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CG 4, a cometary globule

    3월 10일에 찍었던 사진입니다. 남쪽에서 꼭 찍고 싶었던 대상중 하나입니다. 9시 방향의 은하를 집어삼키려는 괴물의 형상 같은 성운입니다. 그동안 Flat Field 처리도 안되고, 이것저것 문제점이 있어서 나두었는데, Maxim 의 기능을 이용하여 바탕을 억지...
    Date2006.03.15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049
    Read More
  2. NGC2261

    작년에 찍었던 것을 이제야 올립니다. 변광성운입니다. 계속 밝기가 변하며 찍히는 모양새도 변하는 성운입니다. 생김만큼이나 매력적인 성운입니다. HO-BYM 380FN w/ MPCC AP EQ1200 ST-10XE w/ CFW-10(-50) L : 300sec(1X1) X 12 RGB : 300sec(2X2) X 3 나...
    Date2006.03.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19
    Read More
  3. 마차부자리 IC405, IC410, IC417, M38

    일전에 이윤님이 냉각 DSLR로 멋지게 찍었던 부위입니다. 3월 19일 간만에 뒷바당에서 Nikon MF 200mm (f2.0-> F2.8)를 붙여서 함 찍어 보았습니다. 렌즈가 별루인지 주변부에 별상이 길쭉합니다. 수차가 엄청나군요. 위의 사진은 작년에 찍어보았던 20D colo...
    Date2006.03.2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65
    Read More
  4. 메시에 목록

    이 사진은 지난 2003년에 CCD 촬영을 하면서 부터 2006년 지금까지 촬영한 메시에 목록을 번호별로 나열한 사진입니다. 이제와서 보니 미숙한 부분이 많이 보이는 사진들이지만, 차츰 보완을 해 나갈 예정입니다. 좀 더 큰 사진(원본의 1/3사이즈)은 아래 링...
    Date2006.03.2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39
    Read More
  5. 저물어가는 Orion입니다.

    계속 미루어 왔던 Narrow band filter test shot입니다. Orion 성운이 저물기전에 찍을려고 초저녁부터 부지런히 해서.. 그런데.. 맘에 드는 색감을 잡기가 너무나 힘들군요.. 외국에 올라와있는 사진을 참고로 하여 맞추었습니다.
    Date2006.03.2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66
    Read More
  6. NGC 2736, 'Pencil nebula' in Vela

    색상이 아주 멋있는 성운인데, 노출을 좀더 주어서 찍어야 할 것 같습니다. 1시간 노출로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www.aao.gov.au/images/captions/aat084.html 촬영정보 : 주경 : 오리온250mm 뉴튼식반사(F4.8), R200ss 콤...
    Date2006.03.27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137
    Read More
  7. IC443 - 해파리성운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3 꼭 찍어 보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어두운 대상인지라 반신반의 하며 촬영을 하였는데 운 좋게도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역시 사선노이즈가 나타났습니다. 원인이 뭔지...이...
    Date2006.03.3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987
    Read More
  8. 저물어가는 m42 by st2000xcm

    fs60c, st2000xcm,em200,uhc필터 300sec*6 480sec*1 60% 리사이즈 이제 저물어가는 m42가 아쉬워서 찍어보았습니다.^^ 좀더 많은 장수가 필요하지만 고정관측지 지형특성상 남쪽에 높은 산이 있어서... 전에 사용하던 lps필터 대신 uhc필터를 사용해 보았습니...
    Date2006.04.01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056
    Read More
  9. uhc & 원샷냉각ccd 테스트

    말머리성운 : fs60c, st2000xcm, em200, uhc필터 8분1장+10분*1장 장미성운 : 동일조건 5분2장 uhc와 원샷 냉각ccd궁합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st2000xcm에서도 원샷컬러라서 그런지 붉은색 표현이 힘들었는데 만족 스럽습니다.^^ 이전 lps와 dslr 10d에서 보...
    Date2006.04.01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134
    Read More
  10. NGC 2174

    Camera : SBIG ST-2000XM (-30 degree cooled) Lens : Takahashi SKY-90 (500mm F5.6) Guide : EM-200 Temmar 2 RRGB R = 10m x 6 (1x1) GB = 5m x 3 each 20060123 in Sang-ju, Korea 두달도 더 전에 찍어놨던 거네요^^
    Date2006.04.01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15
    Read More
  11. 별의 색깔을 살리기위한 처리

