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2177, M46,47

    갈매기성운과 M46,47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자세히보니 사진 가운데 헬멧성운도 찍혀있네요. 별이 너무 많아서 포토샵의 "더스트와 스크래치 필터"를 이용하여 별 크기를 조금 줄여보았습니다. 촬영일시: 2009.12.19. 2:01~4:02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449
    Read More
  2. California Nebula

    ||1정말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일찌감치 출발하여 해지고 바로 촬영시작, 1시경까지, 장비설치하는데 손과 코끝이 얼얼할 정도로 추웠지요. 올해들어 제일 추운 밤이었답니다. 그러나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가끔 Nada홈페이지 들어와 보면, 너무나도 많은...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556
    Read More
  3. Sh2-231~3, 235

    ||1며칠동안 좋은 날씨에 계속 찍기만 했지, 방학전 바쁜 일정에 이미지 처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름들이 오갔나요? 바탕이 좀 거치네요. 오랜만에 RGB 처리를 해보니 별색 내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동안 SDP로 딥스카이 찍으면서, 함께 올려놓은 냉각5...
    Date2009.12.2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490
    Read More
  4. m45 플레이아데스

    주변 성운까지 담아보려 했는데, 찍으면서 이거이거 되는건지.... 찍혀나오는 사진을 보면서 당최 주변 성운끼가 보여야 말이죠. 노출시간, 합성매수, 촬영방법 등 확신이 서질 않아 많이 찍어주질 못했습니다. 2009. 12. 21 의령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
    Date2009.12.23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98
    Read More
  5. M76 Little Dumbell

    년말이라 주말에 많은 약속 때문에 금요일 달려서 다시한번 광축 손을 보고 12.5"로 작은 아령을 찍어보니 정말 앙증맞게 나왔습니다. 중간에 구름이 밀려오는 바람에 가이드성운을 잃고 띵띵 거려서 간신히 처리해보는데 광축은 마음에 드는데 이상하게 비넷...
    Date2009.12.23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628
    Read More
  6. M101등

    너무 많이 놀아 힘들었던 한 주였습니다^^;; 컬러노이즈 심합니다. 합성매수가 많아지니 사선노이즈같은 것이 생깁니다. 덕분에 찍어 놓은 말머리와 이것 저것은 처리 못하고 있습니다. 리듀서 빼고 촬영한 M33의 경우 플랫을 잘못 찍어 좌우 비넷팅이 있어 ...
    Date2009.12.23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567
    Read More
  7. IC443 해파리와 NGC2174 원숭이

    m45를 찍다가 선택한 대상입니다. rgb부터 찍어주고 ha를 찍기 시작하자 구름이 밀려와 3장밖에 건지지 못했습니다. 사진이 거칠어서 처리하지 않으려다가 연휴에 처리하여 올리게 되었습니다. 2009. 12. 22 의령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kkor ed 180mm mo...
    Date2009.12.26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43
    Read More
  8. M20 (NGC6514)

    궁수자리에 있는 시직경25'의 성운으로 내부에 산개성단을 갖고 있다. 성운이 세 개의 잎사귀처럼 갈라진 모양에서 ‘삼렬성운(trifid nebula)'으로 불린다. M8과 같이 광각으로는 여러번 찍었지만 M20을 단독으로 찍기는 처음인것 같습니다. 월령과 구름 때문...
    Date2010.01.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13
    Read More
  9. SH2-261

    어두운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샤프리스 목록 261으로 오리온의 방망이 근처에 있으며 크기는 39분X15분입니다. 이틀간 노출을 주었는데 바람 때문에 여러 장을 버렸고 앞의 날 찍은 것과 다음날 찍은 것 사이에 얼라인이 어긋나서 일부 귀퉁이의 별이 어긋...
    Date2010.01.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44
    Read More
  10. 오리온 삼태성

    오리온자리 삼태성을 부근의 성운기 위주로 찍어보았습니다. 왼쪽 상단에 정체불명의 검은원이 있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컷에 따라 위치가 조금 다른 것도 있어서 센서에 뭐가 묻은 것은 아닌것 같고요. 촬영일시: 2010.01.12 23:21~25:48 촬영장소: 수피...
    Date2010.01.1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057
    Read More
  11. NGC 2264 (Christmas/Cone Nebula)

