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메두사 성운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1월 2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5분 12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70% Crop & Resize 월초에 찍어...
    Date2009.01.1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645
    Read More
  2. Rosette Nebula (ngc2237)

    오랜만에 사진 올리네요. 어제 별만세 2009년 첫 정기관측회에 다녀왔습니다. 아직 채 지지 않은 겨울철 대상을 담아보기엔 월출 시각이 너무 이르더군요, 그래도 달이 뜰때까지는 날이 좋았습니다. 매수가 좀 적네요. [촬영정보] KASTRON 12.5DS (F4.5) / NJ...
    Date2009.01.1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22
    Read More
  3. 장미성운

    월령이 좋아지는 요즘 낮엔 날이 맑다가 밤엔 흐리기를 반복하며 애태우던차에 설연휴를 앞두고 한파를 헤치고 양평으로 떠났습니다. 서해안엔 폭설이 내리고 있었지만 투명도와 시잉이 괜찮았습니다. 다만 새벽온도가 영하20도 이하로 내려가더군요. 숨쉴때...
    Date2009.01.2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38
    Read More
  4. 캘리포니아성운

    내일이면 음력설입니다. 모두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 해 연말에 찍어 놓았던 사진인데 이제서야 올리게 됩니다. 총 160분의 노출을 주려고 계획했었는데 마지막 4장은 전봇대에 걸려 버리고 말았습니다. 하늘은 맑은데 어디선가 간간이 눈발이 날리고...
    Date2009.01.2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60
    Read More
  5. Crab Nebula (M1)

    별만세 관측소 하늘이 이제 급기야 아프리카 동영상으로 생중계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신범영선생님의 실험과, 도전 정신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곁에서 바라보며 항상 존경해 마지 않는답니다. 그저께는 바람때문에 건진게 없었는데, 어젠 바람도 ...
    Date2009.01.2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18
    Read More
  6. 해파리성운(IC443)

    게성운이랑 같은 날 촬용한 이미지입니다. 촬영매수가 좀 적어 아쉽습니다. [촬영정보] KASTRON 12.5DS (F4.5)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SⅡ, OⅢ Filters) / 2009. 1. 27(화)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R.O / R=SⅡ, G=Ha, B=...
    Date2009.01.2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10
    Read More
  7. 달랑 1장짜리 에스키모 성운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CCDT67 x0.75 reducer)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1월 30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1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성운...
    Date2009.01.31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524
    Read More
  8. 해파리...

    지난 설 연휴에 찍은건데 플랫을 못찍어서 타버린 하늘을 살리느라 포샵을 좀 해봤는데 잘 안되네요.... 오성진님 경통을 빌려쓰고있는데 좋은사진을 못찍어서 좀 죄송할따름 입니다 ..ㅎㅎ pentax 100 sduf EM200 Temma Jr ASTRO 350D ISO 1600 7min x 30 크...
    Date2009.02.01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450
    Read More
  9. 오리온좌의 숨은 보석..NGC 2182,2185,2170

    오리온좌에 있는 아름다운 성운들.. .. 너무 어두운 관계로 .. 하늘이 청명하지 않으면 너무 찍기어려운 대상인것 같습니다. NGC 2182.2185 , 2170 area .. TOA + 6303 / LRGB 각 20분, 10분.. 씩.. 3장. ** 오리온자리의 바로 동쪽에 있어 오리온좌라고 생각...
    Date2009.02.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50
    Read More
  10. 팝콘성운..IC2162..

    ||1오리온좌? 의 위쪽에 있는 작은 예쁜 성운입니다 TOA로 찍기로는 좀 작군요..촛점도 좀 나가고..원본 crop입니다. RGB를 2x2로 찍었는데... 촛점도 나가고..,, 별상이 ㅠㅠ 작은 대상은 RGB도 1x1으로 찍어야 겠습니다. TOA + 6303 HARGB - 10분 5분씩. 예...
    Date2009.02.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594
    Read More
  11. 꽃속의 산개성단 NGC2244~~

    장미성운도 좋지만 꽃속의 수술같은 성단 NGC2244도 너무 멋진 대상으로 생각됩니다.. 주변의 성운기에 묻혀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관측에서는 성단을 중심으로 잡아봤습니다.. 처음 사용해본 QHY5로 가이드를 해봤는데 어렵더군요.. 그레도 1장만 버리고...
    Date2009.02.02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06
    Read More
  12. 오리온 중심

