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4.05.30 14:01

140529_ngc6992

(*.117.76.123) 조회 수 938 추천 수 0 댓글 14



 
140529_ngc6992_resize_post.jpg140529_ngc6992_resize.jpg
 

140529_ngc6992

2014년 5월 29일 목요일...
일기예보 상으로는 내일(오늘)이 더 좋을 것으로 나왔으나 요즘 하늘은 믿을 수가 없습니다.
퇴근 후 집에서 저녁을 먹고 바로 아산으로 갑니다.
가는 도중 간간히 구름도 지나가지만 그래도 갑니다.
천문대 도착하여 하늘을 보니 간만에 좋은 하늘을 보여 주네요.
냉각 시키면서 이것저것 테스트로 해 보고 밀러리스 카메라(X-e1) 테스트로 했습니다.
그런데 아직은 감을 잡질 못하겠네요. 그냥 여행 다니면서 잘 쓰면 되지요 머....^^

자정이 넘은 시간까지 이것저것 테스트 및 촬영 대상을 고루다가 어쩔 수 없이 베일을 찍게 되었습니다.
걸어 두고 잠을 자야 하기 때문에 자오선을 넘어도 망원경이 돌아 갈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대상을 고른 것이지요.

제 적도의는 하모닉 드라이브라는 것을 사용한 자작 적도의인데 이넘이 발란스를 잡지 않아도 아주 편하게 가이드를 해 줍니다.
그걸 믿고 자오선 넘어도 걱정이 없는 것이지요.

아무튼....
각각의 시컨스를 설정 하니 3시간 20분 정도 되는데 이정도면 날이 밝을 것 같았습니다.
2시에 자서 5시 15분에 일어 나서 보니 이미 망원경은 천정을 바라 보고 있고 가이드는 띵띵 거리고 있네요.
하늘은 이미 밝아져 있고...
결국 L 이미지의 마지막 장은 노출 오바 되어서 데이터가 없었습니다.
요즘은 길게 찍지도 못합니다.

딥스카이는 거의 2년만에 찍어 보는 것 같네요.
그동안 행성 찍고 자작 적도의 만든다고 시간을 낭비했나 봅니다.
이미지 처리하는 방법이 생각이 나질 않아서 어려웠습니다.
또한 다크와 비아, 플랫은 3년전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동안 사용 하지 않았는데도 그냥저냥 되네요.
다음에 시간 되면 다시 잘 찍어 두어야겠습니다.

적도의가 참 마음에 들게 가이드를 잘 해 주네요.
자작 적도의 그것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하모닉 드라이브를 이용한 자작 적도의...
아주 간단하게 만들었는데도 이렇게 사진이 찍히는 것을 보니 그동안 웜기어를 사용 하던 적도의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 때문에 생겼던 스트레스는 없어질 것 같습니다.
일단 적경 적위 발란스 잡는 행위 자체가 없어져서 아주 편합니다.
지금 상태도 일반적인 적도의라면 도저히 발란스를 잡지 않고서는 사진을 찍을 수 없는 그런 언발란스한 상태 입니다만
아주 휼륭하게 사진을 찍어 주네요.
행성도 마찬가지구요....

다음에 또 다른 시도를 해 보겠습니다.

간만에 은하수가 보이는 아무도 없는 천문대에서 근사한 밤을 보낸 것 같습니다.

저는 역시 혼자 별 볼 때가 가장 능율이 오르는 것 같습니다.^^

그럼......

...................................................................................................................................

촬영시간 : 2014년 5월 29일 밤 ~ 30일 새벽
촬영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AstroDreamTech  Kastron Alpha-250CA
적도의    : HDM40(하모닉드라이브 자작 적도의) + 자작 드라이브 시스템
카메라    : SBIG STL 11000M + Korecton 76NA(3inch 코렉터) + 바더 2인치 필터셋
가이드    : 셀프 가이드
L             : 900s x 7ea(1x1)(-20C)
RGB       : 400s x 4ea(2x2)

