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1.12.27 15:02

111226_ic443

(*.117.76.123) 조회 수 1086 추천 수 77 댓글 8




111226_ic443

12월 25일 성탄절 밤 하늘이 좋아서 가족과의 저녁 약속도 펑크내고 아산으로 달려 갔었는데.....
찍을 만한 시간이 되자 하늘에 별과 구름이 함께 하면서 눈이 조금씩 내리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새벽에 철수를 하였지요.
그리고 다시 월요일 밤에 아산으로 처들어 갔습니다.^^
이번에 결단코 제대로 한번 찍어 보리라 다짐하면서...
저녁도 굶고 갔지요....(호빔장이 라면을 주셔서 배부르게 잘 먹었습니다.^^)
드디어 오늘의 대상으로 선정된 ic443을 겨냥하고 동쪽 중반 하늘에서부터 촬영을 시작했씁니다.
이때가 저녁 10시정도???
동쪽에서 간단히 찍고 서쪽으로 넘겨서 줄창 찍으면서 달콤한 잠을 자리 계획했었습니다.
1시쯤 촬영을 끝내고 서쪽으로 돌려 다시 자리를 잡고 가이드 교육하면 시키고 시퀀스 걸어 놓고.....
이번에는 Ha까지 덤으로 찍으라고 해 놓고 start 누르고 따스한 방에서 달콤한 단잠에 빠져 들었습니다.
내심 나올 작품을 기대 하면서요.....
그... 러... 나......
역시 세상은 그리 호락호락 하지 않았습니다.
그 좋던 하늘이 이게 웬 날벼락 입니까?
방에서 잠을 자기 시작하면서 하늘이 구름으로 덮였나 봅니다.
첫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모두가 갈매기가 나릅니다.
(가이드 실패....)
한장도 쓸 수 없도록..... 완벽하게....휴~~~~
결국 이번에도 전 지고 말았답니다.
관측 증거라도 남겨야 하겠기에 이런 모자란 장수로 이미지를 만들면서도 한숨이....
RGB 모두 1비닝이라서 컬러정보 자체도 모자라고 L로 쓸 R 또한 정보가 터무니 없이 모자랍니다.
그래서 서쪽에서 많은 정보를 담을 예정이었는데.....
또 다음을 기약하게 합니다.
올해는 이것이 마지막 관측이 되겠습니다.
이제 년말연시는 가족과 함께.....^^

여러분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111226_ic443

촬영시간 : 2011년 12월 26일
촬영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AstroDreamTech  Kastron Alpha-250CA
적도의 : Skymax V + Anygoto
카메라 : SBIG STL 11000M + Korecton 76NA(3inch 코렉터) + 바더 2인치 필터셋
가이드 : 셀프 가이드
R        : 600s x 2ea(1x1)(-20C)
RGB    : 400s x 5ea(1x1)

  • 김정식 2011.12.27 18:42 (*.252.121.103)
    은은하면서도 기풍이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는 일 모두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언제 광축 특강한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고창균 2011.12.27 21:09 (*.115.186.156)
    역시 누군가 하신 말씀이 맞군요. 대한민국 최고의 엄살 9단...ㅋㅋㅋ
    서쪽하늘의 촬영정보까지 쌓였다면 어떤 대작이 되었을지 궁금합니다.
    사진 너무 좋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김일순 2011.12.27 21:31 (*.158.1.27)
    구름이 왠수지요... ^^
    적은 장수지만 참 멋진 사진입니다.
  • 김호섭 2011.12.28 02:00 (*.53.169.82)
    승용님 성격이 저랑 비슷하신듯..
    후기글이 제가 딮스카이사진올릴때랑 비슷하셔요..ㅋㅋ
    광측과 별상은 이미 경지를 넘어서신듯 합니다.
    인공위성(?)은 애교로 양념치셨네요..*^^*
  • 최승용 2011.12.28 11:55 (*.117.76.123)
    저... 엄살 아닌데요....^^
    그리고 호섭님.... 이거 인공위성이 아니고 스파이더 상이 저 멀리까지 가서 생기는 것이에요.
    그리고 여기저기 많이 있어요....
    인공위성 따위는 그냥 시그마 합성하면 없어진다나 머라나....^^
  • 이광호 2011.12.28 12:02 (*.144.253.179)
    색감이 좋습니다
    스파이더상이 특이합니다
  • 신춘섭 2011.12.28 22:41 (*.147.46.145)
    부족한 매수라도 퀄리티는 그이상입니다...
    예리한 스파이더 상이 인상적이네요...^^
  • 박영식 2012.01.02 09:47 (*.219.33.111)
    별상, 별색 모두 멋집니다.
    아산 하늘에서 정말 멋지게 찍으시는 거에요...
    강원도 산속에서 찍으시면???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686 Nebula 안타레스 주변부 13 file 2006.05.31 1390 이윤 liyun 이윤
685 Nebula 안타레스 부근 9 file 2006.05.31 140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84 Nebula NGC 6820 Ha image 3 file 2006.05.31 105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83 Nebula M57 13 file 2006.05.23 131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682 Nebula 050607-M16 8 file 2006.05.22 1269 박정용 dipblue 박정용
681 Nebula [350D] NGC6992 Veil Nebula 17 file 2006.05.21 1185 유종선 swent 유종선
680 Nebula 오리온의 재구성 6 file 2006.05.17 1228 남명도 n8210 남명도
679 Nebula M16 6 file 2006.05.16 145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78 Nebula M16 , NGC6604 & 6625 6 file 2006.05.15 140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77 Nebula NGC7000 / IC5067 6 file 2006.05.13 139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76 Nebula 060508_m27 12 file 2006.05.10 121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675 Nebula NGC6888 10 file 2006.05.09 106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674 Nebula 백조좌 ~ 두번째.. 7 file 2006.05.09 117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73 Nebula Milky way - Lagoon Nebula region (5D) 15 file 2006.05.09 134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72 Nebula Lagoon Nebula region (20D) 7 file 2006.05.09 131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71 Nebula 백조좌 NGC 6888부근.. 6 file 2006.05.09 103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70 Nebula M8, M20 4 file 2006.05.08 108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669 Nebula 뱀성운 8 file 2006.05.08 123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668 Nebula NGC 7000 Ha image 4 file 2006.05.06 133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67 Nebula M16 M 17 Ha image 9 file 2006.05.06 132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666 Nebula NGC2207 1 file 2006.05.05 879 이건호 skymate 이건호
665 Nebula 060427_m17 6 file 2006.05.03 101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664 Nebula 060427-M17 8 file 2006.05.01 1897 박정용 dipblue 박정용
663 Nebula M16 - Eagle Nebula 10 file 2006.04.30 1336 김일순 arame 김일순
662 Nebula M8 & M20_060428 철원 수피령 6 file 2006.04.30 1309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661 Nebula 어제 찍은 몇가지 대상들입니다. 4 file 2006.04.28 1003 최훈옥 oioigs 최훈옥
660 Nebula [350D] 펠리칸성운 7 file 2006.04.28 968 유종선 swent 유종선
659 Nebula M16 & M17 4 file 2006.04.28 113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658 Nebula M106 8 file 2006.04.18 126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657 Nebula M20 - 삼렬성운(Trifid Nebula) 13 file 2006.04.08 1436 김일순 arame 김일순
656 Nebula M16 6 file 2006.04.07 1139 김승남 byulter 김승남
655 Nebula M17 8 file 2006.04.06 1196 김승남 byulter 김승남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