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ilky way - Lagoon Nebula region (5D)

    안타까운 실수를 했습니다. Raw로 찍지 않고 그냥 JPEG로 찍었습니다. 그것도 풍경모드로 놓구요.. 다음에 다시 찍어 보아야 겠습니다. 주변 감광은 스텔라이미지에서 처리했습니다. 역시 다크 프랫 처리 없습니다. 합성 역시 분해 합성이 아니고 그냥 합성 ...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43
    Read More
  2. 백조좌 ~ 두번째..

    ||1어제 찍은것 마저.. 올립니다.. 더 넓게 찍어보고 싶은데요.. 60C는 광시야용으로는 주변부가 별루네요.. 다음에는 180mm 렌즈로 한번 도전해봐야 겠습니다.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74
    Read More
  3. NGC6888

    2006년 3월 3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L11k/paracorr 6nm Ha filter, 1200s x 4 한 10장쯤 찍을 목표였었는데요 ㅎㅎ 항상 초승달성운찍을때마다 날씨가 나빠지는군요. 그나마 제가 지금까지 찍은 초승달 중에선 가장 잘 나...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60
    Read More
  4. 060508_m27

    2006년 5월 8일 어버이날 밤에 안산에서 촬영한 m27 입니다. 가족 모임이 10시가 넘어서 끝나는 바람에 늦게 도착한 안산 일대학에서 목성을 보니 한숨만 나오더군요. 몇장 찍고 그냥 딥으로 옮겼습니다. 투명도는 그나마 좋았으나 옅은 구름이 있는 것 같았...
    Date2006.05.10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211
    Read More
  5. NGC7000 / IC5067

    아쉬운 일이지만 Ha를 3장을 찍었음에도 쓸 수 있는 것은 단 1장 뿐이었습니다. 1장은 구름이 지나갔고, 한장은 심한 바람에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실패.. 컬러 정보도 부족하고 말이죠.. 덕분에 잔별이 많이 죽었습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
    Date2006.05.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2
    Read More
  6. M16 , NGC6604 & 6625

    Kastron15inch로 M16을 찍으면서 동시에 20D의 셔터를 눌렀습니다. 얼라인이 안된 상태라서 한쪽에 취우친 16이었는데 운 좋게도 NGC6605라는 월척이 걸려들었습니다. FD300 F 2.8 -> 4.1 Masking EQ1200GTO Guider : Kastron 380DS + 10XE Canon EOS 20D 광...
    Date2006.05.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02
    Read More
  7. M16

    이날 역시 바람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4장 찍은 것 중 결국 두장 밖에는 쓰지 못했습니다. 별상의 크기와 디테일에서 아쉬움이 남지만 역시 15인치의 디테일은 무시 못할 것 같습니다. Kastron 380DS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10XE w/ CFW-10...
    Date2006.05.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52
    Read More
  8. 오리온의 재구성

    요즘은 사진찍으러 나가기엔 2%부족한 사연이 있어서, 집에서 시간날때마다 이미지처리 연습을 하곤 합니다. 많이 해볼수록 얻어지는건 있는것 같기는 합니다만. 아직은 미련이 많이 남습니다. 미련이기보단 욕심이 맞는것 같습니다. 위에것이 새로 처리해본...
    Date2006.05.17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228
    Read More
  9. [350D] NGC6992 Veil Nebula

    ||1--------------------------- 2006 05 20 양평 보그 125ED EOS350D w/o LPF 1600 x 10min x 13매 80% 크롭후 40% 리사이즈 --------------------------- 투명도가 그리 좋지 못하다보니 광해의 영향을 더 받는것 같습니다. 오늘도 맥심에서 가이드는 완벽...
    Date2006.05.2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185
    Read More
  10. 050607-M16

    촬영일: 2006년 06월 08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15도) RGB : 각3min x 5, x4, x5(2x2) L : 3min x 10(1x1) 촛점잡기가 힘든 날이었습니다. 박무와 옅은 구름때문...
    Date2006.05.22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269
    Read More
  11. M57