    예전에 촬영해봤던 영역인데 버나드루프가 다소 짤려 저번보다 노출도 길게 구도도 다시 잡았지만 관측지에서 오리온자리가 광해영역으로 접어들면서 저번보다 주변의 자글자글한 성운의 표현력이 좀 아쉽게 되었습니다. 광해로 이미지에 그라디에이션이 생기...
    Date2009.02.0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19
    Read More
  13. IC443 (해파리성운)

    FSQ106 화각에 맞는 대상이 제한되다 보니 몇 대상은 여러 번 찍게 되었습니다. 해파리성운도 대여섯 차례에 걸쳐 20여 시간 노출을 주었는데 포커서 고장으로 초점이 나간 것 등 상태가 좀 안 좋은 것을 제외하고 15시간 정도의 이미지를 모아서 처리했습니...
    Date2009.02.0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06
    Read More
  14. IC1805(Heart, Valentine Nebula)

    흔히 하트성운으로 불리는 ic1805의 또 다른 별칭은 발렌타인 성운(Valentine Nebula)입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는데 이미지처리를 하고 보니 우연히 오늘이 발렌타인데이네요. (제 딸의 생일이기도 합니다.) 쵸코렛 많이 주고 받으세요... 망원경: Takahash...
    Date2009.02.1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89
    Read More
  15. IC447_2169 around

    전에 크리스마스와 장미를 광시야로 찍었을 때 크리스마스 성운 주변에 희끄무리한 성운기가 보여서 이번에 촬영을 해봤습니다. 푸른색 성운 내부와 주변에 볼거리가 많은데 제대로 표현이 되지 못하고 대상이 서쪽으로 기울어 노출도 적어 배경이 거칠게 되...
    Date2009.02.1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62
    Read More
  16. NGC1499

    가동하는 장비가 많으니 생산량이 많게되고 그러다 보니 쌓이게 되고 그러면 새로 찍는 의욕이 약간씩 사라지기도 합니다.. 106과 11K의 궁합은 정말 좋은 듯 합니다. 하지만 어느덧 찾아오는 딮 딮 스카이의 매력.. 역시 대구경 장초점 사진의 ...
    Date2009.0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1
    Read More
  17. IC2177(갈매기 성운)

    갈매기 성운으로 불리는 IC2177입니다. FSQ106+11K의 화각에 맞는 대상이 제한되다 보니 커다란 몇 개의 대상을 반복해서 찍게 되었습니다. 그 중 하나인 IC2177은 지난1월, 월령과 하늘상태가 무난했던 날 대부분 망원경을 행해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날이 ...
    Date2009.02.2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46
    Read More
  18. M97과 M108

    또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 스타파티는 잘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토요일에 적도의 구입차 서울에 올라갔습니다. 그냥 내려오기 뭣해서 네이버 동호회 분들과 함께 대부도에서 관측을 하고 내려왔습니다... 생각보다 작은 대남 초등학교와 말로만 듣던...
    Date2009.03.03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541
    Read More
  19. 말머리 주변...

    지난 주말 음성엘 가면서 간단히 촬영장비를 챙겨갔습니다. 멀리까지 나갈 시간이 없어서... 시골집에서 2km 정도 떨어진 논으로 촬영을 나갔습니다. 망원경 올리고, 극축 맞추고... 카메라 연결하고.. 카메라 전원을 켜는 순간... No CF card~ OTL 달뜨기 전...
    Date2009.03.16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452
    Read More
  20. 갈매기 성운

    다크 플랫 처리를 못한 갈매기 성운을 다시 처리하였습니다..... PENTAX 100 SDUF ASTRO 350D ISO 1600 7분 x 30 2008.12.31 2009.1.23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9.03.1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565
    Read More
  21. 간만에 파란 주말이 되나 싶더니...

