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17 오메가(백조) 성운

    왜 오메라 혹은 백조라 불리는지를 잘 모르고 살아 온것 같습니다.... 사진을 찍어 놓고도 여전히 알수 없습니다.... R200SS+10D+LPS P2, @ ISO800, 240" X 6 역시 찍다 보니 날이 밝아져서 6장만 건질 수 있었습니다.... 지난 한주는 참 하늘이 좋았던 한주...
    Date2004.04.23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84
    Read More
  2. NGC7635 와 M52~~

    ||1힐릭스를 찍던 밤 철수하기전에 하늘이 아까워서 하나 더 해봤습니다.. 다음 날 부담으로 빨리가려는 맘 때문에 노출은 약간 부족한 느낌입니다.. LPS V3가 적색을 풍부하게 해주는데요.. < 2008. 11. 04~ 03 , 양평 양동면 임도> - Newtonian 10inch with...
    Date2008.11.07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384
    Read More
  3. Sh2-157 in Cassiopeia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버블성운옆에 있는 60분X50분 크기의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생긴 모양이 집게벌레와 흡사합니다. 11월5일 새벽에 찍었는데 투명도가 떨어지고 바람의 영향도 좀 있어서 별상도 좀 않좋고 이미지가 선명한 느낌이 안나네요. 망원경: ADT Ka...
    Date2008.1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84
    Read More
  4. Veil...

    이것 역시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은하수 지역이라... 별인지 노이즈인지 구분도 잘 안되네요... 다만, 5D라서... veil이 한화면에 잘 들어옵니다. 적당히 잘라냈습니다. ^^ 초점도 잘 못맞추겠고... 카메라세팅도 어색하고... 이제 자주좀 다녀야겠습니다. ...
    Date2007.09.12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385
    Read More
  5. ic405 by fs60c

    eq6, fs60c, st402가이드 10분 * 17장 고도가 너무 낮은 상태에서 작업 시작했더니 시간별로 초점이 달라서 이미지처리가 힘들었습니다. 다음엔 좀 더 잘해보겠습니다.^^
    Date2007.12.07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386
    Read More
  6. ngc6888

    미숙 하지만 기록용으로 올립니다~ 이미지 처리가 너무 미숙해서..해보고 또해보고 해야할듯 하네요~
    Date2011.06.13 CategoryNebula By조진원 Views1386
    Read More
  7. M57

    2004년 6월 27일 02시 16분(Central USA) 2004년 6월 27일 16시 16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oTo EQ mount ST-2000XCM, 90초 x 10 매, 실사이즈에서 중앙부 크롭 굴...
    Date2004.06.30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387
    Read More
  8. M20

    2004년 5월 13일,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산 휴양림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F:8)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 sec x 2 + 600 sec x 2 1/2 resize
    Date2004.05.16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388
    Read More
  9. 갈매기성운

    지난 4일 저녁 점프를 하여 촬영하였습니다. 겨울철 은하수가 훤히 보이던 그런 밤...혼자서 찍으니 심심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 촬영한 대상이고, 플랫과 다크를 처음으로 처리해 봤습니다만, 잘 안 된 듯 합니다.^^;; em10b, fd300@f4, astro350d, iso1600,...
    Date2007.12.10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388
    Read More
  10. Cocoon Nebula(IC5146)

    12.5" 를 새식구로 영입하고 광축과 씨름하면서 이제서야 광축이 조금 봐줄만한데.....? 그래도 더 손을 봐야할듯합니다. 광축 참 힘드네요^^ 별마실 안개속에서 이런저런 잘못된 사진 다 버리고 각 한장씩으로 억지로 처리해봅니다. 2009-09-16일 별마실관측...
    Date2009.09.17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88
    Read More
  11. M42

    Object: M42 . Exposure: L3 R2 GB 1: ALL 42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Q106 f:53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9/24/2004 KST . 이것도 열심...
    Date2004.09.29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389
    Read More
  12. M42

    ||1처음 사진을 하기 시작할때 찍었던 것인데... 아직도 부족한점이 많습니다. 이번에 이걸 찍으려고 한것은 아니지만 오토가이더 문제로 인하여 크고 밝은 대상을 짧은 노출로 찍으려다보니 본의 아니게 다시 이넘을 찍게 되었습니다. 정말 담에는 맘먹고 패...
    Date2006.11.20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389
    Read More
  13. 장미성운

