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66.11.75) 조회 수 432 추천 수 0 댓글 8

m57_1ss.jpg


m57_1.jpg



- 촬영 일시 : 2015. 10. 20촬영분 + 2016, 2. 10 촬영분
- 촬영 장소 : 비암사 주차장

- 망원경(경통) : 16 돕 / 18 돕
- 가대(삼각대) : EQ platform Model2

- 카메라(CCD) : asi174MC / ASI224MC

- 촬영 노출 : 프레임당 1sec x 약 800frames


작년에 찍은 사진과 올해 촬영분은 전혀 다른 장비와 카메라로 찍어 확대율도 다릅니다만


고리성운 중심부분만 따로 추가 합성 하였습니다...


고리 성운의 디테일이 훨씬 살아났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고리 바깥쪽의 성운의 퍼짐도 좀 보입니다.

  • 김상욱 2016.02.19 13:17 (*.70.145.130)
    이 사진도 장당 노출은 짧게 하고 매수를 많이 찍어서 처리하신 건가 봅니다.
    성운도 큼지막하고, 세부 표현도 좋지만 성운 안쪽의 색깔이 옥빛으로 나와서 더 이쁘네요.^^
    혹시 촬영하다 보면 돕이 조금씩 미세하게 처지거나 하는 문제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 김태환 2016.02.19 13:28 (*.166.11.75)

    트러스 돕은...당연히 처지지요... 처지면서 미세하게 광축도 변하고... 그런데 그게 별다른 문제가 안되는게 노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합성할때 모두 조정이 되는거 같습니다... 길게 노출하는데 노출 중에 처지고 광축이 변하면 별상에 문제를 주지만요.. 어쨌든 돕으로 사진을 찍는이상 일반적인 사진용 장비에서 바라는 정도의 욕심은 가져서는 안되지요... 그래서 대상을 한정하고, 사용하는 돕의 구경과 카메라에 맞는 대상을 골라서 촬영하는것도 중요한 포인트 같습니다.

    1초씩 총 800프레임 정도 합성한 결과 입니다.

  • 김영렬 2016.02.19 15:06 (*.66.58.81)

    행성처럼 이렇게 수초 노출로 딥을 할 수 있을지 시험해 보고 싶었는데, 멋진 결과를 보여주는군요.
    한번 시도해 봐야 겠어요.~

  • 김태환 2016.02.19 17:22 (*.166.11.75)
    카메라 감도가 좋으면 가능한것 같습니다. 더구나 16인치 이상의 구경이 한몫을 하구요..
  • 이건호 2016.02.22 14:00 (*.101.107.100)

    고리가 허블나네요!
    그런데 16돕 18돕... 어감이 재밌어요 ㅎㅎ

  • 김태환 2016.02.22 15:05 (*.166.11.75)
    불도저 앞에서 삽질 하는거죠 뭐.. ^^
  • 최승용 2016.02.23 14:49 (*.117.76.87)
    아주 좋네요.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어서...^^
  • 김태환 2016.02.23 15:38 (*.166.11.75)
    16인치나 18인치 돕이 간편하지는 않죠.. ^^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105 Nebula ic1318 & ngc6888 3 file 2009.10.24 1456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104 Nebula 오리온자리 5 file 2009.10.25 1667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103 Nebula 오리온 대성운 주변 6 file 2009.10.26 1486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102 Nebula NGC7635 Bubble Nebula 9 file 2009.10.26 18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01 Nebula IC 405, 410, 417 6 file 2009.10.26 1532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100 Nebula IC1396 2 file 2009.10.29 204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99 Nebula NGC6888 5 file 2009.10.29 20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98 Nebula [필름] IC1396 4 file 2009.11.02 1522 이준희 ljunhee98 이준희
1097 Nebula 베일(Ha_gray) 6 file 2009.11.03 1674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96 Nebula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성운 4 file 2009.11.18 1603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095 Nebula 오리온 대성운 5 file 2009.11.19 1314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094 Nebula 오리온대성운 3 file 2009.11.19 1636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93 Nebula IC434 4 file 2009.11.20 1733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92 Nebula 버나드루프 5 file 2009.11.20 1656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91 Nebula 오리온대성운 2 file 2009.11.20 1602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90 Nebula 장미성운(ngc2237) 5 file 2009.11.22 194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89 Nebula m1 8 file 2009.11.22 186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88 Nebula M42, 43 등등 3 file 2009.11.24 1756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087 Nebula 오리온성운 7 file 2009.11.26 1785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86 Nebula M78 6 file 2009.12.01 182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85 Nebula 말머리 4 file 2009.12.04 1601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84 Nebula M78 4 file 2009.12.14 1425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83 Nebula M45 8 file 2009.12.16 168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82 Nebula ic443_ngc2174 주변 4 file 2009.12.17 1283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81 Nebula IC2177 갈매기성운 4 file 2009.12.17 1268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080 Nebula IC2118 마귀할멈성운 4 file 2009.12.17 1864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79 Nebula 장미성운 file 2009.12.17 1725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78 Nebula ngc2237 장미성운 1 file 2009.12.18 1631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077 Nebula m78 재처리 3 file 2009.12.18 1410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76 Nebula Sh2-264 Angelfish 성운 6 file 2009.12.20 1582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75 Nebula SH2-240 4 file 2009.12.21 1665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074 Nebula ngc2264(크리스마스 성운) 5 file 2009.12.21 158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