    외뿔소자리에 있는 크리스마스 성운 중심부입니다. 왼쪽의 원뿔(cone) 성운과 중앙 아래쪽 여우 목도리 성운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크롭하였습니다. [촬영정보]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
    Date2010.01.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40
    Read More
  12. IC405 & IC410

    한우산 정상을 지나서는 제설작업이 안되어 있던 관계로 정상에서 판을 폈습니다. 피어기둥을 안가져가는 바람에 어찌어찌 해서 피어기둥없이 적도의 탑재시키고 촬영했습니다. 늦게 권기식씨 오셔서 모두 함께 라면파티 하고. 바람이 어찌 안분다했더니 하늘...
    Date2010.01.1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349
    Read More
  13. NGC2174

    모처럼 주말에 별이 보였는데 만천 가이드 전선이 달락 된줄 모르고 이것 저것 찿아 헤매다가 시간만 보내고 간신히 선 단락된곳을 찿아서 이정현님의 도움을 받아서 임시로 고쳐서 간신히 원숭이 한마리를 건졌습니다.^^ RGB를 한장씩 밖에 못찍...
    Date2010.01.18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697
    Read More
  14. 장미성운의 아래쪽, Sh2-280, Sh2-282

    지난 토요일, 학교 학생들 9명과 함께 별만세 관측소엘 다녀왔습니다. 1년간 과학시간에 열심히 공부한 우수학생의 '보상 여행'이었습니다. 오후에 많던 구름도 밤이 깊어지자 다 사라지고 초롱초롱 빛나는 별들...! 여러가지 공작, 관측활동을 마치고 나니 ...
    Date2010.01.1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339
    Read More
  15. 오리온 중심부

    부산에 위치한 과학영재학교의 이경훈 선생님께서 빌려주신 토아 플래트너를 처음 사용해보았습니다. 제품 설명대로 TSA-102의 최고의 성능을 뽑아내어주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 써클이 조금 작은 것 빼고는 최고인 듯 하네요... ^^ 요즘은 TSA-102로 사진도 ...
    Date2010.01.19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350
    Read More
  16. ngc2264

    Object: ngc2264 Date: 2010.01.16~17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Ha:900초x12장/RGB:300초x8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전에 한번 테스트에 실패하고 다시 도전해...
    Date2010.01.2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89
    Read More
  17. m42

    - 촬영일시 : 2010년 01월08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한우산 9부 능선(무풍지대) - 마 운 트 : HEQ5 pro - 망 원 경 : SkyWatcher ED120 F@ 7.5 - 카 메 라 : Nikon D300 - 보정렌즈 : SkyWatcher ED120 전용리듀서/플레트너 F@ 6.3 - 가 이 드 : W/O 66sd ...
    Date2010.01.23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835
    Read More
  18. 장미와크리스마스트리

    달이 떠 있는 하늘이지만, 덕초현까지 달리는 대신 원격관측소 문을 열었습니다. EQ1200이 노터치로 10분은 견디기에, 오토가이더 없이 찍어보았습니다. 적도의가 10년 가까이 돼가는데 아직 쓸만하네요^^ 컬러도 더 찍고 Ha 로 더 찍고 해야하는데... 월령때...
    Date2010.01.2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69
    Read More
  19. 말머리 흑백

    컬러 처리하다 일단 흑백 부터 올립니다. 25%, 50% 리사이징 이미지입니다. 지난주 촬영분입니다.
    Date2010.01.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550
    Read More
  20. 100116_m51

    2010년 1월 16일 거의 3개월만의 출사였습니다. 그동안 하늘도 도와 주지 못하고 날이 맑아도 너무 춥거나 몸이 따라 주지 않거나 시간이 되지 않아서 별 볼 시간이 되지 않더군요. 물론 직장도 바쁘기도 했지만... 오랫만에 찍어 보니 이건 머 완전히 백지 ...
    Date2010.01.26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53
    Read More
  21. 말머리 컬러 버전

