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3complete_4U_S1.jpg


C3complete_4U_R1.jpg


2018년 12월 3~14일 / 경북 영천

Pentax 67 300mmF4 ED M* Lens Lens @ f4.0, 풀개방

Ha 1200s x 16 / O3 1800s x 12 / L 900s x 8 / R 900s x 6 / G 900s x 6/ B 900s x 6, All Bin1

Total 1070min (17h 50m)

QHY16200a(-50도)

Rainbowastro RST400 Equatorial Mount

Off-axis guide / 3 sec slow speed / MaximDL multistar guide /c QHY178M bin2

Bias -50도 x 32장, Dark -50도 x 16장, No flat


꼭 써보고 싶은 렌즈인 Pentax 67 300mmF4 ED 렌즈로 첫 촬영을 하였습니다.

풀프레임 CCD가 없어서 그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250~300mm 화각의 렌즈중에서,

가격대비 성능비로 이만한 렌즈가 있을까란 생각이 들 정도로 맘에 듭니다.


요즘 가격은 100만원 이하이며, 풀개방에서도 성상이 상당히 좋고, 

렌즈를 고정시키면 CCD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좋습니다.

첫 촬영에서 좌상 좌하에 코마가 생겨 굉장히 우울했는데,

그 원인은 Pentax 67렌즈 어댑터와 렌즈 체결부위 유격때문이었습니다.

급한대로 유격을 없애기 위해 롱케이블타이를 여러개 연결해서, 유격이 없도록 조정하였고,

성상은 만족스러웠습니다.


궁금하신 점들이 칼라채널 색수차 일텐데요,

ED 렌즈가 아닌 Pentax67 200mmF4의 경우 특히 B채널 초점이 심하게 나갔는데,

67 300mm ed는 거의 동초점이라 LRGB 찍을때는 초점을 따로 변경하지 않고,

Ha, O3는 채널별로 초점을 맞추어 촬영했습니다.

채널별 focal shift는 pentax SDHF에서는 분명히 확인할 수 있고, 

심지어 SDP에서도 마스크로 미세하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정도 수준이었습니다.

가격만 저렴하다면 전투형 400mm ed M*렌즈나 800mm ed M* 렌즈도 구해서 테스트 해보고 싶습니다.


렌즈어댑터를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빡빡하게 제작한다면

왠만한 CCD + 필터휠 + OAG까지 커버하는, 만족스러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계열 렌즈의 백포커스는 아시겠지만 89.5mm로 아주 여유 있습니다.


촬영시점에서 상온 -1.0도에서 새벽 4시 -10.0도까지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초점은 변하지 않아,

온도 변화에 대해서도 focal shift는 심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리개를 5.6까지 줄이면 어둡지만, 6um CCD에서 주변부 성상이 확실히 점상으로 느껴질 정도로  좋으니,

조리개 5.6에 9um 이상의 CCD에서는 아주 만족할만한 성상을 APS-H까지는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여유가 된다면 만천으로도 테스트 해보고 풀프레임에서도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20181212_165339_HDR.jpg


10인치 RC아래쪽 돕테일바에 연결하였고, 따로 비축도 달아두어서,

광시야 찍고 싶을땐 300mm로, 협시야 찍고 싶을땐 RC로 찍을 수 있도록 구성해 두었습니다.

자체 비축이 없으면 RC로 가이드를 해도 흘렀는데, 그 이유는 확인중에 있습니다.

이제 비축 없으면 가이드가 두려울 정도로 비축 맹신자가 되어 가는것 같습니다.


RST400을 엄청 혹사시키는것 같아서, 

유격이 약간 발생하도록 조정하고 밸런스는 무게추쪽으로 약간 이동시켜두었습니다.

이제 저 RC에 위쪽 돕테일바에 Pentax 경통과 새로 주문한 CCD만 달면 장비 정리는 어느 정도 될것 같습니다.


6303e은 -50도까지 내리면 거의 핫픽셀이 보이지 않아 No bias, No Dark로 촬영할 수 있었던 장점이 기억나서, -50도까지 냉각온도를 내려보았습니다.

QHY16200은 영하로 내려가면 -45도에서 ~ -50도까지 여유있게 냉각할 수 있었습니다.

