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NGC6992 - Veil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L : 300sec(1X1) X 8 -RGB : 300sec ea(2X2) X 1 -2006. 5. 31 박무의 영향과 박명시간의 임박으로 촬영 이미지의 매수가 부족하여 이미지가 샤프하지 못하네요. 블루밍 ...
    Date2006.06.1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251
    Read More
  2. No Image

    NGC6992 - 베일성운

    NGC 6992 Other description: Nebula. Constellation: Cyg Dreyer description: Very remarkable!, extremely faint, extremely large, extremely extended, extremely irregular figure, bifurcated. RA: 20h 56m 32.6s Dec: +31°44'01" RA: 20h 56m 24.0s De...
    Date2003.11.0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83
    Read More
  3. NGC6992 [Veil Nebula]

    Location:Mt.Gangdeog 20110412 Telescope:Takahashi Mt160 Mount:Takahashi Em200 Temma2 Camera:QSI583WS Astrodon Fiter Guiding:Stella Vue Fider Scope+dsi Exposure:L=600sx5[1Binning] RGB300sx3[1Binning]Ha900sx2[1Binning] 늦은시간에 출발해 오랜...
    Date2011.04.1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554
    Read More
  4. NGC6992 ~~

    간만에 맑고 투명한 하늘을 보고 상현이니 만큼 저녁먹고 느긋하게 출사를 나갔습니다.. 그런데 너무 여유를 부린탓에 노트북 추가 배터리 충전을 안했더군요.. 멍~~ 하늘은 죽음인데 배터리가 나가서.... 그래도 다행히 한장씩 찍을 수 있었습니다... 한컷에...
    Date2010.09.17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74
    Read More
  5. ngc6992(베일)

    Object:NGC6992(동베일성운) Date: 2012.7.25 Telescope: TEC140(WO4 Reducer & LPS-P2필터장착) f5.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6장) RGB(400s*3장) Guiding: 80mm 빅센/DSI2mono Location: 경기도 양평군 벗고개 정말 오랜만...
    Date2012.07.2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21
    Read More
  6. NGC6992/95

    동쪽 베일성운입니다. 수피령은 여름철에도 기온이 낮아서 냉각이 되지 않는 카메라라도 노이즈가 그리 심하지는 않네요. 그 동안 보그101ED + 0.85X DG.L 리듀서 (7887) 조합의 초점거리가 540mm라고 생각했었는데, 실제로 측정해보니 570mm 입니다. 촬영일...
    Date2010.06.1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951
    Read More
  7. ngc6992_6995

    정회원이 되니 저도 guest Gallery를 나와 이곳에 사진을 올리게 되는군요. 지난 5월9일 별만세 광덕산 관측소에서 찍은 것입니다. 4시면 박명이 시작되니 최소한 12시면 셔터를 눌러야 하는데 2시는 되어야 동쪽으로 화각이 확보되어 아직은 약간 이른듯 싶...
    Date2008.05.19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683
    Read More
  8. ngc6992_6995_2nd

    다시한번 도전해본 커튼자락입니다. 일요일밤은 주말밤에 비해 하늘이 삐리리했지만 비~싼 기름때가며 달려간 관측소였기에 그냥 올수는 없었습니다. 남쪽 전갈방향은 뿌연 박무가 심했고 그나마 동쪽하늘에 알비레오가 희미하게 보이는정도라 고민하다가 일...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90
    Read More
  9. NGC6995 narrowband bi-color

    Telescope : Planewave CDK14 (D:356mm, fl:2563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ZWO ASI174MM Exposure : Ha 1200s x 31(1x1bin), Oiii 1...
    Date2017.09.20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80
    Read More
  10. NGC6995 The bat nebula (part of veil nebula)

    Telescope : Planewave CDK14 (D:356mm, fl:2563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50mm square true balance gen2 LRGB, Ha/Oiii 3nm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ZWO ASI174MM Exposure : L 600s x 30(1x1bin...
    Date2019.11.13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59
    Read More
  11. NGC6995(VEIL)

