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66.11.75) 조회 수 400 추천 수 0 댓글 8

m57_1ss.jpg


m57_1.jpg



- 촬영 일시 : 2015. 10. 20촬영분 + 2016, 2. 10 촬영분
- 촬영 장소 : 비암사 주차장

- 망원경(경통) : 16 돕 / 18 돕
- 가대(삼각대) : EQ platform Model2

- 카메라(CCD) : asi174MC / ASI224MC

- 촬영 노출 : 프레임당 1sec x 약 800frames


작년에 찍은 사진과 올해 촬영분은 전혀 다른 장비와 카메라로 찍어 확대율도 다릅니다만


고리성운 중심부분만 따로 추가 합성 하였습니다...


고리 성운의 디테일이 훨씬 살아났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고리 바깥쪽의 성운의 퍼짐도 좀 보입니다.

  • 김상욱 2016.02.19 13:17 (*.70.145.130)
    이 사진도 장당 노출은 짧게 하고 매수를 많이 찍어서 처리하신 건가 봅니다.
    성운도 큼지막하고, 세부 표현도 좋지만 성운 안쪽의 색깔이 옥빛으로 나와서 더 이쁘네요.^^
    혹시 촬영하다 보면 돕이 조금씩 미세하게 처지거나 하는 문제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 김태환 2016.02.19 13:28 (*.166.11.75)

    트러스 돕은...당연히 처지지요... 처지면서 미세하게 광축도 변하고... 그런데 그게 별다른 문제가 안되는게 노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합성할때 모두 조정이 되는거 같습니다... 길게 노출하는데 노출 중에 처지고 광축이 변하면 별상에 문제를 주지만요.. 어쨌든 돕으로 사진을 찍는이상 일반적인 사진용 장비에서 바라는 정도의 욕심은 가져서는 안되지요... 그래서 대상을 한정하고, 사용하는 돕의 구경과 카메라에 맞는 대상을 골라서 촬영하는것도 중요한 포인트 같습니다.

    1초씩 총 800프레임 정도 합성한 결과 입니다.

  • 김영렬 2016.02.19 15:06 (*.66.58.81)

    행성처럼 이렇게 수초 노출로 딥을 할 수 있을지 시험해 보고 싶었는데, 멋진 결과를 보여주는군요.
    한번 시도해 봐야 겠어요.~

  • 김태환 2016.02.19 17:22 (*.166.11.75)
    카메라 감도가 좋으면 가능한것 같습니다. 더구나 16인치 이상의 구경이 한몫을 하구요..
  • 이건호 2016.02.22 14:00 (*.101.107.100)

    고리가 허블나네요!
    그런데 16돕 18돕... 어감이 재밌어요 ㅎㅎ

  • 김태환 2016.02.22 15:05 (*.166.11.75)
    불도저 앞에서 삽질 하는거죠 뭐.. ^^
  • 최승용 2016.02.23 14:49 (*.117.76.87)
    아주 좋네요.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어서...^^
  • 김태환 2016.02.23 15:38 (*.166.11.75)
    16인치나 18인치 돕이 간편하지는 않죠.. ^^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527 Nebula 오리온대성운과 런닝맨 9 file 2010.12.07 1646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526 Nebula IC4592 5 file 2011.04.13 1646 장승혁 offaxis 장승혁
525 Nebula Sh2-101, NGC6871 6 file 2010.09.04 1647 장승혁 offaxis 장승혁
524 Nebula 101203_ngc7635 8 file 2010.12.22 164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523 Nebula NGC2237 Rosette Nebula 8 file 2011.03.24 1648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522 Nebula NGC2264 Christmas Tree Nebula 12 file 2003.12.23 164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521 Nebula 베일성운 NGC6992 12 file 2007.10.11 1649 이건호 skymate 이건호
520 Nebula m42(오리온대성운) 7 file 2009.09.20 1649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519 Nebula 또....베일성운 7 file 2003.10.17 1650 이윤 liyun 이윤
518 Nebula 말머리성운 7 file 2008.11.27 1650 지승용 syji2000 지승용
517 Nebula IC5070 7 file 2010.05.29 1650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516 Nebula Thor's Helmet NGC2359 17 file 2007.12.11 1651 유종선 swent 유종선
515 Nebula M42 오리온대성운 5 file 2010.12.04 1651 장승혁 offaxis 장승혁
514 Nebula IC1396 12 file 2008.01.20 165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513 Nebula 오리온 성운 EOS 10D 9 file 2004.01.28 1653 김형석 halpon 김형석
512 Nebula 안부인사차... 5 file 2008.03.06 1653 송준엽 compotek 송준엽
511 Nebula 베일 2 file 2008.08.13 1653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510 Nebula Rosette 성운 12 file 2008.10.21 1654 강문기 mkang 강문기
509 Nebula SADR 주변 (FD300 별상테스트) 7 file 2009.04.19 1654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508 Nebula M17 (Omega/swan 성운) 5 file 2010.06.03 1654 김광욱 applewo 김광욱
507 Nebula IC348/NGC1333 5 file 2010.11.14 1654 장승혁 offaxis 장승혁
506 Nebula 오리온성운 1 file 2003.11.13 1655 문재곤 moonnsun 문재곤
505 Nebula ngc7000(R-gray) 8 file 2008.05.05 165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504 Nebula M84M86부근 처녀자리은하단 3 file 2009.01.03 1655 신병석 starzan 신병석
503 Nebula IC1396 4 file 2009.05.20 165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502 Nebula 오리온 대성운 - 재처리 3 file 2010.02.17 1655 권기식 orion96 권기식
501 Nebula NGC2264 - Cone Nebula 13 file 2007.12.11 1656 김일순 arame 김일순
500 Nebula 080531_ngc6992 16 file 2008.06.03 1656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99 Nebula 081028_ic63 15 file 2008.10.28 1656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98 Nebula 버나드루프 5 file 2009.11.20 1656 장승혁 offaxis 장승혁
497 Nebula m78 13 file 2010.02.08 165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96 Nebula 오리온의 속살은? 10 file 2008.12.03 1660 이상희 mysky71 이상희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