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Heart Nebula (IC1805)

    관측소 지붕개폐장치에 문제가 있어 지난 토요일 신범영샘과 함께 광덕관측소를 올랐습니다. 날씨가 좋아선지 회원 여러분이 모였고, 숙소동 개장 이래 2박3일, 3박4일 머무는 분도 계셨습니다. 오후 내내 관측소 지붕개폐부분을 해결하고나서, 몇 달을 못올...
    Date2008.02.1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12
    Read More
  2. 올겨울엔...

    해파리성운을 즐겨찍었습니다 구도도 제 화각에 적당하고 노출을 늘리거나 처리를 하면할술옥 디테일이 마니 재밌게 살아나서 좀 마니 찍어봤는데 해보면 해볼수록 이거저거 태클거는게 많아서(광축,가이드,접안부 쳐짐 등..) 내년에 한번 더해볼 요량으로 올...
    Date2008.02.12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677
    Read More
  3. 백조좌 Sh2-115 & Sh2-12

    백조자리에 있는, 잘 알려지지 않은 두 성운입니다. 왼쪽이 Sh2-115이고 오른쪽 작은 대상이 Sh2-112입니다 데네브 북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너무 어두워서 그런지 외국 사이트에서도 흔히 볼 수 없었던 대상입니다. 지난 9일, 하트성운 찍고 나서 망원경 손(?...
    Date2008.02.1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19
    Read More
  4. 안타레스 주변

    촬영할 마음없이 놀러갔다 촬영했습니다. 성급하게 극망을 셋팅했더니 4분 노출에도 많이 흘렀습니다. 5시 30분정도 되니 안타레스도 남중하더군요. 24장 합성했는데도, 사진이 거칠어 니트이미지를 돌렸습니다. 내년에 전역하면 시골집 내려가서 다시 도전해...
    Date2008.02.17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757
    Read More
  5. M42

    여러장비들 세팅과 이런저런 이유로 양산까지는 시간이 걸릴듯 합니다. 시스템 하나가 겨우 세팅이 되어 가이드하며 찍어 보았습니다. 10XE로는 늘 불루밍때문에 고생했던 M42입니다. 인기가 없어 저렴하게 손에 넣은 DED108과 QHY5 가이더로서의 테스트였습...
    Date2008.02.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330
    Read More
  6. 철지난 말머리...

    지난 몇년 동안 말머리성운을 서너번 찍었지만 찍을때마다 여러 가지 트러블이 생겨서 항상 아쉬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올해도 제대로된 말머리는 못찍고 지나가는가 했는데 지난 2월6일은 그믐인데다 시상이 좋기에 말머리가 이미 서쪽으로 많이 옮겨가긴 했...
    Date2008.02.2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56
    Read More
  7. 안부인사차...

    보고싶고 그리운 나다회원님들... 이제 추웠던 겨울이 다 가고 어느덧 찬기운이 스러져 가는 듯 합니다. 죽은지 살은지 모르는 기나긴 시간 중에도 나다에는 거의 매일같이 들어와서 사진도 보고 감동도하고 또 회원님들 소식도 꼼꼼히 읽어보고 소위 '눈팅' ...
    Date2008.03.06 CategoryNebula By송준엽 Views1653
    Read More
  8. 안타레스

    작정하고 4시간 노출을 준 M101은 심한 노이즈와 색 균형의 붕괴로 처리 불가. 자러 가기 전에 막 떠오르기 시작한 안타레스를 정 가운데에 넣고 아무 생각 없이 찍은 사진입니다. 이 부근을 더 광시야로 찍으면 푸르고 붉고 노란 빛이 어우러져 아주 멋진 곳...
    Date2008.03.08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732
    Read More
  9. Sharpless 232 (Sh2-232)

    마차부자리 오각형 안에 있는 많은 성운 성단중에 모양이 제각각인 성운들입니다. 왼쪽 큰 성운으로 부터 오른쪽으로 Sh2-232, Sh2-235 (제일 밝은 성운), Sh2-231, Sh2-233 순서입니다. 이 부근은 새롭게 찍을 뭔가를 고르고 고르다가 찍어본 대상입니다. 흐...
    Date2008.03.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883
    Read More
  10. NGC2359

    이지역은 별이 엄청많아서 고민입니다. 헬멧이 재대로 표현 될려면 한참 실력을 쌓아야 할것 같습니다. 별마실관측소 EM400 + TEC140 + ST10XME L:600s *7장 RGB:300s *각4장 2008-02-08일 :R:4장 G:1장 B:3장(-50도) 2008-03-07일 :L:7장 G:3장 B:1장(-40도)...
    Date2008.03.13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844
    Read More
  11. 석호 성운