    김일순 님이 도움을 주셔서 한번 시도해보았습니다 이게시판 뒷부분에 있는사진으로 올해 2월에 찍으은건데 그건 너무 빨갛고 별도 빨갰는데 조금 나아진것 같습니다.. 많은 충고 부탁드립니다
    Date2006.04.02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82
    Read More
  12. M8 석호성운

    요즘 4시면 궁수가 뜨더군요. 아직은 좀 이르지만 테스트겸 사진입니다. 텔레뷰 파라코어와 라지포맷CCD 궁합 확인차원이고 나중의 LRGB 합성을 위해 몇장 찍었습니다. RGB 5분 각 1장씩 (2x2 binned) GSO12inch, EQ1200GTO, STL-11k, Astrovil-RO astrodon ...
    Date2006.04.0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43
    Read More
  13. IC 410 Narrow band shot

    푸른 물감을 뒤집어쓴 IC 410입니다. Narrow Band filter는 정말..ㅠㅠ .........힘들군요.. parfocal이 아니라 각각 촛점 따로.. 이미지 처리시도 이렇게 저렇게 해보고.. 정상적으로 생각하면 순서대로 SII가 Red. Ha가 Green, Oiii가 Blue가 되어야 하는데...
    Date2006.04.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74
    Read More
  14. 쪼맹이들.. 2392 & 4038

    FL 1000mm F 7.7로는 쪼금 찍기 뭐하네요.. 1:1 원본 crop입니다. Eskimo size : 0.9 x 0.9 - . 위의 사진이 size reference입니다...크기를 약 1.0 으로 잡고.. 흠..
    Date2006.04.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78
    Read More
  15. M17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20) (L+R)RGB = (40 + 10)m 5m 5m 5m 꽤나 오래전 사진인듯 하네요^^ 작년 여름에 찍었던 듯 한데... 메시에 대상 정리하면서 처리안한게 나와서 올려봅니다^^
    Date2006.04.06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96
    Read More
  16. M16

    이것도.... 작년에 L 이미지 찍어놨다가 다시 rgb 를 찍어서 어디 뒀다가 이제 올리네요^^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LRGB = 30m 5m 5m 5m
    Date2006.04.07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39
    Read More
  17. M20 - 삼렬성운(Trifid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3.30 헉~스! 요즘은 올라오는 사진이 많아 리플달기가 힘이듭니다. 2~3일만에 들어오면 벅찹니다. 헥헥.. 하늘이 무척 좋았던 날이었습니다. 산위로 떠오르자 마자 서둘러 촬영을 했는데...
    Date2006.04.08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438
    Read More
  18. M106

    사냥개 자리에 있는 나선은하입니다. 이번 워크샵에서 배운 몇가지 팁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 2006년 3월 2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GS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 80m, 15m, 15m, 15m
    Date2006.04.1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66
    Read More
  19. M16 & M17

    여름 은하수 한가운데 있는 방패자리의 M16(독수리성운_위 사진 왼쪽))과 사수자리에 있는 M17(오메가성운_위사진 오른쪽)입니다. 촬영정보 FSQ106+EM200+STL11000M L:10분X6,RGB각 5분X4 2006.4.25 강원도 홍천 탄상현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135
    Read More
  20. [350D] 펠리칸성운

    ||1------------------------------------ 2006 04 28 새벽 2시경 양평 중원계곡 Borg 125ED, EOS350D w/ LPS P2 ISO 1600 x 8min x 5매 ------------------------------------ 광축문제가 아직 시원히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그냥 저냥 찍을랍니다. ^^;;; ISO...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968
    Read More
  21. 어제 찍은 몇가지 대상들입니다.