    새 망원경의 테스트 사진입니다. 지난 주말은 날씨 예보가 별로여서 찍을 생각을 안 했는데 밤이 되면서 구름이 없어졌습니다. 박무가 많이 남아 있어서 밝은 M57을 골라 보았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중앙부 100% 크롭이구요 두번째 사진은 전면 50% 리사이즈...
    Date2006.05.2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14
    Read More
  12. NGC 6820 Ha image

    ||1 어제는 간만에 장수에 일찍 가서 셋팅하고 은하수도 마음껏 즐겼던 밤이었습니다. 그런데.. .. 어제 찍은 사진들은 모두 튀거나 흐르거나.. .. ( 광해가 없는 장수에서는 LRGB를 찍으려하였으나..않되더군요..) 새벽 3시쯤 고도가 높아져서 Ha filter로 ...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54
    Read More
  13. 안타레스 부근

    ||1몇장 흐른것을 잘 해서 .. 합성을 하였습니다. 이부위는 워낙 색감이 다양한 부위라.. 색감을 좀 강조하였습니다. 안타레스바로 위부분입니다. Epsilon with 6303 1x 300sec x 3 LRGB 추가 : 이윤님 사진을 보니 Blue의 합성비율이 적었나 봅니다.. 다시 ...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09
    Read More
  14. 안타레스 주변부

    어제 신병석씨,NGC 이덕수씨와 함께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약3달만에 별빛을 맞았습니다. 그새 은하수가 흐르는 철이 되었네요. 냉각DSLR 상용화 프로젝트가 막바지인지라 어수선한 와중에 나간 관측이라서 빼먹고 온것도 있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어서 고생했...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90
    Read More
  15. [re] 안타레스 주변부 ....1컷사진

    앞의 합성한거 3장중 1컷을 포토샵에서 처리해 보았습니다. asa200, 30분 노출 1컷.
    Date2006.06.0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61
    Read More
  16. Crescent Nebula

    정말 오랜만의 출사였읍니다. 하늘은 구름한점 없었는데 밤 기온이 내려가면서 박무가 덮혀 투명도가 너무나도 떨어졌읍니다. 박무에 어두운 대상을 잡으려다 실패한 밤이었지만 오랜만에 망원경, 카메라 만지작거리니 즐거웠읍니다. 2006. 5. 30 양평 지제 F...
    Date2006.06.0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906
    Read More
  17. M8 & 20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L : 300sec(1X1) X 9 -RGB : 300sec ea(2X2) X 2 -2006. 5. 31 가이드시 CCD와 적도의의 충돌문제는 해결했는데 별이 질질 흘렀네요. 흠.... T.T CCD 이미지 처리가 DSLR...
    Date2006.06.02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110
    Read More
  18. 찍었놓고 몰랐던 성단...

    찍어놓고 몰랐던 성단이 있더라구요 ㅋ M18인데... 오늘에야 다시 찾았어요.^^ FS102/EM200/EOS350D 2006.4.26 탄상현 3min x 4(다크처리) 한쪽귀퉁이에 성단이 M18입니다
    Date2006.06.03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30
    Read More
  19. M52 Region

    산개성단 M52와 거품성운 그리고 10분각 크기의 NGC7538이 보입니다. 이윤씨가 개조해준 Nude20D는 아주 훌륭한 기기입니다. 충분히 넓은 시야 사진을 즐길 수 있게 해 주니까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처리하면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 넉넉한 장수를 찍어 ...
    Date2006.06.0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57
    Read More
  20. M27

    6월 2일 금요일에 날이 맑아 덕초현에서 촬영한 M27입니다. 오랫만에 맨눈으로 무수히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는 날이었습니다. 시상이 좋지 않아서 초점은 대강 잡았지만,여름날에 이정도만으로도 얼씨구나였고,나다 관측소 뒷산에서 고양이인지 멧돼지인지 우...
    Date2006.06.06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210
    Read More
  21. M20 삼열성운

    삼열성운은 제가 오리온 성운 다음으로 본 성운입니다. 그러니까 두번째로 본 Deep Sky 대상이지요.눈으로 본 삼열성운의 기억은 아주 맑디 맑은 이미지로 남아있습니다.비록 시상이 좋지 않은 날에 촬영하게 된 사진이지만 앞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해주었습니...
    Date2006.06.07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602
    Read More
  22. NGC6992 - Veil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L : 300sec(1X1) X 8 -RGB : 300sec ea(2X2) X 1 -2006. 5. 31 박무의 영향과 박명시간의 임박으로 촬영 이미지의 매수가 부족하여 이미지가 샤프하지 못하네요. 블루밍 ...
    Date2006.06.1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251
    Read More
  23. M57