    설연휴와 이번주 초에 날씨가 몇일 맑았습니다. 간만에 몇일 동안 A-RO를 가동해서 장미만 꺽어 보았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만족스러워 올려놓습니다. 초고속인터넷이 설치된진 2달만에 RO를 써보는데, 옆에서 하는 것과 차이가 거의 없이 빠르고 좋더군요. ...
    Date2007.02.2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89
    Read More
  14. 100510_ngc6888

    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 요즘 날씨도 좋지 않았지만 카메라를 바꾸는 모험(?)을 하는 큰 고뇌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동안 정들었던 SBIG2000XM을 떠나 보내고 바로 지른 것이 중국산 QHY9이었씁니다. 잘 아시다시피 코닥 8300 CCD를 사용한 저렴하면서도 그...
    Date2010.05.1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89
    Read More
  15. IC 1396재처리..

    어제 날씨가 좋아서 달이 밝지만. Oiii, SII를 더 찍어서 처리해보았습니다. Flat처리가 되지 않지 않는데다 saturation만 올리니.. 바탕이 좀 얼룩덜룩합니다. 일전에 올린것은 너무 녹색천지라 삭제하였습니다.. 근데.. 너무 알록달록한가요? . 색감을 좀 ...
    Date2011.10.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89
    Read More
  16. 안타레스 주변부

    어제 신병석씨,NGC 이덕수씨와 함께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약3달만에 별빛을 맞았습니다. 그새 은하수가 흐르는 철이 되었네요. 냉각DSLR 상용화 프로젝트가 막바지인지라 어수선한 와중에 나간 관측이라서 빼먹고 온것도 있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어서 고생했...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90
    Read More
  17. M16

    ||1------------------------- 20070613 양동면 Orion 10" cooled EOS350D ISO 1600 총노출시간 82분 50%리사이즈 후 크롭 ------------------------- 장마전 월령 좋은날이라 평일임에도 동호회원들과 출정했습니다. ISO 1600 이라 디테일이 많이 떨어지는 ...
    Date2007.06.13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390
    Read More
  18. 플레이아데스

    ||1300mm x FLI 16803 . 약간 Crop후 Half resize 입니다. 10월 31일 밤. 1X1 L-image 900s x 5 , 1x1 B 2000s x3, G Ha 3x3 900s 각 1장. L-, B Channel만 제대로 찍히고 Ha , G channel은 1장씩만 겨우 건져서 얼룩덜룩합니다. Noise와 Flat이 제대로 빠지...
    Date2011.11.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90
    Read More
  19. IC1396

    달 뜨기전에 찍고자 했으나 집안 일로 늦게 도착하여 겨우 RGB만 몇장 찍어서 처리해봅니다. 달 뜬이후 Ha를 찍었는데 구름이 계속 몰려와 결국 다 휴지통입니다.... 많이 어두운 성운이고 다음에 Ha 재도전하여 암흑 성운을 지대로 한번 표현하고픈 지역이네...
    Date2009.10.1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91
    Read More
  20. NGC7000 / IC5067

    아쉬운 일이지만 Ha를 3장을 찍었음에도 쓸 수 있는 것은 단 1장 뿐이었습니다. 1장은 구름이 지나갔고, 한장은 심한 바람에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실패.. 컬러 정보도 부족하고 말이죠.. 덕분에 잔별이 많이 죽었습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
    Date2006.05.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2
    Read More
  21. M57

    (원본 사이즈 이미지와 확대 크롭한 이미지를 올립니다.) 2004년 8월 30일 오후부터는 하늘이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4시가 넘어서야 관측을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박병우, 최승용, 박정용, 배철균님등이 참석 하셨습니다.^^ 저녁은 배...
    Date2004.08.3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93
    Read More
  22. 071014_ngc6888

    2007년 10월 14일 일요일 밤 대부도에서 촬영한 대상 입니다. 일요일 아침부터 하늘은 맑았지요. 식구들과 인천으로 나들이 갔다가 하늘이 좋은 듯하여 일찍 귀가 한 뒤 바로 대부도로 튀었습니다. 장비 설치하고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이런저런 셋팅을 하면서...
    Date2007.10.15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94
    Read More
  23. 하트...

