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Veil nebula (ngc6960)

    Veil의 서쪽 부분, ngc6960입니다. 그야말로 사진을 찍을 수 없는 날, 어제 무식하게 망원경을 들이대어 보았습니다. 장마철, 하지 다음날에, 달뜨는 시각부터 촬영을 했거든요. 모처럼 하늘이 개었길래, 그냥저냥 촬영시스템 점검 차원, 대상 사전 탐색 차원...
    Date2008.06.2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896
    Read More
  2. NGC 7000 - Ha

    Ha 사진의 장점은 Ha 만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0분 노출 Ha이미지 4장을 합성해서 다른 처리는 하지 않고 레벨만 조정해 보았습니다. FSQ와 11000은 참 궁합이 좋은 조합같습니다. em200+fsq106ed+stl11000 Ha = 80 25% resize, 50% resize (no...
    Date2008.06.24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877
    Read More
  3. Bubble Nebula(NGC7635) and M52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빨간 풍선껌 버블성운과 그 북동쪽에 자리한 M52 산개성단입니다. 두 대상이 카메라의 대각선 방향이라 ADT12.5인치 화각에 아슬아슬하게 들어가네요. 6월11일 밤은 투명도와 시상이 보기드믈게 좋았지만 아쉽게도 자정전에는 상현달...
    Date2008.06.26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06
    Read More
  4. M99

    M99 머리털자리의 나선은하로 얼핏보면 M101이라 착각할 정도로 흡사하지만 시직경 5분 정도로 메시에 목록으로는 작은편입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카메라: SBIG STL-110...
    Date2008.06.26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09
    Read More
  5. [재처리] Central Segment of the Veil nebula (피커링의 삼각형)

    베일주변 곳곳을 진득하게 찍어보고 싶은데 날씨가 잘 도와주질 않네요. 장마철에도 때때론 맑은 하늘을 보여주기도 하던데, 월령까지 맞춰서 맑은 하늘을 기대하는 건 좀 과한 욕심인가봅니다. Ha 달랑 1장! 노출 매수가 적어 바탕이 불균일합니다. 좀 더 모...
    Date2008.06.2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063
    Read More
  6. 사연많은 베일성운

    기대 안햇는데 의외로 하늘이 간밤에 좋았습니다 구름이 자주 지나가서 한대상을 오래 찍지도 못했고, 그나마 찍은대상도 구름과 환상적인 이슬때문에 삐리리 하네요 오메가 성운은 구름지나가서 날렸고 베일성운도 한참 찍다가 테이블 위를 보니 코마코렉터...
    Date2008.06.3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642
    Read More
  7. 아령성운~

    오메가 찍다가 구름껴서 (베일은 고도가 낮고 )황급히 아령을 잠깐 담아봤습니다 늘 그렇듯 구름껴서 대상을 옮기면 구름은 당연히 옮긴 대상을 따라 가더라구요. 아령 몇장 찍고있으니 오메가는 뻥뚫리고 아령쪽에 구름이...............ㅡ.ㅡ 2008.6.29 Ori...
    Date2008.06.3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680
    Read More
  8. VDB142 in IC1396

    어제는 오랜만에 만나는, 몇 안되는 '장마철 속 맑은 날'이었습니다. 이런 날은 현장에서 은하수를 만끽하며, 차곡차곡 쌓이는 사진들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재미도 가져야 하는데 오늘이 월요일이라 여느날처럼 집에서 촬영합니다. 사실 무시못하는 기름값이 ...
    Date2008.06.3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207
    Read More
  9. Western segment of Veil Nebula (NGC6960)

    서쪽 베일입니다. 장마철 달빛을 피해 찍다보니 아무래도 기대만큼 쨍한 맛이 나지 않습니다. Ha 이미지는 6월16일 보름을 앞둔 월령13일의 달과 싸우며 찍었고 RGB 이미지는 6월25일 하현달이 뜨기 전에 찍었습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
    Date2008.07.0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28
    Read More
  10. Central Segment of Veil Nabula(Pickering`s Triangular Wisp)

    가운데 베일입니다. 베일성운 내부에 흩어져 있는 성운 중 서쪽 베일성운(NGC6960) 근처에 있습니다. 베일 전체를 찍을 때는 잘 몰랐는데 이름 그대로 삼각형의 짚단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FWHM 값이 1.8~2.2 정도로 근래 보기 드믈게 시상이 좋았던 6월30일...
    Date2008.07.0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60
    Read More
  11. Sh2-132 in Cepheus

    기말고사 기간동안 재고를 줄이려고 마구 올립니다. 양해바랍니다...^^ Cepheus 자리의 거대한 성운인 IC1396로 부터 동쪽으로 떨어져있는 보름달 크기정도(30분X20분)의 어두운 성운입니다. 지난 6월22일 날이 비교적 좋았지만 자정 이후 월령20일의 밝은 달...
    Date2008.07.0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22
    Read More
  12. 날 좋았죠?