    Object: NGC6995(VEIL) Exposure: L: 600sec x 5, RGB: 600sec x 1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6/14/2004 KS...
    Date2004.06.16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210
    Read More
  12. ngc7000

    ||1[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 6. 16(토)-17(일)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Ha:R:G:B = 90(min):50:50:50 (-15도), 총 240min(...
    Date2007.06.1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432
    Read More
  13. ngc7000

    ||1이제 새벽 1시 정도면, 여름철 대상들이 촬영가능한 고도로 올라옵니다. 12시 지나 세팅하고 셔터 누르고 나서 늦은 잠을 청하는 게 반복적인 일상이 되었습니다. 며칠 전 관측회때 초점조정을 대충대충 했더니 티가 나네요. 담에 갈 때까진 이 상태로 어...
    Date2008.05.0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76
    Read More
  14. NGC7000

    촬영지:수피령20110620 마운트:Takahashi EM200T2 경통:Takahashi Epsilon180ED 카메라:QSI583WS 가이드:Stella Vue Finder Scope + DSI 노출:Ha 900s X10 엡실론을 청소를 해 봤습니다 먼저 주경을 분리하고 증류수를 사용해 깨끗이 닦고 건조후 조립은 시간...
    Date2011.06.22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526
    Read More
  15. NGC7000

    아시는 분이 star71을 구매하셔서 제가 테스트했습니다. 단초점이기에 자정 넘어서 올라오는 여름철 대상을 촬영해 봤습니다. 풀프레임에서 주변부가 약간 날아갑니다. 보그76ed&리듀서 궁합과 큰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 오히려 보그76ed에 마스킹 하는 ...
    Date2015.04.1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315
    Read More
  16. ngc7000

    Object : ngc7000 Date : 2017.4.30 Telescope : Samyang 135mm (masking F2.2) Camera : Fuji X-E2S(nomal)/no Flat, no Dark Setting : ISO 1600/RAW/5min*10장/DR400//NR-2 Mount : Takahashi Em200 Temma2 Guiding : 100mm CCTV+QHY5L-II mono Location :...
    Date2017.05.0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19
    Read More
  17. NGC7000

    북아메리카와 펠리칸성운. WO Spacecat51 Crux140Traveler  QHY247C + STC Duo filter 400sec X 8 Southern Gobi 2019/10/29 초속 10미터의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촬영한 이미지 입니다. Crux140Traveler의 능력이 기대 이상입니다. 몽골 첫 이미지입니다. STC...
    Date2019.11.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2
    Read More
  18. NGC7000

          제목 : 북아메리카성운 망원경/렌즈 : FDK170 6호기 카메라 : ZWO ASI6200MM 마운트 : Hobym CRUX170HD 가이더 : ZWO ASI174MM MINI 노출정보 : Ha-LRGB 300sX각4장 Dark,Bias,Flat 각12장 촬영장소 : 강원도 홍천 촬영일시 : 2021. 9. 3. ~ 9. 4. 촬영...
    Date2021.09.11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261
    Read More
  19. NGC7000 & IC5067

    모든 장비들이 제 값을 하기 시작합니다. 감도와 노이즈면에서 가장 신뢰성 있는 09000칩은 역시 효율성 면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합니다. 이날은 새벽으로 가면서 안개가 점점 시야를 가린 그런 날입니다. 대구경으로 하늘을 찍어내...
    Date2009.10.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24
    Read More
  20. NGC7000 & IC5067

    촬영지:수피령20110514 마운트:Takahashi Em200 T2 광학계:Tokina 300mm f4 [Front Masking] 카메라:QSI583WS 가이드:Stella Vue Finder Scope + dsi 노출:Ha 600s x5 RGB 300S x2 이미지처리:Maxlm DL Photo Shop 늦은 월령이지만 렌즈 테스트할겸 수피령갔...
    Date2011.05.15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05
    Read More
  21. NGC7000 & IC5067

    테를지에서는 사실 여건이 그리 썩 좋지는 않았습니다. 주변에 캠프가 많이 생긴데다가 밝은 조명들로 인해 불만이 있었습니다. 이날은 한국 관광객들을 위해 새벽 2시까지 불을 켜 놓는 바람에 아쉬운 촬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늘은 좋아서 한국에서 찍...
    Date2011.07.1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57
    Read More
  22. NGC7000 & IC5067,70

    전동포커서가 작동을 하지 않아 초점이 많이 뭉개진 사진이 되었습니다. narrow사진의 특징 중의 하나가 샤프한 별상인데, 거의 rgb 수준의 별상입니다. 새벽 2시 반에 달이 지는 날에도 촬영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R.O 시스템의 커다란 장점입니다. 그러...
    Date2009.05.04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837
    Read More
  23. NGC7000 & IC5067,70 - North America & Pelican Nebula