  • 황인준 2014.05.30 14:21 (*.82.64.47)
    대박사진입니다.
  • 김종호 2014.05.30 15:37 (*.32.14.149)
    베일성운 갑!!!입니다...
    하모닉기어에 대해 설명좀해주세요~ 밸런스 안맞으면 하모닉적도의는 에러나 기어에 모멘텀이 안가나요??
    처음들어본다는..^^
  • 도영재 2014.05.30 16:05 (*.170.72.138)
    불타오르는군요 베일...
    하모닉적도의 성능도 대단합니다. 상용화 계획은 없으신지요?^^
  • 임재식 2014.05.30 16:08 (*.33.186.75)
    멋집니다.
    전 땡기고 싶은데, 광시야 원하시면 제 장비와 바꾸셔도 됩니다^^;;
  • 최승용 2014.05.30 16:08 (*.117.76.123)
    하모닉드라이브 기어는 1950년대에 만들어진 감속기계 입니다만 그 당시의 기술로는 현재와 같은 부드러운 작동은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것을 일본에서 기술을 연마(?)해서 세계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하지만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벡레쉬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밀 위치 제어가 필요한 로봇에 많이 쓰이구요.
    우주선의 로봇팔에도 이 하모닉드라이브가 사용 됩니다.
    5000:1의 총감속비가 이용되는데 이것이 특이하게 역회전은 하질 못합니다.
    물론 허용치 이상이면 역회전을 하겠지만 현재 제 장비 정도면 200Kg정도는 무난하게 발란스 없이
    추적을 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천문대에서 지인을 적위축 축봉에 매달고 고투가 가능 했습니다.
    무서웠습니다. 망가질까 봐....
    그런데 아무 문제 없더군요.^^
    이론적인 것이나 동영상 등은 유튜브에서 검색하시면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OPT에서 크로노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이 있기는 합니다만 일반 적도의보다 훨씬 가격이 쎕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정도의 것은 거의 10만불 정도 하더군요.
    물론 전자장치가 더 고급이기는 합니다만....
    독일식 적도의에 발란스 웨이트가 필요 없다는 것을 알고 궁금증이 생겨 결국에는 제가 자작을 하게 되었습니다만
    자작인데도 돈이 많이 들더라구요.
    아무튼 현재까지는 쓸만 합니다.^^
  • 김종호 2014.05.30 16:18 (*.32.14.149)
    헉..10만불.........엄청 정밀한 기어인가보네요..
  • 신병석 2014.05.31 09:24 (*.156.214.90)
    진하게 찍으셨군요.. 색감도 좋구요..
    그런데.. 10만불상당의 적도의라면....... 반칙아닙니까..ㅋㅋㅋㅋ
  • 최승용 2014.05.31 11:21 (*.117.76.123)
    윽....
    당했다.^^
    거기서 판매하는 적도의 가격이 그렇다는 것이고 제것은 턱도 없는 싸구려 장비 입니다.^^
  • 선숙래 2014.05.31 13:02 (*.194.93.204)
    드디어 만드셨군요 ^^^^^
  • 김영렬 2014.06.03 13:43 (*.66.58.81)
    멋집니다. 눈이 시원해 지는군요.^^
  • 이건호 2014.06.03 22:11 (*.101.107.100)
    오! 적도의도 좋고
    CCD도 만천이네요!
    저는 만천이 그리워요~~~~
  • 김광욱 2014.06.06 23:35 (*.166.72.193)
    만천이가 LRGB는 참 괜찮은 듯 싶은데 Ha 가 좀 약해서 요즘 심난합니다.
  • 육호준 2014.06.08 23:07 (*.117.8.177)
    별들이 깨알같은게 넘 멋집니다.^^
  • 김영혜 2014.07.05 23:06 (*.44.254.139)
    대단하시다는 생각이 듭니다. 성님^^

  1. IC434

    정말~~~오랜만에 담아 봤습니다 미흡한사진 많이 지적해 주세요... 이미지 처리하는거...너~~~무 어려워요 ㅜㅜ 몽골 존못뜨 2013-12-05 20:18:32 MC300 Pentax105 QSI583 QHY Guide L (400 * 8 )1x1 RGB (400s * 4) 2x2
    Date2013.12.13 CategoryNebula By조진원 Views844
    Read More
  2. M78 (오리온자리 반사성운)

