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20 & M21

    ||1어제는 기상대 일기예보와는 달리 밤새도록 별빛이 찬란했던 그림같은 밤이었습니다. 홍천 두촌면의 밤하늘은 그야말로 환상적인 은하수와 함께 깊어 갔습니다. 본 사진은 제가 최근에 구입한 SBIG ST-8300C One shot color CCD의 첫 테스트 작품입니다. ...
    Date2010.05.21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2066
    Read More
  2. M16 (독수리성운) HaRGB 이미지.

    서천동 홈페이지 새로 만드느냐 이미지 처리가 많이 밀렸습니다. 이번 연휴중에 다 작업해야지요. 전화협박에 쪽지까지....컬러 늦게 올려저 죄송합니다. ㅜ.ㅜ;; Ha 와 RGB 합치는게 참 어려구나 라고 다시한번 체감해 봅니다.
    Date2010.05.2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924
    Read More
  3. m27

    빠른 f수를 처음으로 사용해보니 참 좋습니다. 짧은 시간 노출을 주어도 선명하게 들어나는 성운기는 지금까지 느린 f수로만 찍었던 것을 후회하게 만듭니다. 호빔천문대 Morning Calm 700GE, E-250, 500D(필터개조) ISO800, 10분 7장 스텔라이미지, 맥심, IR...
    Date2010.05.22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05
    Read More
  4. 100520_ngc6960

    연휴가 시작 되는 날 저녁이라 시원이를 대동하고 아산으로 향했습니다. 시원이는 호빔 주인장의 아이들과 잘 놀기에 신경 쓰지 않고(?) 저는 저 할 일만 했지요...^^ 하늘은 좋았는데 이상하게도 꼭 결정적인 시기에는 시간이 모자랍니다. 연속해서 좋은 하...
    Date2010.05.2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84
    Read More
  5. M16 Eagle Nebula

    Imaging Date: May 15th, 2010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RO) Mount: Paramount ME Guiding: Ext.guide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 -25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R 300sec X 21 (1X1), RGB...
    Date2010.05.24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684
    Read More
  6. NGC6888

    Imaging Date: May 21th, 2010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Ext.guide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 -25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300sec X 28 (1X1), RGB 300s...
    Date2010.05.27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440
    Read More
  7. NGC6960

    홍천이나 강원도에서는 하늘이 좋다고들 했던 날로 기억합니다. 논 가운대의 호빔천문대에서는 고도가 낮고 논에 물대기가 시작되서인지 초저녁부터 습기로 좋지 않다가 새벽 2시경부터 투명도와 시상이 좋았습니다. 많은 시간을 투자해 찍어 보고 싶었지만 ...
    Date2010.05.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86
    Read More
  8. NGC6888

    초승달성운. 5월 19일~20일 양일에 걸쳐서 별마실 R.O로 초승달 성운을 찍었으나 안개로 인해 별이 퉁퉁 불은것 같습니다. 찍은 시간에 비해 결과물이 영 아니지만 기록차원입니다.^^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20도...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86
    Read More
  9. [필름] M16 + M17 (독수리 성운, 오메가 성운)

    2010년 5월 15~16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F6.4), 다카하시 EM-200 펜탁스6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평판스캐너로 필름스캔, 80% 정도 크롭 광해가 많아서 그런지 사진이 많이 거칠게 나왔네요. 기록 차원에서 올려 봅...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728
    Read More
  10. IC5070

    엊그제 날씨가 좋던 날 저녁에 촬영했습니다. 거의 보름달이어서 Ha만 촬영했습니다. dslr 사용했을 때는 촬영할 생각도 못했던 부분이라 새롭게 느껴집니다. 날씨 좋은 날 더 촬영해서 컬러로 합성해봐야겠습니다. 장소 : 호빔천문대 장비 : em200tjr, penta...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50
    Read More
  11. 펠리칸성운 & m16,m20-Ha이미지

