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NGC 6726,27,29

    궁수좌 아래에 있는 Corona Australis에 있는 성운들 입니다 90mm 구경으로는 역시 어두운 대상이군요. SKY 90 with Flattner / 2000xm / 5min x3 each / 이상하게 이날은 고도가 낮은 부위가 Green이 매우 강하고 Blue가 매우 적게 찍혔습니다.) 삐리리하지...
    Date2005.06.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79
    Read More
  2. VDB142 in IC 1396

    오랜만의 2박3일 출사였습니다만.. 첫날은 날씨가 흐리고 둘째날은 날이 좋았습니다만 역시 밤 늦게 부터는 투명도가 좋지 못했습니다. 많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후반부로 가면서 초점이 틀려지고 또한 투명도가 급격히 나빠져 충분한 노출을 줄수는 없었습니...
    Date2005.06.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90
    Read More
  3. M20

    목록번호: M20 별자리: 궁수자리 종류: 산광성운 이름: 삼렬성운 촬영일: 2005년 4월 15일, 16일 촬영지: 덕초현천문인마을 RO 망원경: GS Optic 12inch 뉴튼 (305mm F5) + TeleVue Paracorr 적도의: AP EQ1200GTO 카메라: SBIG ST-10Xme ccd 노출정보: L: 5m...
    Date2005.06.3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24
    Read More
  4. M16

    독수리성운으로 지난 4월 초에 촬영한 사진입니다. 맘에 안드는 시상 때문에 역시 재촬영을 기다렸으나 기회를 주지 않는군요. GSO 12inch, EQ1200GTO, ST10xme RRGB: 30m, 15m, 15m
    Date2005.07.1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65
    Read More
  5. 050805_m57

    촬영일: 2005년 8월 5일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교정 망원경: 250mm (F6) + 2배 아스트로 피직스 바콘 (합성F12) 적도의: 다카하시 JP160 + FS2 카메라: SBIG ST-2000xm ccd 노출정보: L: 3min x 10장 (1x1), RGB: 3min x 5장 (1x1) 이미지처리: MaxIm D...
    Date2005.08.06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89
    Read More
  6. NGC 7000

    휴.. 여름이라 노이즈가 장난이 아닙니다. 7장을 합성했는데도.. 전체가 얼룩덜룩합니다. 200.8 mm 20D ISO 800 5분 x 5 GM-8 No touch
    Date2005.08.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97
    Read More
  7. m8&m20

    학생들과 과학캠프차 태백에 머무르는 동안 날이 맑아 함백산정상 조금 아래쪽에 넓직한 공터로 차를 향했습니다. 미리 답사를 해본 지역인데 촬영하기엔 좋아보였습니다. 간간히 도로에 차가 지나가긴 하지만 그리 크게 방해를 받지는 않았구요. 제대로 필터...
    Date2005.08.0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03
    Read More
  8. 캘리포니아성운

    4장찍으니 박명이 와서.. 이것도 노이즈때문에 많이 뭉게버려서. 좀 그렇긴 하지만서두..올려봅니다. 200.8, Nude 20D, ISO 800 5분 4장, GM-8 No touch
    Date2005.08.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12
    Read More
  9. 안타레스주변

    8월5일에 촬영한 여러 사진중 유일하게 처리를 못하다가 억지로 색상을 만들어봤습니다. 많은 색정보를 얻지 못한 상태에서 색상을 만드려니 화질이 너무 떨어집니다. 내공부족도 한 몫까지... 넓은 화각이 필요했지만 준비된 렌즈가 없어서...400mm로 촬영했...
    Date2005.08.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321
    Read More
  10. 백조sadr부근

    한 날 여러 대상을 공격하여 제대로 된게 없는거 같네요. 늦게 한 장 더 처리해 올려봅니다. 촬영일: 2005년 8월 5일 촬영지: 함백산 중턱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ilter 적도의: 다카하시Temma 2 카메라:canon350D 노출정보: ...
    Date2005.08.16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326
    Read More
  11. Vdb142

    IC1396 내에 있는 Vdb142으로, 사진으로만 볼수 있는 멋있는 대상입니다. 2005년 6월 12일 덕초현천문인마을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60m, 15, 15, 15 2장 모자익 처리를 하려는 사진이었으나, 후반부에 구름이 끼면서 아직까지 다시 찍을 기...
    Date2005.09.0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92
    Read More
  12. NGC6888

    2005 05 15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Ha60m, RGB=15m, 15m, 15m 시상은 좋았고 투명도가 많이 떨어진 날로 기억됩니다.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73
    Date2005.09.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81
    Read More
  13. 하트 &..