중간에 쉼 없이 쭉 온도를 내려보았고, 중간에 성애가 끼지 않는 걸로 보아, QHY CCD도 온도 및 성애 제어 기술이 상당하다고 느꼈습니다.

건조제는 CCD 구입후 2년이 되어가는데, 한번도 교체한적이 없었습니다.

다만, -50도에서도 6303e의 -50도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핫픽셀이 상당히 검출되어, 다크와 플랫을 꼭 찍어야했던 점은 아쉬웠습니다.

이는, CCD 특성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이준화 2018.12.18 14:40 (*.125.183.216)

    펜탁스 렌즈가 상당히 좋군요.
    엄청난 시간이 투입된 사진도 멋있고,  시스템의 구성도 멋집니다. ~

  • 김태환 2018.12.19 13:13 (*.218.113.189)
    황홀 그 자체 입니다...
  • 박영식 2018.12.24 08:50 (*.253.237.152)
    전에 유호열님께서 400 mm로 멋진 영상 찍으셨던게 기억이 납니다.
    300mm 도 별상이 좋군요... 멋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496 Nebula 오리온의 속살은? 10 file 2008.12.03 1660 이상희 mysky71 이상희
495 Nebula Cederblad 214 in Cepheus 4 file 2003.12.25 166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94 Nebula ic 1805 14 file 2007.08.19 166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493 Nebula 대세는 버블...ngc7635 4 file 2008.08.07 1662 도영재 samdo3 도영재
492 Nebula 버블 성운 10 file 2003.11.25 1663 이건호 skymate 이건호
491 Nebula ngc7023 재처리 5 file 2010.11.27 1663 김광욱 applewo 김광욱
490 Nebula 삼태성과 말머리 7 file 2011.01.14 1664 이광호 lfo2910 이광호
489 Nebula SH2-240 4 file 2009.12.21 1665 조영현 hyuncat 조영현
488 Nebula NGC 7000 North America Nebula Canon 20D 6 file 2004.10.24 16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87 Nebula 갈매기 성운(IC2177) 6 file 2007.12.22 166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486 Nebula M42 10D 이미지 재처리... 9 file 2004.02.02 1667 김형석 halpon 김형석
485 Nebula IC5146 - Cocoon Nebula 16 file 2007.11.27 1667 김일순 arame 김일순
484 Nebula Central segment of the Veil nebula 5 file 2009.06.01 1667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483 Nebula 오리온자리 5 file 2009.10.25 1667 조영현 hyuncat 조영현
482 Nebula 말머리 성운 주변 9 file 2007.10.24 1668 이상헌 mycygnus 이상헌
481 Nebula IC5146 Cocoon Nebula 10 file 2008.05.25 1668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480 Nebula M78 - TOA 버젼 5 file 2009.01.03 166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79 Nebula 090428_ngc7000_ic5067 4 file 2009.04.29 1668 김호섭 obiwan 김호섭
478 Nebula m27 3 file 2009.06.02 1668 남명도 n8210 남명도
477 Nebula Eye in the sky~~~NGC7293(Helix nebula)_이미지 수정 12 file 2008.11.05 1669 조용현 zztop 조용현
476 Nebula NGC7380 18 file 2007.06.21 16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75 Nebula NGC7000 & Pelican Neb 11 file 2008.05.12 1670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74 Nebula M1 Crap nebula (NGC1952) 4 file 2010.09.10 1670 김정식 kjsfund 김정식
473 Nebula IC2177 2 file 2011.02.02 1670 장승혁 offaxis 장승혁
472 Nebula IC405 & IC410 16 file 2007.10.21 1671 강문기 mkang 강문기
471 Nebula [10D]M42 16bit이미지 처리 연습사진 올립니다. 6 file 2004.01.11 1673 김형석 halpon 김형석
470 Nebula NGC2174/5, IC443, M35 3 file 2010.11.05 1673 장승혁 offaxis 장승혁
469 Nebula M8, M20 22 file 2004.03.27 167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68 Nebula 베일(Ha_gray) 6 file 2009.11.03 1674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67 Nebula NGC6992 ~~ 3 file 2010.09.17 1674 조용현 zztop 조용현
466 Nebula Veil nebula (ngc6960+ngc6992) 14 file 2007.09.17 167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465 Nebula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HaRGB) 7 file 2003.12.05 167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