    -NADA 제1천문대 -PENTAX 67 SMC 165mm F2.8 -NJP Temma2 -ST-10XME w/CFW-8A(-20) -two frame mosaic [각 프레임] -Hα : 600초X4장(1X1) + 1200초X1장(1X1) -GB : 각 300초X3장씩(1X1) -2007. 06. 09 두장 모자익. 풀프레임. 리사이즈. 모자익은 노가다입니...
    Date2007.07.06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890
    Read More
  24. NGC7000 & Pelican Neb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QHY-8(oneshot color) Exposure: R image -> Baader 45nmHa (600s*6장) GB image ->LPS-P2 (600s*6장) Optics: PENTAX SDUF II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원...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70
    Read More
  25. NGC7000 & IC5067

    제목 : NGC7000 & IC5067 망원경/렌즈 : Nikon ED 180mm F2.8 @ F4 // Samyang 135mm F2 @ F2.8 카메라 : ASI1600mm-pro / ASI183mm-pro 마운트 : Hobym CRUX320HD 필터 : astrodon 5nm SHO / astrodon 3nm SHO 노출정보 : total 30 hours 촬영장소 : 용...
    Date2019.11.25 CategoryNebula By서일영 Views176
    Read More
  26. NGC7000 (North America Nebula)

      비수기 시작전 5월말~6월초 동안 잠깐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이미지 처리를 하긴 했지만 오랜만에 허블파렛트를 처리하다보니 결과물이 엉망이어서 방치하다가 이제서야 결과물을 만들어봅니다. 허블이미지만의 알록달록한 색감과 주변에 퍼져있는 암흑성운...
    Date2021.07.14 CategoryNebula By김영대. Views164
    Read More
  27. NGC7000 - North America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Hα : 1800sec(1X1) X 4 -L : 300sec(1X1) X 9 -RGB : 300sec ea(2X2) X 3 -2006. 9. 24 Hα와 L 이미지를 섞어 최종 L이미지로 사용하였는데... Hα 이미지는 별상이 작고 L...
    Date2006.10.1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023
    Read More
  28. NGC7000 / IC5067

    아쉬운 일이지만 Ha를 3장을 찍었음에도 쓸 수 있는 것은 단 1장 뿐이었습니다. 1장은 구름이 지나갔고, 한장은 심한 바람에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실패.. 컬러 정보도 부족하고 말이죠.. 덕분에 잔별이 많이 죽었습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
    Date2006.05.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2
    Read More
  29. NGC7000 / IC5067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성운.. 늘 여름별자리가 새벽에 떠오르는 봄만 되면 매년 이 대상을 찍기 위한 도전을 합니다. 이번에는 오랜만에 메시에 마라톤이 열리는 덕초현에 천문인 마을에 갔습니다. 동반한 장비는 새로 영입한 경통인 다카하시 SKY-90과 리듀서...
    Date2009.04.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74
    Read More
  30. NGC7000 / IC5067

    새로 영입한 카메라인 FLI PL-9000은 기대한 것 만큼의 성능을 보여 줍니다. 오랜장마 끝에 맑은 하늘은 습도가 높아 이슬이 많이 내리기는 했지만 아주 좋은 하늘이었습니다. 달이 뜨기 전에는 색 정보를 그리고 달이 뜨고 나서는 Ha를 찍었습니다. 한동안 ...
    Date2009.08.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88
    Read More
  31. ngc7000 and IC5067 NIR vs. HaO3LRGB

    1. NIR/Ha+R/O3+G+B Image processing 2. Bicolor + LRGB mixed image 3.L vs. NIR Raw data 2017년 5월 29일,6월 1일~3일 경남 의령, 거제 Pentax 75SDHF NIR(0.7um~1.0um) Bin2 x 40min x 6 Ha 5nm Bin1 x 15min x 8 O3 5nm Bin1 x 15min x 8 LRGB each Bin1...
    Date2017.06.10 CategoryNebula By권한조 Views189
    Read More
  32. NGC7000 and IC5070

    제목 : 북아메리카 and 펠리컨 망원경/렌즈 : Takahashi e-160 카메라 : Canon 6D(필터개조) 마운트 : Takahashi EM-200b 필터 : Astronimik Ha clip for FF, 12nm 노출정보 : 300s x 20장 촬영장소 : 남원 만행산 천문과학관 촬영일시 : 2018년 8월 3일 23시...
    Date2018.08.06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