    M78은 오리온자리 삼태성의 좌상단에 위치한 반사성운으로,   주변부를 둘러싼 암흑성운과 어울려져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대상입니다. 올해 찍은 사진들을 돌아보니, 대부분 LRGB 필터를 사용해서,   대상의 True color를 어떻하면 잡아...
    Date2013.12.26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904
    Read More
  3. IC2177 갈매기성운

    2013. 12. 28 영천 보현산 관측소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S2 : iso1600 / 10m×10 Ha : iso1600 / 10m×12 O3 : iso1600 / 10m×10 너무 춥고 태풍과 같은 바람이 불었지만, 장비는 밤새 묵묵히 제 할 일 열심히 했더군요.
    Date2013.12.29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644
    Read More
  4. ic2177 bicolor 버전

    2013. 12. 28 영천 보현산 관측소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Ha : iso1600 / 10m×12 O3 : iso1600 / 10m×10 내로밴드 촬영의 장점... bicolor 합성도 해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Date2013.12.31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755
    Read More
  5. Thor's Helmet Bubble nebular (ngc2359)_2013년 서천동 마지막 정관에서...

    ||1방내리 서천동 2013년 마지막 정관에서 가이드 카메라 오류로 하루 공치고 그 다음날 낚은 헬멧입니다... [2013. 12. 28. 강원도 홍천군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10inch newtonian(f/4.6) Camera : QSI583wsg, Lodestar guide CCD camera Mount : Taka...
    Date2013.12.31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890
    Read More
  6. Central Orion

    새해 첫 관측 대상을 오리온 중심부로 선택했습니다. 갑오년 말의 해에 天馬가 불새처럼 飛上하라는 의미입니다. 모든 분들에게 새해에도 모든 일이 잘 되길 기원해 봅니다. - Object: Central Orion - Location: 충북 괴산 공림사 - Date: 2014년 1월 2일 00...
    Date2014.01.04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821
    Read More
  7. 장미성운

    매년 그래도 한번씩은 찍어보는 장미성운 입니다. 새해 첫 대상이라 그럭저럭 밝은 대상으로 밤하늘을 즐기다 왔네요. # Date : 2014/01/04 # Location : 경기도 안성군 # Equipment    * Mount : Mesu-200    * Telescope : Takahashi E...
    Date2014.01.05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911
    Read More
  8. IC405 & IC410

    2014. 1. 5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S2 : iso1600 / 10m×12 Ha : iso1600 / 10m×16 O3 : iso1600 / 10m×12
    Date2014.01.06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697
    Read More
  9. NGC 1977 (Running Man)

    경통: ADT 320DS Newtonian F/4.5 with Wynne correcto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4년 1월 5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5분 7매, 1시간 45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6 일요일이지만 저...
    Date2014.01.0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922
    Read More
  10. M35, IC 443, NGC 2174

    지난 새해 첫날 관측에서 망원경을 철수하기 전에 찍어본 대상입니다. M35는 산개성단(Open Cluster)로 젊은별들의 모임입니다. NGC 2175 역시 산개성단이고, 여기서 새로 탄생한 별이 주변의 수소가스를 이온화시킨 영역(H II region)이 NGC 2174(Monkey Neb...
    Date2014.01.07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129
    Read More
  11. IC405 & IC410 bicolor

    2014. 1. 5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Ha : iso1600 / 10m×16 O3 : iso1600 / 10m×12
    Date2014.01.0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796
    Read More
  12. 수피령 불꽃과 말머리 [ ngc2024 & b33 ]

      촬영:수피령20140101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광학계: Orion UK VX8 카메라:QSI583WS 가이드:Borg50ed + DSI 노출:HA+L+R+G+B [100 100 20 20 20] 처리:Photo shop cs3   Maxlm DL 안녕하세요 새해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Date2014.01.08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977
    Read More
  13. NGC7635( Bubble nebular, 거품 성운)

    ||1지난 2013년 마지막 정관에서 Thor 헬멧하고 같이 찍었는 데 이제서야 처리했습니다.. 처리 대행하는데 없나??? ㅎㅎ 제가 좋아하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너무 이뻐서~~ [2013. 12. 28. 강원도 홍천군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10inch newtonian(f/4.6...
    Date2014.01.15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4084
    Read More
  14. M78