    어제 새벽에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Fringe Killer + Deep Sky Filter 1600감도에 F3.6 135mm렌즈로 8분 노출 1컷 드라이아이스 냉각 300D 화이트벨런스만 조정했고 나머지는 원본 그대로입니다. 냉각시스템이 아직 제대로 세팅이 안된 상태에서 필드테스트를 ...
    Date2005.09.0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982
    Read More
  14. 오리온대성운 &...

    역시 어제 새벽에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Fringe Killer + Deep Sky Filter 400감도에 F3.6 135mm렌즈로 12분 노출 1컷 드라이아이스 냉각 300D 화이트벨런스만 조정했고 나머지는 원본 그대로. 센서표면에 결로가 진행되고 있을때이고 성에가 생성되는게 보입...
    Date2005.09.0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83
    Read More
  15. [re] 오리온대성운 &... 성애

    위 사진 찍고 나서 1600감도로 8분노출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성애가 마치 잠자리떼가 날아 다니는거 같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CMOS센서는 멀쩡합니다. ^ ^
    Date2005.09.0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62
    Read More
  16. 북아메리카를 노려보는 펠리칸 성운

    지난 토요일 덕초현에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날이 좋을 것 같아 느긋하게 촬영하다 안개가 오는 바람에 컬러이미지를 찍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그래도 라지포맷ccd의 매력을 느끼기에 충분했습니다. AP130 필드플래트너와의 간격문제로 구석에서 조금 별들...
    Date2005.09.1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09
    Read More
  17. M42_오리온대성운_050912 화악산

    지난 주말 화악산 번개관측에서 보니 새벽의 오리온이 제법 높아졌습니다. 5시넘어 여명무렵에 잠깐 찍은 사진이라 화질도 않좋고 초점도 안맞았지만 기념으로 올립니다. FSQ106+EM200+STL1100 L :2분X4, R,G,B : 2분X2 맥심에서 LRGB합성 후 포토샵에서 후보...
    Date2005.09.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517
    Read More
  18. NGC 1499 California Nebula

    FS-60c와 Sky90용 필드플래트너 리듀서를 사용 처음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 천문가이드에 나와 있던대로 아주 궁합이 좋았습니다. 일단 10XE에서는 주변까지 잘 보정이 되었습니다. 예전에 2000XM으로 찍은 사진과 비교해보니 아주 훌륭하게 보정을 해 주더...
    Date2005.09.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98
    Read More
  19. NGC6992

    안개와 구름으로 인해 아주 찍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처리 해 볼려고 골라보니 몇장 안되더군요. 투명도는 대상의 디테일은 물론 이미지의 바탕을 아주 지저분하게 만듭니다. 특히 B 채널 찍을때 유달리 심해 색 표현이 부자연 스럽습니다. 절대적인 노출의 ...
    Date2005.09.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70
    Read More
  20. NGC7635 Bubble Nebula

    컬러채널 찍으려 할때 안개가 많이 끼기도 했고 해서 예전 중앙천문대에서 찍은 사진을 컬러로 사용했습니다. 이번 3번에 걸친 출사의 마지막 사진인데 는 안개와 좋지 않은 투명도 덕에 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집니다. 이번달 말부터 시작되는 다음 월령...
    Date2005.09.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9
    Read More
  21. 오래전 말머리

    찍어놓고 처리하지 않은 이미지 하나를 꺼내다가 드뎌 쳐리해 보았습니다. Epsilon 160 경통을 양도 받은날 당일 기념촬영이었던 걸로 기억납니다. 이제 다시 재가동 해야죠... 2005년 2월5일 촬영 Epsilon160 + Em200 + ST2000 노출??LRGB= 30:5:5:5
    Date2005.09.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74
    Read More
  22. NGC1499 Califonia

    지난 토요일 월령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 하고 중앙 천문대에 다녀 왔습니다.... 이것 저것 Test 해볼것이 좀 많아서.. 11시경 하늘이 열리기에 200mm Test겸 찍어 보았는데... 예상 대로 수차가 장난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별 위치가 틀려져 버리더군요....
    Date2005.09.27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35
    Read More
  23. veil성운(ngc6960+ngc6992)