    주말엔 비가 온다고 하네요...좋은 월령인데..ㅠㅠ 올해 이상합니다..주말만되면 날씨가....ㅠㅠ 퇴근 일찍한 기념으로 작년 12월에 찍은 M33에 마찬가지로 플랫처리 해보았습니다.ㅎ 수상하신분들 모두 축하드리구요^^ 2008.12.3 2009.1.22 EM200B ASTRO 350...
    Date2009.03.2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589
    Read More
  22. 090320_ngc1931

    2009년 30월 20일 호빔에서 촬영한 ngc1931 입니다. 작은 성운이라서 별다른 특징을 볼 수 없네요. 노출 시간도 어정쩡하게 잡아서 그냥 그렇습니다. 대구경 장초점으로 찍으면 멋있으려나.....^^ 촬영시간 : 2009년 3월 20일 촬영장소 : 호빔천문대 망원경 :...
    Date2009.04.0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99
    Read More
  23. NGC7000 / IC5067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성운.. 늘 여름별자리가 새벽에 떠오르는 봄만 되면 매년 이 대상을 찍기 위한 도전을 합니다. 이번에는 오랜만에 메시에 마라톤이 열리는 덕초현에 천문인 마을에 갔습니다. 동반한 장비는 새로 영입한 경통인 다카하시 SKY-90과 리듀서...
    Date2009.04.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74
    Read More
  24. M57, 고리성운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CCDT67 x0.75 reducer)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4월 18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분 30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1024x...
    Date2009.04.19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479
    Read More
  25. SADR 주변 (FD300 별상테스트)

    첨으로 fd300+11k의 풀프레임을 쓰게 되었네요. 그동안 이런저런 이유로 fd300의 별상을 잡지 못하다가 어제 비로소 성공을 했습니다. 화각이 넓긴 넓네요. 가로 6도 정도 나오니 이것으로 못담을, 단일 대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올 여름 은하수 주변을 노려...
    Date2009.04.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54
    Read More
  26. 고리성운 넓게보세요.

    5D MK2 1200GTO BRC250 아래 넓게보는 M13과 같은날 찍은 사진입니다. 역시 고ISO 노이즈리덕션을 안켰더니 바탕이 메롱입니다. 2분짜리 10장정도 합성이고 RAW를 처리할 엄두가 안나 JPEG를 반으로 줄여서 맥심합성했습니다. 역시 노플랫, 노다크... 플랫을 ...
    Date2009.04.22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478
    Read More
  27. ngc 6914

    - 촬영일시 : 2009년 04월22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SH200 - 카 메 라 : Astro 400D - 보정렌즈: MPCC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5 - 노출정보 : 600s X 12EA - 소프트웨어 : ImagesPlus 합성 ,...
    Date2009.04.23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428
    Read More
  28. ngc6888

    Date: 2009.04.22 Telescope: TMB130SS/F7 Mount: EM200 Temma2 Camera: QHY8(one-shot color) Filters_Exposure: LPS-P2(900s*5장)/Ha7nm(1200s*4장) Guiding: 66mm ED/DSI(GPUSB) Location: 양평군 양동면 고갯길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
    Date2009.04.2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66
    Read More
  29. 동쪽숲 위로 은하수가 올라옵니다.

    동쪽 숲 위로 은하수가 올라오네요. njp+fd300+11k L 10s + Ha 60s 각 2bin, 1장씩 풀프레임
    Date2009.04.2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19
    Read More
  30. m8

    Date: 2009.04.28 Telescope: TMB130SS/F7/0.75X Mount: EM200 Temma2 Camera: QHY8(one-shot color) Filters_Exposure: LPS-P2(900s*4장) Guiding: 66mm ED/DSI(GPUSB) Location: 충북 괴산 공림사 주차장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no ...
    Date2009.04.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06
    Read More
  31. 090428_ngc7000_ic5067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에 방수비닐포로 씌워둔 불쌍한 망원경이 거의 일주일째 좋은 날씨를 만나지 못해 비바람을 맞고 서있었습니다. 속쓰림에 매일같이 원격웹캠으로 그녀석을 바라보려니 마음이 아프군요. 뭔가 수를 내야겠습니다. 이번월령은 이상하게 달...
    Date2009.04.29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668
    Read More
  32. M16 , M17 그리고 은하수...

    간간이 구름이 지나가는 날이었습니다. 사실, 예보로는 소나기가 내리겠다는 날이었는데, 별만세 관측소 지붕위에 설치된 전천카메라로 확인하는 밤하늘은 대체로 평균 이상이었습니다. (못믿을 기상청.... 그래도 고생하는거 다 알지만요,) 테스트 겸해서 작...
    Date2009.04.2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