    심장을 한장에 찍기 위해 어거지로 넣었더니, 비좁은 화각 속에서 심장이 터져버릴려고 하네요. 역시 11월 18일 천문인 마을에서 찍었습니다. 하트를 마지막으로 이제 총알 바닥났습니다. 18일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이미지들을 총 정리 해봤습니다. 참 많이...
    Date2006.12.03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395
    Read More
  24. 북아메리카 성운...

    ||1달이 있는 상태라 흑백/R ch로 촬영을 시작했는데... 액정으로 볼땐 괜찮게 나오는 것 같아서... 계속 흑백모드로 찍었는데...ㅎㅎ 역시 액정발은 믿으면 안되네요...ㅎㅎ 새벽 1시 넘어서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더니, 경통이 줄줄 땀을 흘리기 시작합니다....
    Date2009.06.02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395
    Read More
  25. 120805_m27

    120805_m27 올해 휴가는 날씨가 아주 좋았씁니다. 대천, 여수 엑스포, 다시 대천의 일정으로 가족과 함께 했지요. 토요일 밤 10시에 집에 도착해서 샤워만 하고 바로 아산으로 달립니다. 하늘이 좋았기 때문이지요. 정말 투명한 하늘에 밝은 달이 있기는 했지...
    Date2012.08.1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95
    Read More
  26. M16_12" 20D

    작년 4월달엔 R200SS 10D로 찍었던 대상 입니다. 해마다 달마다 찍는 대상이 거의 똑같은 것 같습니다. 장비는 더 좋아 지지만 더 낳아 진것 같지는 않습니다... 2005.04.03,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Date2005.04.10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96
    Read More
  27. 060804-IC5146(Cocoon)

    촬영일: 2006년 08월 05일 새벽 촬영지: 덕초현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10도) RGB : 각5min x 5, x4, x4(2x2) L : 5min x 13(1x1) 모처럼 덕초현에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별빛으로 밤새워 샤워를 ...
    Date2006.08.06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396
    Read More
  28. 펠리칸 성운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비록 혼자였지만 그동안 속 썩이던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 수확이었습니다. 이제는 새 기기의 본격 가동입니다. 하지만 Ha RGB합성에서 좀더 공부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점점 더 나아지겠지요.. . . Pentax SDUF II Takahashi EM 200 ...
    Date2004.10.0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7
    Read More
  29. IC 5146

    요즈음 바쁜 관계로 처리를 못하고 있다가 지금에서야 처리를 합니다. 누에처럼 생겼나요? 별은 많이 나왔으나 조창우씨 것과 비교해서 별상이 크군요.. .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20) L : 40min(1X1) RGB : 10min ea(2X2) 나다 제 1 천...
    Date2005.05.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7
    Read More
  30. Fetus- Heart ~ 외..

    165mm에 Fetus와 Heart가 적당히 들어옵니다.. 백조좌는 더 넓게 찍어봐야 겠습니다. 셋팅후 M8을 찍었는데 산 너머로 넘어가 버리고.. 그다음 M16부근은.. 역시 산에 넘어가기 직전이네요.. 백조좌랑 오리온의 버나드루프는 나중에 다시 Pentax 90mm F2.8렌...
    Date2007.10.10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97
    Read More
  31. IC5146 Cocoon Nebula

    코쿤성운을 휘감고있는 암흑성운과 같이 찍어보려고 했습니다. 2006년 9월 24일 스타파티 다음날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KASTRON 12.5 F5 w/R200CC EQ1200GTO STL-11k L: 10m x 6 RGB: 5m x 3 each 두번째 사진 약 40%축소후 크롭 마지막사진 1:1 크롭
    Date2006.10.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98
    Read More
  32. NGC7635 Bubble Nebula

    컬러채널 찍으려 할때 안개가 많이 끼기도 했고 해서 예전 중앙천문대에서 찍은 사진을 컬러로 사용했습니다. 이번 3번에 걸친 출사의 마지막 사진인데 는 안개와 좋지 않은 투명도 덕에 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집니다. 이번달 말부터 시작되는 다음 월령...
    Date2005.09.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