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NGC3325인근

    제목 : NGC3325인근 망원경/렌즈 : FDK250 카메라 : QHY247C 마운트 : CRUX 200HDA 노출정보 : 400sec X 20 촬영장소 : 서호주 퍼스 인근 촬영일시 : 2018년 1월 19일 가장 많이 공을 들인 대상입니다. 노출시간도 디지털 현상작업도 워낙 좋아하는 대상이기에...
    Date2018.02.1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61
    Read More
  2. NGC3372

    용골자리에 있는 성운으로 한국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남천여행을 가면 은하수 남쪽 끝자락에 꽤 밝은 구름같은 것이 맨눈으로 보입니다. 지구에서 6500~10000광년에 걸쳐저 있는 큰성운입니다. 북반구의 가장 밝은 오리온 대성운 M42보다 네배 가까이 더 큰...
    Date2016.09.1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9
    Read More
  3. NGC3372 Eta Carina 대성운

    R.O.로 첫 촬영한 남반구 하늘의 대상이자 남쪽 하늘의 대표적 성운인 Eta Carina입니다. 그런데, 호주 천문대 현지에 바람이 많이 불고 Internal 가이드 세팅에도 문제가 있어 Luminance 10분씩 11장을 찍었음에도 모두 문제가 있어 촬영에 애를 먹었습니다....
    Date2013.02.23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846
    Read More
  4. NGC3372, The Great Eta Carina Nebula

    ||1지난 2월달 시도에 이어 Luminance와 Ha를 추가로 찍고 두번째 시도입니다. 지난번 보다는 좀 더 배경이나 성운기가 자연스럽게 표현이 되어진 듯 합니다만. 광각(비교적?^^) 망원경에 Full Frame CCD로 성상이 예쁘게 나오게 하기는 참 힘이 드는군요. ^....
    Date2013.05.10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833
    Read More
  5. NGC3576

    작년 11월 호주 원정 촬영때 찍은 사진을 이제서야 열어 봅니다. 날시가 좋지만 않은 마지막날에 찍었습니다. 오래 간만에 처리를 하니 자꾸 이상하게 되는군요. ㅎㅎ FSQ106 ST10XE (80%축소 풀프레임) EM11 Ha 120m RGB 15m 2006년 11월 24일 호주 이건호 ...
    Date2007.09.2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888
    Read More
  6. NGC5146 Cocoon(누에고치)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대상이 어두워 노출을 더 주었으면 했으나 아직은 노터치로밖에 찍을 수 없는 상황이라서.. 노출이 부족한 것을 무리하게 커브로 올리다보니 자연스러움이 약간 떨어집니다.. - FS152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Date2003.10.2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52
    Read More
  7. NGC5367

    센타우루스 자리의 보석같은 성운입니다. 유사한 성운으로는 북반구의 NGC7023과 비슷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마치 혜성 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태어난지 얼마 안된 혈기왕성한 쌍동이 별의 에너지로 인해 형태를 확인시켜주는 반사성운입니다. 두별의 간...
    Date2016.09.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00
    Read More
  8. NGC6188 - Fighting Dragons of Ara

             2023.06.21~23 FSQ-106 ZWO ASI2600MM Pro RainbowAstro RST-135 SuperMount CYG42PS   QLD, Australia     Antlia EDGE H-alpha 4.5nm 36 mm: 24×240″(1h 36′) Antlia EDGE OIII 4.5 nm 36 mm: 22×240″(1h 28′) Antlia EDGE SII 4.5 nm 36 mm: 38×2...
    Date2024.03.04 CategoryNebula By공양식 Views99
    Read More
  9. NGC6188 Region

    칠레 아타카마에 도착 두번째 날에 촬영한 성운 성단입니다. 전갈자리 남쪽에 위치한 제단자리에 있는 성운으로 화려한 컬러가 일품입니다. 일교차가 커서 제 아무리 카본이라도 약간의 초점변화가 있습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한 탓도 있어 별...
    Date2016.08.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15
    Read More
  10. NGC6334

    전갈자리 꼬리 쪽에 있는 성운으로 발광성운입니다. 한국에서는 역시 고도가 낮아 촬영이 힘듭니다. 아타카마의 시상과 하늘을 생각하면 가져가 시스템은 Under sampling이라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런 노우하우를 살려 2019년에는 반드시 더 디테일하고 멋진...
    Date2016.09.1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
    Read More
  11. NGC6334 (20D)