    Object: 펠리칸성운 Date: 2010.06.01 Telescope: TMB130SS/WO RF4/F5.5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600s*5장/L-600s*5장/R-300s*2장/G-300s*3장/B-300s*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괘석리 m16과 m20 da...
    Date2010.06.0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91
    Read More
  12. M17 (Omega/swan 성운)

    ||1최근에 고정밀 14.5인치 돕소니언으로 봤을때 탄성을 지르게 했던 녀석을 잡아봤습니다. 달밤에 나가서 다행히 달 뜨기전에 RGB 찍고, 달 올라오는거 보면서 Ha 돌렸습니다....^^;; 별 색상 살리는 것은 나중에 해보려고, 일단 성운 색상/디테일 위주로 잡...
    Date2010.06.03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54
    Read More
  13. 100603_m8

    6월 3일 아산에서 촬영한 M8에 이동하는 물체가 잡혔습니다. 몇일 전에 찍어 보았던 이미지에는 없고 다른분들 이미지에도 없습니다. 이날은 적도의를 꺼꾸로 세우고 동쪽 하늘에서부터 자오선을 넘어 오게 찍고 있었습니다. 고도가 낮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
    Date2010.06.0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898
    Read More
  14. [re] 100603_m8

    첨부하는 화일 참고하세요... ceres 궤도요소를 최근 것으로 입력하고 the sky 에서 뿌렸더니... 정확히 그시간에 그위치에 지나가고 있네요 ^^ 아쉬우시겠어요~ ^^
    Date2010.06.07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826
    Read More
  15. 102ED 테스트샷-m57

    다음달에 야간비행팀과 호주에 관측 겸 촬영을 가는데, 이때 가지고 가려고 중국제 페가수스라는 모델의 2매 ED 굴절을 구입했습니다. 시험삼아 찍어 보았는데,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딸려오는 전용 리듀서 겸 플래트너를 2인치 접안 부에 끼우고, 카메라...
    Date2010.06.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846
    Read More
  16. M8, M20, M21

    혜성 뜨기전에 찍어봤습니다. 이짝 동네가 화려하긴 하지만... 이미지 처리하기는 힘든 곳인 것 같습니다. -------------------------------------- - 2010년 6월 9일...01:00~02:15 - 전북 장수 - Astro350D, cooling(0도) - Pentax SDUF(with LPS P2) - Tak...
    Date2010.06.09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729
    Read More
  17. 백조자리 발광성운 NGC6888

    오래간만에 사진하나 올려봅니다.. 요즘 날씨는 덥지만 밤하늘은 가끔 죽음입니다.. 요즘엔 색다른 망원경과 씨름하느라 사진을 찍는 것 조차 어색했습니다. 보고서 땜에 성단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UBVRI 관측을 해야하는데 아직 이 장비가 최적화되지 않아...
    Date2010.06.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962
    Read More
  18. 데네브와 북아메리카성운

    미니보그50을 활용하여 200mm대 화각을 얻어보았습니다. 아크로매트렌즈이지만 구경을 40mm로 마스킹하고, 또 리듀서에서 색수차를 줄여주니 그런대로 쓸만한 것 같습니다. 주변상이 좀 늘어지는데 다음에는 리듀서와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늘려서 한번 찍어...
    Date2010.06.1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886
    Read More
  19. M8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Astro400d 가이드 : QHY5 + PHD 촬영정보 : 600s 8매 / Flat처리 처리정보: PhotoShop CS3 합성 촬영장소 : 한우산 무풍지대 촬영일자 : 2010.06.7 새벽 CCD의 오작동으로 현장에서 부랴...
    Date2010.06.10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978
    Read More
  20. NGC6992/95

    동쪽 베일성운입니다. 수피령은 여름철에도 기온이 낮아서 냉각이 되지 않는 카메라라도 노이즈가 그리 심하지는 않네요. 그 동안 보그101ED + 0.85X DG.L 리듀서 (7887) 조합의 초점거리가 540mm라고 생각했었는데, 실제로 측정해보니 570mm 입니다. 촬영일...
    Date2010.06.1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951
    Read More
  21. Veil Nebula

    6월4일 ,6월7일 양일에 걸쳐서 별마실 R.O로 베일성운을 찍었습니다. Ha와 RGB필터 초점을 다시 조정해야 되는 문제와 맥심5에서 Subframe No에 첵크하고 찍는 실수로 여러날 실패하고 완성한 베일입니다.맥심5가 손에 익질 않아서..... 대~한 민국 ^^^ ^^! 2...
    Date2010.06.1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2008
    Read More
  22. 펠리칸성운