    송암 천문대는 경기도 양주에 위치한 사설 천문대 입니다. 가끔 아르바이트 하러 오는데, 어제는 날이 좋아서 한번 달려봤습니다.ㅎ 천문대에는 미드 14"와 STL-11K가 있어서 사진 한장 찍어보았구요. 하늘이 좀 밝은데 어젠 워낙 날이 훌륭해서...... 일시 :...
    Date2008.07.1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867
    Read More
  13. m27

    Date: 2008. 07. 09(양평군 양동면) Camera: QHY8(LPS-P2 filter) Exposure: 500s*4장 Optics: TMB130SS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장마전선의 북상에 날이 좋아 저녁 늦게 허겁지겁 떠났습니다. 가이드와 초점에 초반 세팅시간...
    Date2008.07.1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76
    Read More
  14. 정말 오랫만의 별빛목욕... M8, 20, 31, NGC7000

    몇달전에 중고로 구입한 Astro350를 가지고 처음 찍어보는 별사진이네요... ㅎㅎ 그동안 너무 정신없이 바쁜척만 하고 살았나 봅니다. 어제 혼자?만의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가족들이 모두 뿔불이 흩어져 버렸습니다. 대전에서 1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옥천...
    Date2008.07.10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952
    Read More
  15. sh2-157 & ngc7510

    장마철이지만, 모처럼 좋은 날씨를 보여주었던 지난 9일 촬영했습니다. 벌써 이 대상을 3일째 겨누었지만 워낙 어두워 네로우로 찍기엔 역부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간간이 지나가는 구름들에 의해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버리게 된 프레임도 무지 많...
    Date2008.07.1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005
    Read More
  16. M16(독수리)

    지난 6월26일 잠시 들러서 독수리를 잡아 볼려는데 B에서 가이드를 못하고 결국 7월9일 다시 B만 추가하여 쪼물닥 거려 보는데 이미지 처리가 영 삐리리 합니다. 블루밍 처리도 걍 자동으로 하니 밝은 별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이상하게 되어 버립니다. 2008-0...
    Date2008.07.12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856
    Read More
  17. 안타레스 주변부

    ||1정말 간만에 올려보는 사진입니다. 거의 찍히지 않은 색감을.. 뽀샵에서 너무 많이 조정해서 좀 이상합니다만.. ㅠㅠ
    Date2008.07.1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2016
    Read More
  18. M78(NGC2068)

    오리온자리 삼태성 동북쪽에 위치한 반사성운으로 사진의 오른쪽 밝은 부분이 지름 8분크기의 M78이고 왼쪽의 밝은 부분이 지름 7분 크기의 NGC2071입니다. 한 겨울의 오리온 별자리 생각하면서 더위를 쫒으셨으면 합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
    Date2008.07.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05
    Read More
  19. M8 (NGC6523, Lagoon) in Sagittarius

    궁수자리에 있는 45분X30분 크기의 석호성운입니다. 관측소의 벽의 높이가 180cm로 높아서 남쪽의 낮은 대상 찍기가 어려웠는데 지난 7월8일 가대를 50cm정도 높여서 해결하였습니다. 아직 극축을 정확하게 마추지 못해 우측 상단의 별들에서 필드로테이션이 ...
    Date2008.07.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306
    Read More
  20. M76

    작은 아령성운,나비성운..... 별마실의 안개 만큼이나 색감 디테일이 영 삐리리 합니다.^^ 작은 성운이지만 달이 넘어가기를 기다려서 들이대 봅니다. 2008-07-09일 별마실관측소 EM400 + TEC140 + ST10XME -15도 L:300s*12장 RGB:300s*각3장
    Date2008.07.1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818
    Read More
  21. Veil Nebula

    항상 그렇지만 색감 디테일 모든것이 2% 모자랍니다. 별마실의 뿌연 안개 때문인지....... 날이 얼마나 뜨거운지 -15도가 잘안 떨어져서 수냉식 펌프를 사용하여 간신히 -15도로 찍었습니다. 그냥 이쁘게 봐주세용.^^ 2008-07-09일 별마실관측소 EQ1200 GTO +...
    Date2008.07.16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2070
    Read More
  22. M17 (Omega Nebula)