    고양이 발바닥 성운 입니다. 주중은 물론 토요일 일요일도 왜이리 바쁜 일들이 많은지.... 이제 서야 예전 찍어논 대상을을 정리 해 보며 정신 차리고 이미지 처리 해 봅니다. 지난 4월16일 전갈 꼬리 부근 낮은 고도의 대상을 경통을 거의 수평으로 눕혀서 ...
    Date2005.05.1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67
    Read More
  12. NGC6334 Cat's Paw Nebula

    제목 : NGC6334 Cat's Paw Nebula 망원경/렌즈 : Takahashi FCT-76 카메라 : QSI-683WSG /w Lodestar guide CCD 마운트 : Takahashi EM-11 필터 : 노출정보 :  L=600s X 7,  R/G/B=300s X 5 each (2x2) 촬영장소 : Karijini ECO Retreat, Australia 촬영일시 ...
    Date2014.08.07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739
    Read More
  13. NGC6357

    전갈자리에 있는 성운으로 확산성운입니다. 이 지역 역시 밀도가 높아 별이 탄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창조의 기둥들이 보입니다. 랍스타 성운으로도 불리우며 지구로부터 8000광년의 거리에 있습니다. 보통 고양이 발 성운(NGC6334)과 같이 넓은 시야로 촬영을...
    Date2016.09.3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89
    Read More
  14. NGC6357

    제목 : NGC 6357 망원경/렌즈 : 자작 8인치 Newtonian 망원경(8 inch F/4 GSO mirror + 안타레스 3.1인치 사경 + paracorr2) 카메라 : Oympus E-PL5 (AA+IR cut 필터제거) 가이드 : 자작 OFF AXIS Guider + QHY5L II 마운트 :  자작 하모닉 드라이브 Goto 적...
    Date2016.10.17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57
    Read More
  15. NGC6357 / 6334 Region

    아주 오래된 사진입니다. 이상하게도 처리가 밀리다 보니 계속 밀리게 되는군요. 낮은고도와 부유물질 광해 덕분에 수차가 강조된듯 합니다. 전갈자리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았던 악조건하의 촬영입니다. 그리고 덕초현의 남쪽이 사실 망가진 것도 원인입니다...
    Date2006.11.0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78
    Read More
  16. ngc6357 ; War and Peace Nebula in the Scorpius

    2017년 5월 26,28,29일 경남 의령 Pentax 75SDHF Ha 900s x 12, LRGB 600s x 6= 420min(total 7h) QHY16200a(-30도) Astrorainbow RST400 Equatorial Mount Off-axis guide /c QHY178M bin2 , 2sec normal speed guide HaLRGB routine Image processing 드디...
    Date2017.06.08 CategoryNebula By권한조 Views215
    Read More
  17. ngc6357+6334

    전갈자리 꼬리부근에 있는 발광성운입니다. 두개가 나란히 있어 사이좋게 보입니다. 하나씩 찍으려다가 FD300화각에 넉넉히 들어와 함께 찍어보았습니다. 하단이미지중 왼쪽이 NGC6357이고 우측이 고양이발성운이라 불리는 NGC6334입니다. NGC6357에는 사선방...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55
    Read More
  18. NGC6520 & B86

    어제 오랜만에 날씨가 좋았습니다. 의뢰 받아놓고 그 동안 미뤄오던 ASI1600MC-COOL 테스트와 적도의 가이드 테스트 겸 사진을 찍었습니다. 가이드 테스트 대상으로 남쪽 대상 중에서 선택하다보니 이교수님이 찍으신 NGC6520&B86을 찍게 되었습니다. NGC...
    Date2016.08.25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72
    Read More
  19. NGC6729

    Telesocpe : WO STAR-71 II (D:71mm, fl:350mm) CCD : SBIG STL-11000M Mount : RainbowAstro RST-150H  Exposure : L 300s x 12(1x1bin), RGB each 300s x 6(2bin) total 2h 30m Location : Bobundara, NSW, Australia Date :  28/Jun/2017 2년간 묵혔던 사...
    Date2019.03.23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87
    Read More
  20. NGC6729/NGC6723