    시간이 너무 촉박한관계로 (요샌 4시20분에 동녁이 터오더라구요) 급하게 했더니 마음에 안드네요.... 이래저래 평일날 번개친게 무리긴 했지만 그간찍고싶었던 대상을 담을수 있어서 저혼자 맘에 들고 말까 합니다.ㅎㅎ 계속 날 좋으면 좋겠어요.. 홍천 탄상...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003
    Read More
  22. M8 & M20_060428 철원 수피령

    작년 봄에 처음 연습사진으로 찍은 다음 여름에 다시 제대로 찍어보려 했는데 날씨가 계속 안좋아서 결국 해를 넘기로 올 봄에 다시 찍게 되었습니다. 좀 이르지만 다시 보아도 역시 화려한 성운입니다. 촬영정보 FSQ106+EM200+STL11000M L : 10분X6, RGB : ...
    Date2006.04.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09
    Read More
  23. M16 - Eagle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Paracorr -NJP Temma2 -ST-10XME w/ CFW-8A(-25) -R : 80sec(1X1) X 13 -GB : 80sec ea(1X1) X 3 -RRGB합성. 노다크, 노플랫 처리 -2006. 4. 28 02:43~ CCD 테스트 샷입니다. 가이더와 적도의의 충돌로 노출을 짧게 줄수 밖에 없었...
    Date2006.04.3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336
    Read More
  24. 060427-M17

    촬영일: 2006년 04월 28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20도) RGB : 각2min x 8, x4, x5(2x2) L : 2min x 15(1x1) 뿌연 밤하늘이었지만 목성의 시상이 너무 좋지를 않아 ...
    Date2006.05.01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897
    Read More
  25. 060427_m17

    2006년 4월 28일 새벽에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한 m17 입니다. 동남쪽 아래쪽에 위치한 관계로 지역적 특성과 박무와 이슬 등으로 인하여 좋은 이미지는 아닙니다. 안산에서는 항상 테스트 밖에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 1주일 가량 불통이 되는 바...
    Date2006.05.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18
    Read More
  26. NGC2207

    큰개자리에 있는 성운입니다. 2006년 2월 17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30m, 10m,10m,10m
    Date2006.05.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879
    Read More
  27. M16 M 17 Ha image

    ||1정말 간만에 망원경을 셋팅하였습니다. 5월 3일 박영식님이 장수가셨을때.. 구름이 몰려올것을 우려해서 그냥 집뒷마당에 setting을 하고 혜성을 찍어보다가 SKY 90으로는 찍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올라오는 M16과 M17을 걸어놓고 잠이 들어버렸습니다...
    Date2006.05.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29
    Read More
  28. NGC 7000 Ha image

    ||15월 4일은 장수로 함 가보았습니다. 이날은 날이 약간 않좋았습니다. 은하수도 보이지 않는 .. 혜성은 한번만 찍어보고 역시 작군.. 역시 동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NGC 7000을 걸어놓고 쿨쿨,. 많이 찍으니 이미지가 부드러워지기는 하네요.. Epsilon with ...
    Date2006.05.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39
    Read More
  29. 뱀성운

    뱀성운 B72 SNAKE NEBULA 2006년 4월 27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A-RO L= 5m x 4 GSO12inch, EQ1200GTO, STL11K 뱀주인자리에 있는 암흑성운인 뱀성운입니다. 예전에도 뱀성운이 보여서 그리 이름을 지었나요? 마치 잉크얼룩 처럼 까맣더군요.
    Date2006.05.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36
    Read More
  30. M8, M20

    많은 사진을 찍었음에도 처리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늘 매력적인 지역의 매력적인 대상입니다. 이 대상을 이번엔 10XE+300FD, Nude 20D + 300FD, 5D+200EF 1.8로 각기 찍었습니다. 이런 종류의 대상은 결국 10XE 같은 CCD아니고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는 ...
    Date2006.05.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089
    Read More
  31. 백조좌 NGC 6888부근..

    ||1어제 달이 휘엉청 떴지만.. TEst shot을 날렸습니다. 한번 합성해 본 김에 올립니다. guidescope으로 가지고 있는 60c에 SKY90용 field flattner를 물려서.. 6303으로 Ha image만.. 결과는 field는 약 280mm정도의 화각인것 같은데요..결정적으로 주변의 ...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34
    Read More
  32. Lagoon Nebula region (20D)

    이윤씨로부터 도움받아 개조한 20D의 첫 출사입니다. 첫 사진인 만큼 가이더로 사치스런 장비가 사용되었지만 사진의 질은 그러기에 충분히 가치있는 기대만큼의 사진입니다. 이미지 처리는 RGB를 분해해서 각기 합성 커브 레벨 처리하고 RGB합성.. 그리고 L...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