    장마 시작되기 마지막 기회인 것 같습니다. 시상도 여름치곤 비교적 괜찮은 날이었고,다만 하현달이 뜨기 시작하면서 촬영하여 깨끗한 이미지를 얻지는 못했습니다.F/12.3 에 하현달이지만 이 정도라도 얻을 수 있는걸 보면 역시 CCD는 참으로 탁월한 장비인...
    Date2006.06.17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266
    Read More
  24. IC1396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Hα : 1000sec(1X1) X 9 -RGB : 300sec ea(2X2) X 3 -2006. 6. 17 다음에는 VBD142만 크로즈업 해봐야겠습니다. 하현을 향해가는 밝은 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Hα필터의 위...
    Date2006.06.19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325
    Read More
  25. IC5146 Cocoon Nebula

    KASTRON12.5 w/r200cc STL-11K (영하20도) AP EQ1200GTO Astrodon 6nm Ha pass filter 20m x 4 2006년 6월 17일 덕초현천문인마을 리사이즈 없이 중앙부 크롭 달이 뜬 밤하늘에 자러가며 마지막으로 걸어 두고 들어간 대상입니다. 올가을엔 제대로 찍어 보고...
    Date2006.06.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21
    Read More
  26. 북아메리카성운(NGC7000)

    작년에 장마 때문에 제대로 찍지 못했던 북아메리카성운을 하늘 좋았던 지난 6월18일 화악산에서 다시 찍었습니다. 적당한 고도까지 기다리느라 늦게 시작하였더니 L,R,G,B를 찍은 후 아쉽게도 달이 떠서 Ha는 6월24일 철원 수피령관측회에서 추가로 찍었습니...
    Date2006.07.0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74
    Read More
  27. M8 석호성운

    2006년 6월 2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LRGB = 60m, 15m, 15m, 15m KASTRON 12.5inch F5 w/R200CC EQ1200GTO STL-11000XM Astrodon True Balanced filter set 여름철 대상을 장마전에 찍어둔다고 계획하고 있었는데 이날 밖에는 시간이 없었습니다. 시상과 블루밍...
    Date2006.07.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47
    Read More
  28. 니트이미지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봤습니다

    아직 초보주제에 건방지게 니트 프로그램을 돌려보았습니다 ...^^ 노이즈가 없어져서 막눈인 제가 보기엔 좀 이쁘긴한데, 고수님들의 평을 듣고싶네요. 그거 써도 되는건지 아닌지....
    Date2006.07.17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486
    Read More
  29. 버블성운(NGC7635) 근처

    지난 5월31일 촬영해 놓고 상태가 않좋아서 이미지 처리를 안했다가 장마철 시간때우기용으로 처리해보았습니다. 중앙의 붉은 성운이 버블성운(NGC7635)이고 좌측아래의 산개성단이 M52, 좌측상단의 올챙이모양의 붉은성운이 NGC7538입니다. 안개때문에 시상...
    Date2006.07.2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108
    Read More
  30. 장마철엔 지난사진 꾸미기..

    별을 언제나 볼까요? 2006.4.26 홍천 탄상현 FS102/EM200/EOS350D/리듀서 3min 원샷 포샵..
    Date2006.07.2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043
    Read More
  31. 베일성운입니다.

    간밤에 잠깐 날씨가 좋았었습니다. 천문대 아르바이트 좋은점은 순간포착이 가능하다는 겁니당..헤헤헤..^^ 그런데,다 좋았는데 그만 NR을 안하고 말았습니다..ㅠㅠ 어쩐지 셔터가 빨리빨리 넘어가드라니........ 흑흑..베일하곤 영 인연이 없네요 FS102(F 5....
    Date2006.07.31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58
    Read More
  32. 날씨가...

    영월이 북태평양 고기압과 기압골 사이의 경계구역쯤 되나 봅니다. 무지 맑다가 무지 흐려지다가 무지 맑다가 무지 흐려지다가.. 사진찍을 준비 다해놓으면 구름끼고... 구름 지나가서 셔터 누르면 구름끼고... 구름껴서 놀고있으면 벗겨지고........ 결국 몇...
    Date2006.08.02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8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