이니 성운기가 살아나네요. 촬영 일시 : 2010.10.31, 21시10분 ~ 22시08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0~4도 렌즈 : Sigma APO MACRO...
    Date2010.11.06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34
    Read More
  27. 오리온 중심부

    2010. 11. 5 양산 하늘공원 C9.25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 baader narrowband filter R : S2(8nm) 180"×12 G : Ha(35nm) 30"×12 B : O3(8.5nm) 60"×12 중앙부 크롭 요즘 유독 안개가 심한데다 시잉도 생각보다 안좋네요. 게다가 아직도 리듀서가 ...
    Date2010.11.0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82
    Read More
  28. IC405 & 410, NGC2264

    본격적으로 FLI ML-8300M을 가동하려고 했는데 자작한 어댑터에 사소한 문제가 있어 무거운 카메라가 처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어댑터 다시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ㅠ.ㅠ 모노 CCD를 이용한 Ha 영상얻기와 원샷칼러 CCD를 이용한 칼러정보 얻기의 첫 ...
    Date2010.11.07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96
    Read More
  29. IC1396

    호빔천문대의 북쪽하늘은 아산의 광해거 폭 넓게 올라오는 곳입니다. 예전에 네로우밴드로 도전한 적이 있지만 실패한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한국에서도 고도가 높게 올라오는 대상이라서 그리 반드시 찍어야 할 대상에는 포함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여러이...
    Date2010.11.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78
    Read More
  30. IC1805(Heart Nebula)

    요즘 월령은 좋은데 안개가 앞을 가립니다. 초점 문제로 오후에 별마실가서 조정한다음 시작해놓고 집에와서 R.O로 끝냈습니다. 아주 편하고 운전 위험하지않고 좋습니다.^^ RGB는 태아성운과 같은 날 찍었습니다. 별마실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
    Date2010.11.08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616
    Read More
  31. 너무 이른 Christmas Tree..NGC2264

    ||1Ha image만 잔뜩 찍어서 색감이 참.. 너무 빨갛기만 하네요. 푸르른 성운기도 같이 나와줘야하는데요. 황인준님의 몽골하늘에서 찍어오신 은은한 색감이 훨씬 좋네요.. FD300mm with 6303 1x1 Ha 2000s x 3 , 1x1 GB 900sec x 3 , Ha HaGB합성.. Half resize
    Date2010.11.08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98
    Read More
  32. 마차부자리 IC405

    저번주말 연무를 피하기 위해 태백산맥 넘어가서 찍은 사진 입니다....ㅜ.ㅜ;; Ha 처리하니 반사성운이 없어져버린게 아쉽지만,  그럭저럭 나온 것 같습니다. # 촬영정보 : 2010/11/06 강원도 평창군 도암댐    * Equipment : Takahashi ...
    Date2010.11.0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4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