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1318 & ngc6888

    2009. 10. 24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kkor ed 180mm mount : GPD-ss2kpc camera : 350D, iso1600 custum scientific 10nm h-alpha exposure : 600"×7 guide : Vixen80s, dsi, MaxlmDL image process : MaxlmDL, PhotoshopCS2 니꼬르렌즈는 두번째 출사이...
    Date2009.10.24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456
    Read More
  2. 오리온자리

    2009. 10. 24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kkor ed 180mm mount : GPD-ss2kpc camera : 350D, iso1600 exposure : 600"×5 (lumicon O3) 900"×4 (custum scientific 10nm h-alpha) guide : Vixen80s, dsi, MaxlmDL 아직은 오리온자리를 겨냥할 시기가 아닌가봅...
    Date2009.10.25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67
    Read More
  3. 오리온 대성운 주변

    거제도로 관측을 다녀왔습니다. 대학 동아리의 OB 관측회였는데 오랜만에 즐거운 관측이었습니다. 멀리까지 가서 그냥 올 수는 없어서 새로 구입한 Orio Starshoot Solitare(stand-alone 오토가이더)의 테스트를 위해서 제법 밝은 하늘임에도 긴 시간 노출을 ...
    Date2009.10.26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486
    Read More
  4. NGC7635 Bubble Nebula

    여러날을 시도했으나 일본쪽으로 상륙한 태풍의 영향으로 투명도가 좋지 않은 하늘의 연속입니다. 돌이켜 보면 다년간 사진을 찍었지만 인연이 없는 대상이 있는가 봅니다. 맘에 들게 찍어 본적 없는 대상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컬러채널의 다크를 찍지 못...
    Date2009.10.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70
    Read More
  5. IC 405, 410, 417

    어제는 운두령에 다녀왔습니다. 기상청 사이트를 보니 수피령은 미세먼지가 많아서 하늘이 좋지 않을 것 같더군요. 운두령 하늘은 습기도 별로 없고 아주 좋았습니다. 촬영일시: 2009.10.26 0:00~3:07 촬영장소: 운두령 기온: 5~6도 렌즈: 캐논 NewFD 300mm F...
    Date2009.10.26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532
    Read More
  6. IC1396

    이 대상 역시 많은 시간을 투자했으나 나중에 보면 사진이 쓸만할 정도로 찍히질 않았습니다. 남쪽에서 태풍이 몰고온 습기와 높은 온도는 기온이 떨어지며 박무를 만들어내고는 했는데.. 그 영향입니다. 이럴때면 성능좋은 CCD덕을 본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
    Date2009.10.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047
    Read More
  7. NGC6888

    카시오페이아가 겨우 보이던 그런 날이었습니다. 낮에는 맑은데 밤만되면 도대체 왜 그런지.. 하지만 빠른 반사광학계와 한픽셀이 작은 CCD의 조합은 참으로 경제적입니다. 나름 신경써서 처리하여 그럭저럭 봐줄만은 합니다만 투명도가 좋으면 얼마나 좋아질...
    Date2009.10.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066
    Read More
  8. [필름] IC1396

    9월달에 간신히 시간을 내어 덕초현에 갔는데 구름이 왔다리 갔다리 해서 한 장밖에 못찍었습니다. 그나마도 노출이 부족해서 보정을 해도 영 시원찮네요. 평균점수 깎아먹는 사진이지만 기록 차원에서 남깁니다. 2009년 9월 19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
    Date2009.11.02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522
    Read More
  9. 베일(Ha_gray)

    Date: 2009.11.02 Telescope: TMB130SS/AP0.75x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 600s*3장 Guiding: 66mm ED/DSI(GPUSB) Location: 화성시 궁평항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no dark/no flat/ 날이 갑자기 추워지고 ...
    Date2009.11.0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74
    Read More
  10.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성운

    노트북 밧데리 연결 잭을 안가져와서 즉석에서 차량 밧데리로 대체하고 카메라 외부 밧데리를 안가져와서 즉석에서 선을 잘라서 다른 밧데리로 연결해서 겨우겨우 밤을 지새울 수 있었습니다. 유성우 찍기 전에 하나 건졌습니다. 라면 2개에 김밥에 술과 안주...
    Date2009.11.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03
    Read More
  11. 오리온 대성운