    날이 안좋아서 여름에 못찍었던 베일성운을 찍어보았습니다. 노터치로 찍으려고 5분씩 찍어서 합성했더니 성운기가 약해서 다음 기회에는 노출시간을 늘려야 겠습니다. 초점을 맞추고 시작하였는데 중간에 초점이 풀렸는지 별이 좀 부었습니다. FSQ106+EM200+...
    Date2005.09.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50
    Read More
  24. IC5146 코쿤성운

    백조자리의 코쿤성운입니다. 코쿤은 CCD로 세번째 사진이네요. 이번에 좀 제대로 찍어보려고 노출을 더 많이 주었는데, 이후로는 구름 때문에 잘 안나와서 제외했습니다. 좀더 우러나와야 제맛일 텐테, 다음기회를 또 봐야 겠습니다. 2005년 9월 10일 덕초현...
    Date2005.09.3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15
    Read More
  25.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3rd ed.

    캐논 FD 400/2.8L (5.6) SBIG ST-2000XM (-20도 냉각) L = 5m x 12 + 10m x 3 (1x1) RGB = 각 5m x 3 (2x2) 총 135분 20051005 충북 보은
    Date2005.10.06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954
    Read More
  26. 오라이언

    저두 하나 올려봅니다., TOA130S 에 20D를 올려서 함 찍어보았습니다. Nude 20D ISO 800 180sec x 4장 Em 200 TOA 130S * FL 1000mm에 No touch는 거의 불가능하군요.. ** 상부의 파란띠는 뭔지 모르겠습니다. 노출부족으로 디테일은 없지만 올려봅니다.
    Date2005.10.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90
    Read More
  27. NGC7293 helix N

    많이 흐른것들을 모아서 잘 다독여서 그나마 별상이 좀 길죽한정도로 만들었습니다.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TOA 130S with Nude 20D . ISO 1600 4분 x 흐른사진 5장. * 많이흘러서 디테일은 없어지고 노이즈때문에 뭉개서 그냥 형체만 ............ ㅠㅠ
    Date2005.10.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16
    Read More
  28. IC1805

    역시 흐른것을 버리기 아까워 함 합성해보았습니다. TOA 130S with Nude 20D ISO1600 5min 3장 합성.후 뽀샵... 카시오페아 밑의 heart 의 일부입니다만.. 잘안보이네요.. ㅎㅎ
    Date2005.10.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23
    Read More
  29. Good bye North America

    올여름 꼭 제대로 찍고싶었던 북아메리카성운(NGC7000)인데 봄(4월15일)에 찍고나서 날씨가 도와주질 않아서 내년에나 다시 찍어야 겠다 했는데 지난 10월5일 날이 너무 좋아서 행여나 하고 찍어 보았습니다. 역시나 낮은 고도때문에 봄보다 많은 노출을 주었...
    Date2005.10.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84
    Read More
  30. 오리온불새

    역시 적상산에서 어제 촬영했습니다. 이윤님과 병석님의 우려와는 다르게 적상산도 아직은 꽤 괜찮았습니다. 어제는 특이하게 이슬이 엄청났지만... ================================= 100sdufII+GPD-D2M+300d+LPS-P2 with GA-4 Manual Guide 360초 3매, 180...
    Date2005.10.09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227
    Read More
  31. IC 1805 1795 1848 ( revision )

    빠알간 .. 1탄.. 하트 20D로 다시한번 찍어보았습니다. 300mm F2.8( @F4) ISO 800 5분 10장 + 1600 3분 4장 합성후 뽀샵.. 등등.. 1/2 resize .. 너무 빨깐 고추장으로 만들어서 다시 작없하여 올립니다.. 10,12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77
    Read More
  32.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Canon FD 400/2.8L (5.6) SBIG ST-2000XM(-20도 냉각) L = 1m x 3 + 5m x 12 + 10m x 15 RGB = 각 1m x 3, 5m x 3 총 267분 사양 딸리는 노트북으로 처리하려니 힘드네요;ㅁ; 다음은... 440분짜리 안드로메다와 330분짜리 플레이아데스...-0-;;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9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