    심심해서 한번 올려봅니다. 해뜨기 직전 급하게 찍어봤습니다. 찍다가 밝아졌지만 올 여름을 기다려지게 만드는 대상이네요... ㅎㅎㅎ
    Date2008.03.17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808
    Read More
  12. 겨울의 추억-장미성운

    FSQ106에서는 화각이 좀 남고 ADT320에서는 좀 부족하고... 이러 저러한 이유로 지난 겨울 서너차레에 걸쳐 장미성운을 10여시간 찍었습니다. 여러 날짜에 걸쳐 찍으면서 CCD의 방향이 제각각이라 얼라인한후 모아서 한장으로 이미지 처리를 하려고 했더니 프...
    Date2008.03.27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60
    Read More
  13. 겨울의 추억-M42 오리온대성운

    학기초 바쁜 업무때문에 이미지처리를 미루다 보니 겨울에 찍은 대상을 봄에 올리네요. 아무래도 계절이 맞아야 제맛인데... 오리온 대성운은 해마다 겨울이면 몇 번씩 찍어보는 대상인데 올해는 중심부 밝은 영역의 트라페지움을 나타내려고 30초 안팎의 노...
    Date2008.03.2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191
    Read More
  14. IC405, 410, 417

    주말을 이용하여 밀린 숙제좀 하였습니다. 본의 아니게 여러장 도배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양해 바랍니다.... 마차부자리의 M38산개성단 주변에 이어져 있는 비교적 큰 규모의 붉은색 성운으로 Ha영역에서 잘 찍힙니다. 오른쪽 ㄱ 자 모양의 IC405는 생긴 모양...
    Date2008.03.3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66
    Read More
  15. M52 주변

    산개성단 M52는 자신보다 주변부의 화려한 성운들때문에 더 각광을 받는 것 같습니다. M52 오른쪽에는 빨간 풍선껌처럼 부풀어 오른 버블성운이 있고 더 오른쪽 아래에는 턱 커다란 사슴벌레를 닮은 sh 2-157이 있습니다. 중앙 위쪽의 구도를 잘못잡아서(사실...
    Date2008.03.3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00
    Read More
  16. 마귀할멈(IC2118)

    이미지가 마음에 안들어서 올릴까말까 고민하다 쉽게 손이가지 않는 대상이라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마귀할멈(IC2118)은 크기가 3도X3도로 거대하지만 비교적 어두운데다 밝은 리겔에서 오는 광해때문에 손이 잘 가지 않은 대상입니다. 전에 한 두번 찍어 ...
    Date2008.03.3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09
    Read More
  17. 올해 첫 독수리 한마리 잡아왔어요..ㅎ

    간밤에 그나마 날이 좀 좋았습니다. 아직은 학생인지라 ^^ 좀 여유가 있길래 얼른 다녀왔지요 별만세 관측소에는 고창균 신범영 선생님과 요새 가파른 상승세중이신 김호섭님 이 오셨습니다 (분명히 평일 저녁인데? ㅋㅋ) 바람이 세서 찍은거중에 점상인건 하...
    Date2008.04.0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762
    Read More
  18. 안타레스

    작년부터 계속 시도해 보는 대상이지만, 정말 힘든 듯 합니다. 3일저녁에 촬영해 봤습니다. 시간을 잘못봐서 중천에 떳을 때가 되어 촬영하다보니 생각했던 여섯장 모자이크는 못하고 2장밖에 못했습니다. 5월에 가서 나머지 촬영해 봐야겠습니다.^^;;; 각각 ...
    Date2008.04.06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91
    Read More
  19. IC 5067

    참으로 오랜만에 이미지 올리네요. 이것저것 실험만 하다 두어달 지나간 것 같습니다. 요즘 새벽엔 제가 좋아하는 여름철 대상들이 올라옵니다. 그래서 며칠 동안, 저녁에 자두었다가 새벽에 일어나 촬영하는 일이 계속됩니다. 노출 시간이 짧네요. 세벽 두세...
    Date2008.04.15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94
    Read More
  20. 달빛과의 숨박꼭질(반달속의 초승달)

    4월13일 밤 관측소 지붕을 여니 하늘은 구름 한점 없이 유리알처럼 맑은데 월령8일을 지난 반달이 하늘가득 달빛을 쏟아내어 그 많던 별들은 달빛을 피해 모두 숨어버렸네요. 달력을 보니 월몰은 새벽 2시45분, 요즘 4시30시면 박명이 시작되니 사진을 찍기는...
    Date2008.04.2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91
    Read More
  21. 달빛과의 숨박꼭질(보름달 속의 독수리)