    NGC6729는 남쪽 왕관자리 감마성 근처의 푸른색을 띠는 산광성운과 분자운의 조합입니다. 푸른성운 뒤에 빛나는 별이 변광성이라서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개인적으로 푸른색 성운이나 분자운을 좋아합니다. 사상이 좋지 않았던지 아니면 가이드 문제였...
    Date2016.09.0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6
    Read More
  21. NGC6888

    2004년 8월 8일 분당 AP130, EM200, ST10xme Ha 20min x 3 구름때문에 중간중간 망원경을 덮어서 실제 노출시간은 반정도 됩니다. 1/2 리사이즈
    Date2004.08.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24
    Read More
  22. NGC6888

    2005 05 15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Ha60m, RGB=15m, 15m, 15m 시상은 좋았고 투명도가 많이 떨어진 날로 기억됩니다.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73
    Date2005.09.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81
    Read More
  23. NGC6888

    2005년 10월 20일 Astrovil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Ha+R, RGB=60m+60 (15m, 15m, 15m) 어째 6888찍을때면 투명도가 떨어지네요. 시간에 비해 나온 것은 부족해 보입니다.
    Date2005.11.2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19
    Read More
  24. NGC6888

    2006년 3월 3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L11k/paracorr 6nm Ha filter, 1200s x 4 한 10장쯤 찍을 목표였었는데요 ㅎㅎ 항상 초승달성운찍을때마다 날씨가 나빠지는군요. 그나마 제가 지금까지 찍은 초승달 중에선 가장 잘 나...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60
    Read More
  25. ngc6888

    지난 월요일, 신범영샘과 강원도 화천을 다녀왔습니다. 한달 후면 고대하고 고대하던 고정관측지가 완성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 사진테스트차 다녀왔는데 관측소 주변환경이나, 입지조건, 하늘상태가 개인적으론 아~~주 아주 마음에 드네요. 이것저것 테스트...
    Date2007.05.2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45
    Read More
  26. ngc6888

    Date: 2008. 08. 03(양평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Ha(7nm) 600s*5장 / LPS-P2 600s*4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다음날 보충수업의 압박이 있었지만 맑게 열린...
    Date2008.08.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13
    Read More
  27. ngc6888

    eq6, e-160, 아스트로350d, st402가이드 600초 * 7 경북울진 8월8일경 찍어 두었던 이미지입니다. 이제서야 올립니다. 비가 그친후 다가오는 가을 하늘과 올라올 회원님들의 이미지가 기대 됩니다.
    Date2008.08.22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572
    Read More
  28. ngc6888

    Date: 2009.04.22 Telescope: TMB130SS/F7 Mount: EM200 Temma2 Camera: QHY8(one-shot color) Filters_Exposure: LPS-P2(900s*5장)/Ha7nm(1200s*4장) Guiding: 66mm ED/DSI(GPUSB) Location: 양평군 양동면 고갯길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
    Date2009.04.2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66
    Read More
  29. NGC6888

    백조자리 초승달성운 부근을 FD300으로 찍었으나 RGB찍을때 안개로 모두버리고 Ha만 처리해봅니다.^^ 봄, 여름철에는 모든것이 쉽지않네요.^^ 2009-06-18일 별마실관측소 EM400 + FD300 F2.8 전면마스킹 F4.0 + STL11000M -20 Ha:1200s *5장
    Date2009.06.2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79
    Read More
  30. NGC6888

    카시오페이아가 겨우 보이던 그런 날이었습니다. 낮에는 맑은데 밤만되면 도대체 왜 그런지.. 하지만 빠른 반사광학계와 한픽셀이 작은 CCD의 조합은 참으로 경제적입니다. 나름 신경써서 처리하여 그럭저럭 봐줄만은 합니다만 투명도가 좋으면 얼마나 좋아질...
    Date2009.10.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066
    Read More
  31. NGC6888

    지난 금요일 밤에 관촌에서 촬영해봤습니다. 전주에서 올라오는 불빛이 밝고 투명도가 많이 떨어져 걱정했었는데, 생각보다 잘 나온 것 같습니다. EM200TJR, 105SDHF, 500D(UR-IR), ISO1600, 300S*21
    Date2010.04.20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32
    Read More
  32. NGC6888

    Imaging Date: May 21th, 2010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Ext.guide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 -25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300sec X 28 (1X1), RGB 300s...
    Date2010.05.27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4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