    가이드 스코프로 사용하려고 구입한 폴라 렌즈가 영 안 좋네요... 수차가 너무 심해서 초점이 맺히질 않습니다... 도대체 이런걸 어떻게 쓰라고 만든건지... ㅋㅋㅋ 여튼 그런 이유인지 가이드가 영 이상하게 되었습니다. 가이드는 엉망이지만 노말 DSLR로 암...
    Date2009.11.19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314
    Read More
  12. 오리온대성운

    오랜만에 포스팅 해봤습니다. qhy8로 바꾼 후 첫 촬영이니만큼 준비해야 될 것들이 눈에 보입니다. 성애가 우하방향에 낍니다. 세시간 이상 냉각을 시키니 많이 없어지기는한데, 새로나온 건조박스를 구매해야 속이 시원할 듯 합니다. 성애로 크롭했습니다. ...
    Date2009.11.1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36
    Read More
  13. IC434

    Date: 2009.11.17 Telescope: TMB130SS/AP0.75x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1x1)600s*4장/G,B(2x2)300s*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화성시 대부도 대남초등학교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33
    Read More
  14. 버나드루프

    85mm 렌즈로 찍은 버나드루프입니다. 성운을 강조하기 위해 R64필터를 끼고 찍은 사진과 그냥 찍은 사진을 합성하였습니다. 촬영일시: 2009.11.18. 0:47~2:27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2도 렌즈: 삼양광학 Polar 85mm F1.4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56
    Read More
  15. 오리온대성운

    노출을 20분씩 끊었더니 M42 중앙부는 완전히 타버리네요. 중앙은 포기하고 주변만 살려보았습니다. 촬영 매수가 작아 사진이 좀 거칩니다. 촬영일시: 2009.11.18. 3:03~4:24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2도 망원경: William Optics Zenithstar 70ED + Borg 0....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02
    Read More
  16. 장미성운(ngc2237)

    별만세관측소의 겨울밤은 바람이 많이 드센 편입니다. 그래서 겨울철 한계절 만큼은 바람 영향없는 굴절로 나는 게 정신건강에 좋더군요. 어제, 별만세 11월 정기 관측회에 참석한 김에, 8개월만에 적도의 위로 굴절망원경(125SDP)을 얹었습니다. 해마다 장미...
    Date2009.11.2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46
    Read More
  17. m1

    Date: 2009.11.21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LHaGB=60:60:30:30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화성시 궁평항 부근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no dark/no flat/crop 윌...
    Date2009.11.2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60
    Read More
  18. M42, 43 등등

    오랫만에 호빔천문대엘 갔었습니다. 반가운 분들 얼굴도 뵈었구요... 꽁수로? Ha 영상을 찍어보려고 했는데... DSLR에서는 무리였네요... 그냥 컬러로 찍은 영상만 올립니다. 300초 네장이라 노이즈가 심하네요... ㅜㅜ; --------------------------------- -...
    Date2009.11.24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756
    Read More
  19. 오리온성운

    간만에 덕초현에 있는 원격관측소를 열었습니다. 16인치 RC는 몇가지 문제가 해결이 안돼서 다음으로 미루고... 이번 시스템은 경통 10인치 F4 뉴톤, CCD는 ML16803, 필터는 아스트로노믹 50mm 사각필터, 가이드는 QHY5입니다. 이 시스템도 필터휠과 카메라가...
    Date2009.11.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85
    Read More
  20. M78

    요즈음은 날이 좋다가도 밤이되면 결국 안개가 끼거나 투명도가 급격히 떨어집니다. 여건이 좋지는 않지만 하늘을 향해 자주 겨눌 수 있으니 좋습니다. M78은 만족스럽게 찍어보지 못한 대상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역시나 낮은 투명도 덕에 좋은 사진은 되...
    Date2009.12.0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23
    Read More
  21. 말머리

    아스트로50d 넘기기 전에 마지막으로 촬영했던 사진입니다. 지금 생각하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달랑 세장이고 노다크,노플랫입니다. 포토샵으로만 처리했습니다. 2009.9.17 em200tjr, pentax105sdhf(0.77x), astro50d 20분*3장
    Date2009.12.04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01
    Read More
  22. M78