    4월20일새벽, 보름을 하루 앞둔 서슬 퍼런 달빛 아래서 무식하게 찍어본 독수리성운(M16)의 Ha이미지입니다. 20분씩 8장을 찍어서 합성했는데 아무래도 달빛때문에 세밀한 부분의 디테일은 줄어들겠지만 달빛아래서 Ha필터로 촬영해도 어느 정도의 이미지는 ...
    Date2008.04.2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30
    Read More
  22. 080420_m27

    2008년 4월 19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으로 테스트 관측 삼아 출동. 초반에 구름과 안개 박무가 있어서 천정 부근 밖에는 별이 보이지 않음. 또한 달도 밝게 빛나고 있었슴.(13.3일달) 주차장의 가로등도 무지하게 밝았슴.^^ 광축 수정과 이런저런 테스트 한...
    Date2008.04.2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966
    Read More
  23. 080420-m57

    촬영일: 2008년 02월 20일 새벽 촬영지: 안산 1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L : 36m(1x1) R : 10m(2x2) G : 8m(2x2) B : 10m(2X2) 여러가지 테스트와 함께 안시도 하고, 광축도 맞추고, 지나가...
    Date2008.04.24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717
    Read More
  24. IC 5067 (Pelican Nebula)

    백조자리의 북아메리카성운과 나란이 있는 펠리칸 성운의 일부입니다. 북아메리카 성운을 찍으면서 옆에 곁다리로 몇번 찍었었지만 펠리칸을 중심으로 놓고 찍어본 것은 처름입니다. 그런데 막상 찍고나니 일부분만 나와서 핵심 부분을 제대로 찍은 것인지 좀...
    Date2008.05.0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24
    Read More
  25. ngc7000(R-gray)

    Date: 2008. 05. 02(별만세관측소) Camera: Canon 350D(LPF제거) Exposure: R image -> Baader Ha(FWHM45nm) 600s*6장/ISO800 Optics: Nikkor105mm(f1.8->2.8)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JPG mode촬영/원...
    Date2008.05.05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55
    Read More
  26. ngc7000

    ||1이제 새벽 1시 정도면, 여름철 대상들이 촬영가능한 고도로 올라옵니다. 12시 지나 세팅하고 셔터 누르고 나서 늦은 잠을 청하는 게 반복적인 일상이 되었습니다. 며칠 전 관측회때 초점조정을 대충대충 했더니 티가 나네요. 담에 갈 때까진 이 상태로 어...
    Date2008.05.0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76
    Read More
  27. 삼렬성운

    4565는 그나마 고도라도 높았는데 이녀석은 고도가 낮는 바람에 더 줄줄줄 흐릅니다. Orion 10" F/4.8 EM200B EOS-350D ISO 800 5min x 11 2008.5.9 강원도 철원 별만세 관측소
    Date2008.05.1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604
    Read More
  28. M16

    ||1다크도 없고 시간도 없어 미루어 두었다가, 연휴를 이용해 처리해 올립니다. 새벽에 달이 올라옴에도 불구하고, 내로우밴드필터라는 핑계대고 '무지막샷'을 이틀에 걸쳐 날려보았습니다. 800미리 초점거리로 찍기엔 좀 작은 대상이어서 텔레컨버터를 장착,...
    Date2008.05.1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91
    Read More
  29. M8(석호) M20(삼렬)

    지난 연휴 날씨가 안좋더니 마지막 월요일(5일) 저녁에서야 좋아져서 결국 화요일 아침에서야 올라왔습니다.어휴~ 2008-05-05일 별마실관측소 EQ1200GTO + FSQ-106 + STL 11K -30도 L: 1200s * 4장 RGB : 600s * 각2장
    Date2008.05.10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67
    Read More
  30. m16_17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QHY-8 Exposure: R image -> Baader 45nmHa (400s*8장) GB image ->LPS-P2 (400s*4장) Optics: PENTAX SDUF II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원본 리사이징 대학...
    Date2008.05.1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77
    Read More
  31. Cygnus주변부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 Canon 350D(LPF제거) Exposure: R image -> Baader Ha(FWHM45nm) 600s*8장/ISO800 GB image -> LPS-P2 600s*5장/ISO800 Optics: Nikkor105mm(f1.8->2.8)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49
    Read More
  32. Veil Nebulae_080511

    졸업생들과 재학생간의 연합관측회가 토요일 충남 공주에 있는 충남교육연구소에서 있었습니다. 하는 일은 잘 안되고 해서 머리도 식힐겸 모처럼 선후배님들도 만날겸 해서 참석했던 모임이었는데, 하늘이 예상했던것 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거의 강원도 수준...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5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