    Imaging Date: January 5th, 2014 January 26th, 2014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self guide Imaging Camera: SBIG STL 11000 ( -40C ) Imaging Software: MaxIm5 Exposure: L 600sec ...
    Date2014.02.03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053
    Read More
  15. NGC1999주변

    촬영지:수피령20140127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경통:Orion uk vx8 카메라:QSI583WS 가이드:Borg50ed +DSI 노출:L R G B  100 20 20 20
    Date2014.02.04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077
    Read More
  16. IC 2177 Seagull nebular~~

    벗고개에 가신다는 동호회의 안시석호님을 따라 나섰습니다.. 날씨도 춥지 않고 하늘도 적당해서 그런지 많은 벌지기들이 와있었고 또 왔습니다.. 사진을 걸어 놓고 안시파들의 망원경을 빌어 많은 대상을 관측했습니다.. 아마도 최근에 가장 많은 대상과 정...
    Date2014.02.05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125
    Read More
  17. IC443 해파리성운 머리

    지난해 11월쯤 저녁에 시간이 나서 좀 찍었던 파일을 처리해 보고 있습니다. 근데, 이것도 걍 테스트차원이라고 하려구요 ㅎㅎ 2013년 12월 0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OGS14.5인치 STX16803 EQ1200GTO RGB 각 10분씩 3장 (2x2)
    Date2014.0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35
    Read More
  18. NGC7380, SH2-142

    세페우스에 자리한 성단 ngc7380과 성운 Sh2-142 입니다. 지난 여름에 찍었던 사진이구요, 파일 정리하다가 발견했습니다. ^^ 2013년 06월 10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OGS14.5인치 STX16803 EQ1200GTO LRGB 각 10분씩 5장
    Date2014.0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63
    Read More
  19.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여우얼굴

    제목 :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여우얼굴 망원경/렌즈 : OGS14.5 마운트 : EQ1200GTO 카메라 : STX16803 노출정보 : L 10분 10장, RGB 각 10분씩 5장 촬영장소 :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촬영일시 : 2014년 1월 지난 1월에 이틀에 걸쳐 찍었던 사진입니...
    Date2014.02.1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64
    Read More
  20. 오리온대성운

    2월 4일에 촬영했던 오리온대성운입니다. 바람 등의 영향으로 장노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최대 ISO로 셋팅 후 테스트 해 봤습니다. 고작해야 2초가 노출의 한계...바람 막이를 하나 준비해야 할 듯 합니다. 투명도 좋은 날 20인치로 관측시 사진 정도 밝기에...
    Date2014.03.03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186
    Read More
  21. M78

    M78....  다섯번 정도 찍어보았지만.. 찍을때마다 항상부족함을 느낍니다. TOA로  사진을 찍을거면  역시 TOA-F 네요. 16803에서 구석까지 별상이 똘망똘망. F가 7.7이라 어두운것은 좀 무리인듯하지만요.   M78도 L -image를 1200sec을 주어야 겨우..  TOA-F...
    Date2014.03.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98
    Read More
  22. NGC6888

    촬영지:20140505 강원도 인제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경통:Orion uk vx8 카메라;QSI583WS 가이드:Borg50ed + DSI 노출:L+Ha R G B  30 15 15 15 15   모처럼 남천을 보러 인제에 갔습니다 기름값좀 뽑아볼려고 빛심[광축]도 신경 많이 신경썼는데 5월...
    Date2014.05.07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846
    Read More
  23. NGC 6723,6727 in corona australis (REVISION 2015.04)

    제목 : NGC 6723,6727 in corona australis 망원경/렌즈 : CCA-250 (FL : 1250mm) 카메라 : FLI 16803 마운트 : AP 1200 필터 :  LRGB 노출정보 : L 1x1 900sec x 2 (RGB 3x3 300s x 3) 촬영장소 : 전북 장수 촬영일시 :  2014.05.26 촬영후기 : 궁수자리 바로...
    Date2014.05.2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690
    Read More
  24. Dark nebula