    오랫동안 벼르고 있던 녀석을 촬영해 봤습니다. 생각보다 잘 안 나오네요. 플랫촬영을 해서 해 봤는데, 이제서야 잘 되네요^^;; 추가로 몇 장 더 촬영해서 합성해봐야겠습니다. 노트북으로 처리하여 색감등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덕초현 천문인마을 Pentax10...
    Date2009.12.14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425
    Read More
  23. M45

    계속 해만 지면 투명도가 안 좋은 날의 연속입니다. 그럴 경우 노출이라도 많이 줘야하는데 사실 그럴 여건도 허락하지를 않습니다. 간간히 구름이 흐르거나 하기 때문인데.. 암튼 더 좋은 날이 오겠지요. 빠른 광학계와 섬세한 CCD의 조합은 역시 막강합니다...
    Date2009.12.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89
    Read More
  24. ic443_ngc2174 주변

    촬영정보 렌즈:니콘105mm(1.8 at F4) 카메라:QSI583WS 노출:Ha(600s 6장) RGB(각300s 3장) 가대:EM200Temma2(노터치 가이드) 한파가 몰아치고 있었지만 맑은 하늘을 보고 그냥 집에 들어가기 참 힘들더군요. 도착한 양평 하늘은 정말 깨끗하더군요. 하지만 그...
    Date2009.12.1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283
    Read More
  25. IC2177 갈매기성운

    옅은 구름이 낄 것같아 가까운 부산 남구 용호동 오륙도 SK 밑 방파제로 가게 되었습니다. 북쪽으론 아파트불빛이, 남쪽엔 등대가, 서쪽엔 도심불빛이, 동쪽으론 1~2분 간격으로 차량이 자주 드나들고 마을버스도 주기적으로 들어오고, 방해요인이 많아, 광해...
    Date2009.12.1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268
    Read More
  26. IC2118 마귀할멈성운

    마귀할멈성운을 리겔과 함께 담아보았습니다. 사진을 180도 회전시켜 마귀할멈 얼굴을 세웠습니다. 리겔이 워낙 밝아서 화면 반대편 구석으로 고스트상이 생기더군요. photoshop에서 대충 지웠는데 자세히 보면 티가납니다. 촬영일시: 2009.12.15 22:28~25:36...
    Date2009.12.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864
    Read More
  27. 장미성운

    촬영일시: 2009.12.16 1:52~3:23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3도~-17도 망원경: William Optics Zenithstar 70ED + Borg 0.85X DG Reducer (D=70mm, f=366mm)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적도의: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미니보그50 (D=50mm, f=250...
    Date2009.12.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25
    Read More
  28. ngc2237 장미성운

    광해때문에 원래 계획된 대상은 찍다가 포기하고 올해도 또 장미 한송이 꺽게 되었습니다. 좀 식상하겠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론 광시야 ha로 처음 찍어보게 되었습니다. 칼라를 입히지 못한게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2009. 12. 17 용호동 방파제 telescope : n...
    Date2009.12.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31
    Read More
  29. m78 재처리

    m78을 2시간 더 촬영하여 재처리했습니다.
    Date2009.12.18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410
    Read More
  30. Sh2-264 Angelfish 성운

    엔젤피쉬 성운입니다. 상당히 어두운 성운이라 R64필터를 끼고 찍은 사진과 그냥 찍은 사진을 합성하였습니다. 촬영할 때 구름이 오락가락하더니 밝은 별 주위가 부었네요. 촬영일시: 2009.12.18. 22:50~25:24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6도~-19도 렌즈: 삼양...
    Date2009.12.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582
    Read More
  31. SH2-240

    맑았던 하늘이 한우산에 올라가는 순간 구름 가득에 눈발까지 날리길래, 실로 오랜만에 삼랑진 천태공원을 찾았습니다. 근데 거기가 원래 그래 밝았던가... 아님 최근에 밝아진건지. 하늘이 회색이더군요. 벼르고 찍었건만 배경이 너무 타버리고 매수부족이라...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65
    Read More
  32. ngc2264(크리스마스 성운)

    Object: ngc2264 Date: 2009.12.19~20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60:30:30:30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여우의 모습을 제대로 표현해보고 싶었는데 맑은 하늘에 다...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