    저번에 올린 ha에 옷을 입혀봤습니다. 너무 붉게 처리되어 붉은 색을 많이 뺏는데도 많이 붉습니다.^^;; 호빔천문대 em200tjr, pentax105sdhf, st10xe Ha 20분 * 37장 gb 각 5분 * 5장(2*2)
    Date2010.06.16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785
    Read More
  23. NGC6888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영하9도) 촬영정보 : Ha 1200*6 (1:1) /RGB 300*3/Dark 처리정보:MaXimDL(DDP), PhotoShop CS3 촬영장소 : 한우산 무풍지대 촬영일자 : 2...
    Date2010.06.22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843
    Read More
  24. 우주가오리 성운

    ||1오랜만에 올려보는 딥스카이 사진인 듯....올해는 마른장마가 정말 길었습니다. 노출량이 좀 적어서 좀 아쉬운 사진인데.....뭔가가 아쉬워야 다음에 또 하고 싶더라고요...^^;; # 촬영정보 : 2010/07/20 경기도 양평군 * Equipment : Takahashi NJP FS2 +...
    Date2010.07.2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936
    Read More
  25. No Image

    M20&M21

    ||1많이 찍어 합성하려했으나 날씨가 계속 안 좋아 몇 장 못 찍었습니다. 호빔천문대 EM200TJR, PENTAX105SDHF(0.77X), ST10XE L : 20분*6장, 10분*6장 RB : 2비닝 각 4장 G : 2Q비닝 3장 85%크롭 후 리사이즈
    Date2010.07.24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774
    Read More
  26. ic63

    촬영지:수피령20100809-10 마운트:eq6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 iso1000 10분9장 5분10장 보정: nebulosity photo shop 항상 카시오페아 감마별을 하염없이 쳐다만보고 계시는 ic63입니다 제눈에는 시골서 지게 작대기로 잡...
    Date2010.08.11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2022
    Read More
  27. 백조자리 Ha 열전

    ||1최근에 CCD용 펜탁스67 렌즈 어댑터를 만들어서, 105mm 렌즈로 넓게 한번 잡아봤습니다. 백조자리....정말 스펙타클한 멋진 곳인것 같습니다. # 촬영정보 : 2010/08/10 강원도 인제군 * Equipment : Takahashi NJP FS2 노터치가이드, QHY9(-25도), Astrono...
    Date2010.08.1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65
    Read More
  28. Cepheus cygnus

    ||1간만에 Pentax 67용 90mm 렌즈에 FLI 16803을 물려서 cygnus와 cepheus를 찍어보았습니다.. 면적이 큰 CCD에서는 렌즈 셋팅은 무척이나 어려운듯합니다. 어디쯤에서 포커스를 잡아야하는지.. 무한대 표시의 시작쯤이나 직전에서 잡아야 하는듯하지만.. F수...
    Date2010.08.2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40
    Read More
  29. 북아메리카성운

    그동안 1년 넘게 작업해왔던 냉각 5D Mark II의 First light 입니다. 결로대책에 상당한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어느정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거의 3년만에 사진 찍어서 올리는 것 같습니다. LPS P2 필터를 drop-in방식으로 사용했더니 청색편심된 ...
    Date2010.08.23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504
    Read More
  30. 북아메리카성운-Red channel

    암흑대와 성운디테일을 보기에는 Red channel이 훨씬 볼만하길래 추출해 보았습니다. 캐논 200mm F1.8L -> F2.8 , LPS P2 필터, 카메라:냉각 5D Mark II 상온 24도/ 센서 -6도, ASA800, 15분 x 3장 , 전북장수, 2010년 8월20일,
    Date2010.08.23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462
    Read More
  31. ngc281 [packman nebula]

    촬영지:수피령201008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노출:iso800 10분8장 카시오페아 감마별[쉐디르] 옆에계시는 ngc281입니다
    Date2010.08.2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836
    Read More
  32. 100603_ngc6888(with epsilon 160)

    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 요즘 날씨가 워낙 별을 볼 기회를 허락하지 않는 날씨의 연속에 가끔씩 호빔에 가서 망원경으로 테스트 사진을 찍어 보면 왜 그런지 마음에 들지 않는 별상으로 계속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원인이야 차츰 찾아지겠지만 하늘이 테스...
    Date2010.09.0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21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