    B312와 NGC6645 알타이르 근처의 암흑성운 B142, B143 B111과 M11 B312 우측으로 있는 NGC6645(사진상 좌측)와 M25(사진상 우측) 5월 27일밤 촬영한 암흑성운들입니다. 노터치 가이드로 촬영하다보니 장노출이 힘들어 멋지게 촬영하기 힘드네요. 내년쯤에나 ...
    Date2014.05.2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669
    Read More
  25. 140529_ngc6992

        140529_ngc6992 2014년 5월 29일 목요일... 일기예보 상으로는 내일(오늘)이 더 좋을 것으로 나왔으나 요즘 하늘은 믿을 수가 없습니다. 퇴근 후 집에서 저녁을 먹고 바로 아산으로 갑니다. 가는 도중 간간히 구름도 지나가지만 그래도 갑니다. 천문대 도...
    Date2014.05.30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938
    Read More
  26. M17 (The Omega Nebula)

    M17 은 안시 관측하시는 분들이 숫자 2, 백조 성운 등으로 불리는데. 실제로 대구경 장비로 보면 성운의 필라멘트 구조가 보일 정도로 밝은 대상이라 여름철에 보면 즐거운 녀석이고 사진으로 찍을 경우 H-alpha 필터를 사용할 경우 디테일한 붉은 성운기를 잡...
    Date2014.06.0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959
    Read More
  27. M 27

    제목 : M 27 망원경/렌즈 : Kastron 320DS 카메라 : SBIG ST-4000XCM 마운트 : Paramount ME 필터 : None 노출정보 : 15 min x 12 ea 촬영장소 : NADAO1 촬영일시 : 2014년 6월 1일 촬영후기 : 자정 넘어 하늘이 맑아져서 그때부터 3시간 노출 걸어놓고 잠만 ...
    Date2014.06.02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759
    Read More
  28. NGC 6334 Cat's Paw Nebula

    제목 : NGC 6334 Cat's Paw Nebula 망원경/렌즈 :  CCA-250 (FL : 1250mm) 카메라 : FLI 16803 마운트 : AP EQ 1200 필터 :  LRGB 노출정보 : HA 2x2 600sec x 1 (RGBO3 3x3 300s x  각 1장) -> Crop.  촬영장소 : 전북 장수 촬영일시 : 2014.05.29 촬영후기 :...
    Date2014.06.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87
    Read More
  29. 제목 : M16 Eagle Nebula

    제목 : M16  Eagle Nebula 망원경/렌즈 : CCA-250 (FL : 1250mm) 카메라 : FLI 16803 마운트 : AP EQ 1200 필터 :  LRGB 노출정보 : HA 1x1 1200sec x 4 (RGB,O3 2x2 300s x  3) 촬영장소 : 전북 장수 촬영일시 : 2014.05.21 촬영후기 : 장비가 무색한 사진입...
    Date2014.06.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39
    Read More
  30. M8, M20 - NarrowBand image

    망원경/렌즈 : FSQ106ED with 0.73 Reducer(F3.6 FL: 385mm) 카메라 : SBIG 6303 (1.3 Crop Body 판형) 마운트 : Takahashi NJP 필터 :  HA, SII, O3 Filter 노출정보 : HA 1x1 1200sec, (Ha, SII, O3) - 2x2 1200s x 3)   촬영장소 : 전북 장수 촬영일시 : 2...
    Date2014.06.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65
    Read More
  31. M16 독수리성운

    제목 : M16 독수리성운 망원경/렌즈 : OGS 14.5inch F8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AP EQ1200GTO 필터 : Astrodon LRGB 노출정보 : R 20분x3장 GB 10분x3장씩 촬영장소 :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촬영일시 : 2014년 5월 29일 촬영후기 : 오래 찍...
    Date2014.07.2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869
    Read More
  32. NGC6334 Cat's Paw Nebula

    제목 : NGC6334 Cat's Paw Nebula 망원경/렌즈 : Takahashi FCT-76 카메라 : QSI-683WSG /w Lodestar guide CCD 마운트 : Takahashi EM-11 필터 : 노출정보 :  L=600s X 7,  R/G/B=300s X 5 each (2x2) 촬영장소 : Karijini ECO Retreat, Australia 촬영일시 ...
    Date2014.08.07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6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