    때깔을 마져 입혔습니다. 딥 필드를 살려내려면, 장 노출/다 노출도 물론 중요하지만, 제대로 된 플랫이 없으면 말짱 꽝이란 사실을 이 사진 처리하면서 깨달았습니다. 지난주 가족들과 갔다 찍었는데, 플랫 때문에 이번주 한번 더 갔었습니다. 그래놓구선 결...
    Date2010.01.26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085
    Read More
  22. IC434 Horse head Nebula

    하늘의 상태를 생각하면 단위노출을 더 줘야 하는 상황입니다. 호빔천문대는 길 옆이라서 차가 간간히 지나가는데 투명도가 안 좋은 날에는 어김없이 사진을 망치는 일이 왕왕 있답니다. 이쯤되면 RO가 생각납니다. 많은 촬영매수가 필요하지만 그렇지를 못했...
    Date2010.01.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46
    Read More
  23. 오리온 흑백

    컬러 이미지 올리기 전에 떡밥 투척합니다.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14
    Read More
  24. IC405 &410

    바빠서 정신없이 지내다 보니 하드에 잠자고 있는 실패한 사진들.. 빛을 보여주기에는 구도도 망가지고 매수도 부족해서. 하지만 감도와 적은 노이즈는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지나서 그런지 색에서 묶은 느낌이 납니다. 사실은 무성의한 이미지 처리.. Penta...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97
    Read More
  25. 오리온 컬러

    낚시가 이런건가요? 모두들 낚이셨습니다. 흑백에 비해 상당히 삐리리해서 죄송합니다. 어제 바로 올리려 했지만 호스팅 업체 스토리지 한계에 도달했는지 업로드가 되지 않아 못올렸습니다. 바로 용량 확보해서 500M 정도 확보해놓은 상태지만 아직 불안 불...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142
    Read More
  26. Christmas Tree Nebula 주변

    지난 금요일 날씨가 오랜만에 참 좋았었습니다. 날씨는 약간 추웠지만, 오랜만에 좋은 밤공기를 즐길만 했습니다. 몇차례 촬영해본대상인데, Ha로 충분한 노출을 시도했는데, 중간에 자동차전조등을 쪼이고, 진동으로 몇장이 튀어서, 그나마 나쁘지않은 5장을...
    Date2010.02.07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291
    Read More
  27. ic 405, 410 흑백 버전

    요번 금요일 찍은 사진입니다.
    Date2010.02.0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70
    Read More
  28. ic 405, 410 컬러 버전 (Ha강조)

    평상시 대로 처리한 Ha를 강조한 올챙이랑 플레이밍 스타입니다.
    Date2010.02.0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68
    Read More
  29. ic 405, 410 컬러 버전(LRGB 풍)

    계속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LRGB 스러운 이미지처리도 자연스러운거 같아서 평상시랑 다르게 한번 처리해 봤습니다. 물론 Ha를 전혀 이용하지 않은건 아닙니다. STL11000+EM200+Epsilon180ED Ha:L:RGB=6x10m:4x5m:4x3m 유리별천문대 부속 하늘이 천문대
    Date2010.02.0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27
    Read More
  30. 오리온 대성운

    매번 테스트만 하네요... 이번에는 지인의 FC-100입니다. 짧게 써본 결과 포커서 등의 조작에서 오는 불편함 외에는 괜찮아 보입니다. 플로라이트이고 FS-102보다 좋다는 평이 있어서 잔뜩 기대를 한 탓인지 조금 실망하기도 하였습니다... ㅎㅎㅎ 이제 테스...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345
    Read More
  31. IC443 Jellyfish Nebula

    아주 오랜만에 찍는 대상입니다. 예전에 10XE와 입시론 160으로 찍은 적이 있습니다. http://astronavi.co.kr/zeroboard/view.php?id=gal_nebula&page=5&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3 하늘은 덕초현과 비교는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02
    Read More
  32. 오리온 주변부, 펜탁스중형렌즈와 11k의 조합 테스트

    천체사진을 시작하면서부터 넓은 시야에 여러 대상들이 어우러져 있는 광시야 성야사진을 꼭 찍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장비도 그러하지만 사실, 화려한 딥스카이 사진에 진력하다보니 광시야 사진은 마음뿐이 아니었나 싶어요. 지난 별만세 정기관측회때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