    지난 7월9일 찍은 마지막 대상입니다.안개 때문에 버릴것 버리고 처리 해보는데 아직도 미숙합니다. TEC140 + ST10 화각으로는 대상이 커서 전체 화면에 가득 들어옵니다. 여백의 맛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o^ 2008-07-09일 별마실관측소 EM400 + TEC14...
    Date2008.07.2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893
    Read More
  23. 구름속 베일(리듀서_테스트샷)

    날이 좋을 듯 해서 양평으로 향했습니다. TMB130과 AP리듀서와의 궁합을 살펴보기 위함이었죠. 너무 습한 날이어서 CCD앞면 유리에 김이 서리게 되서 몇 번이고 드라이기로 말리고.... 여러가지 자잘한 힘든 상황이 있었지만 그래도 주변부까지 리듀서가 플랫...
    Date2008.07.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87
    Read More
  24. IC1805_080729

    밤기온이 24도를 넘는 한여름밤에 비냉각DSLR로 사진을 찍는다는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무리인듯 싶습니다. 세번이나 도전했던 IC1396도 노이즈때문에 실패로 돌아가고 IC1805도 세번째 도전인데 더이상은 무리인듯 싶습니다. 최소한 DSLR이라도 냉각기능은 추...
    Date2008.07.30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470
    Read More
  25. ngc6888

    Date: 2008. 08. 03(양평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Ha(7nm) 600s*5장 / LPS-P2 600s*4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다음날 보충수업의 압박이 있었지만 맑게 열린...
    Date2008.08.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13
    Read More
  26. 버블성운과 m52

    Date: 2008. 08. 03(양평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600s*5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역시 버블 CCD 한가운데 이슬결로때문에 별이 많이 디퓨즈효과와 ...
    Date2008.08.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10
    Read More
  27. ic1396

    Date: 2008. 08. 03(양평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600s*6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지금은 시집간 PENTAX SDUF로 이곳을 담고 싶었는데 새장비로 이곳...
    Date2008.08.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87
    Read More
  28. IC1848

    열대야현상을 보이는 요며칠동안은 춘천 근교의 느랏재라는 곳으로 촬영을 다녀왔습니다. 남쪽과 서쪽은 별로지만 북쪽,동쪽은 봐줄만한 곳입니다. 예전에 훈옥군과도 몇번 갔던 곳이죠. 비냉각의 설움을 어떻게든 컴퓨터의 도움으로 해결해 보려고 쌩쇼를 했...
    Date2008.08.06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61
    Read More
  29. ngc7635, 버블성운

    여러 날을 겨누었는데, 찍을 때마다 문제가 생겨, 저와는 인연이 아닌 듯 싶은 버블입니다. 그제, 어제도 종일 겨누었는데 O3필터 가이드가 너무 어렵네요. 이젠 좀 지치기도 해서 이만 접어야겠습니다. [촬영정보] KASTRON 12.5DS (F4.5) / NJP Temma pc / S...
    Date2008.08.0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16
    Read More
  30. IC1848

    요즘 여름날씨 답지 않게 연일, 하늘이 좋습니다. 고양교육청에서 교사연수를 하고 있는데, 밤에는 연세어린이 천문대에서 6일동안 실습관측을 합니다. 하늘이 계속 좋아 교육효과 따봉입니다. 9시에 실습강의가 끝나면 부랴부랴 집으로 달려와서 촬영을 하는...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57
    Read More
  31. 080806_ngc7635

    2008년 8월 6일 밤... 안산 하늘은 안개 때문에 천정의 하늘만 그럭저럭 보이고 고도가 낮은 하늘은 완전히 구름 같은 안개.... 요즘 해수의 냉수대가 발달해서 해무가 많이 발생 한다고 합니다. 별을 보는 우리들로써는 아주 좋지 않은 징조지요. 더구나 저...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91
    Read More
  32. 대세는 버블...ngc7635

    ||1eq6, e-160, 아스트로350d, 가이드경 fs60c, st402가이드ccd 600sec * 6 경북울진 새로운 장비를 손에 익히는 것은 어려운 과정인것 같습니다. 김형석님의 e160과 qhy ccd를 4월에 인수하고 이런저런 사정에 이제서야 처음 결과물을 올립니다. 보통 새장비...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6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