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0.05.17 18:51

100515_M20

(*.117.76.123) 조회 수 1715 추천 수 230 댓글 11




2010년 5월 16일 새벽에 쵤영한 M20 입니다.
올 봄 들어서 가장 좋은 하늘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역시 또 삽질을 하다가 그동안 잘 찍어 볼 수 없었던 대상으로 이 대상을 골랐는데
촬영 시간이 좀 부족 했습니다.
워낙 고도가 낮은지라 가이드도 많이 흐르더군요.
그래프 상으로는 아주 좋은 상태를 보여 주는데 촬영된 영상은 별들이 좌악 하고 흘러 있습니다.
결국 극축 다시 맞추고 또 찍어야 했습니다.
그랬더니 별상이 좀 좋아지더군요.
고정식 피어가 아니라서 약간의 충격으로도 극축이 많이 어긋나는 것 같습니다.
그것도 남천 하늘의 대상이라면 더욱 그렇겠지요.
아무튼 정말 좋아 보였던 하늘에서 이런 사진을 하나만 찍어야 했던 상황은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맨눈으로도 은하수가 쫘~악 보이더군요.
옆에는 구름이 길게 늘어서 있나 했는데 은하수가 갈라져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눈이 나빠요....^^
역시 카메라 셋팅 연습 하고 플랫 다시 찍고 테스트 삼아 찍어 본 대상 입니다.
아직도 카메라 셋팅은 계속 진행 중 입니다.
게인 값을 높이는 것이 좋은지 0으로 해야 하는 것인지...
QHY에 문의를 해 보았더니 게인값은 0으로 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옵셋 값도 맥심을 이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오버스켄쪽을 이용해야 하는지...
서로 말들이 달라서...
그래서 계속 테스트 중 입니다.
그러나 어떻게 찍던 잘 나오기는 하네요.
머.... 이 날은 워낙 하늘이 좋았지만 말 입니다.
FWHM도 1.9까지 떨어지고.....

..........................................................................................................

관측시간 : 2010년 5월 16일 새벽
관측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ADT 10inch F4 카본경통
가이드 망원경 : 펜탁스 75SDHF + QHY5
적도의 : SKYMAX V + Anygoto
카메라 : QHY9 +바더 2인치 필터 + 파라코어
노   출 : L : 5min x 6ea(1x1)(-20c)
            RG : 5mim x 3ea(2x2)
              B : 5min x 4ea(2x2)  
            Ha : 10m x 4ea(1x1)
  • 김영렬 2010.05.17 18:59 (*.66.58.82)
    이 모습을 보니 또 다시 여름이군요.
    요즘은 QHY9 로 찍고 있는 모양입니다.
  • 공준호 2010.05.17 18:59 (*.195.184.3)
    우와~~~ 감탄사가 절로 나오도록 멋진 삼열성운이로군요. 이젠 새로운 세팅이 완전히 자리잡아가시는 모양입니다. ^.~
  • 전영준 2010.05.17 19:01 (*.138.203.2)
    적색표현이 참 아름답습니다.
    이런 내공을 언제나 따라해볼지 마음만 급합니다..^^
  • 임재식 2010.05.17 22:09 (*.127.109.155)
    와~~~~~~~~~~~~~~ 멋집니다^^
  • 장승혁 2010.05.17 22:33 (*.123.115.118)
    대단합니다. 마치 붓으로 그린 미술작품 같네요.
  • 김광욱 2010.05.18 00:16 (*.56.118.31)
    화려합니다. L과 Ha 동시처리를 하셔서 그런지 별색상도 이쁘고, 성운도 또렸하고.....Q9 제꺼는 Gain 20 / Offset 95 가 적정한 것으로 측정되더군요. Gain 0 으로 놓는게 좋다는 사람도 있지만..흠...그리고 오버스캔은 뭔지 모르겠더군요.
  • 최승용 2010.05.18 13:31 (*.117.76.123)
    김광욱님! 카메라마다 셋팅이 틀려서 제 카메라는 아직도 테스트 중인데 이 테스트 자체에 저는 아직 신뢰를 못하고
    있습니다.
    좀 더 카메라의 성능을 올려 보려는 의도이기는 하지만 사실 거기서 거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구요.
    맥심에서 중간값을 가지고 설정을 하는 방법과 오버스케 에어리어를 통한 값을 찾는 방법이 있다는데
    저는 어떤 것으로 해도 아직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게인을 높이는 방법은 바탕이 좀 거칠어 지는 감이 있기는 하더군요.
    그리고 게인을 0으로 할 때는 좀 더 곱기는 한데 이것이 성능을 낮추는 일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방법을 알면 도움 주시기 바랍니다.^^
  • 전승표 2010.05.18 16:07 (*.103.83.29)
    삼렬성운의 표준이네요.
    Ha가 있어서 색감이 더 풍부하게 보입니다.
  • 박영식 2010.05.18 17:36 (*.219.33.111)
    와~~~~~~~~~~~~~~~~~~~~~~~~~~~~~~~~~~~~~~~~~~~~~~~~~~~~~~~~~~~~~~~~~~~~~~~~
    정말 멋집니다. ^^
  • 황인준 2010.05.18 19:46 (*.68.112.216)
    지금껏 최고의 삼열이입니다. 호빔에서 찍었다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 서길원 2010.05.20 13:02 (*.78.73.204)
    오래간만에 들어왔는데 죽이는 작품을 보게 되는군요...10인치로 대단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42 Nebula 장미성운(흑백) 6 file 2005.02.12 1051 남명도 n8210 남명도
141 Nebula 장미성운, ngc2237 14 file 2007.11.19 154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40 Nebula 장미성운_050105_광덕산 7 file 2005.01.15 1620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39 Nebula 장미성운_051108 14 file 2005.11.10 1491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38 Nebula 장미성운과 크리스마스트리 성단 5 file 2010.11.14 1590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37 Nebula 장미성운부근 찍기. 6 file 2011.01.11 175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36 Nebula 장미성운의 아래쪽, Sh2-280, Sh2-282 8 file 2010.01.18 133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35 Nebula 장미와 달 6 file 2017.02.01 25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4 Nebula 장미와 크리스마스 6 file 2015.11.01 223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3 Nebula 장미와 크리스마스트리 11 file 2004.10.12 109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2 Nebula 장미와 트리성운 18 file 2014.12.01 51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1 Nebula 장미와크리스마스트리 18 file 2010.01.25 1569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0 Nebula 장미의 부분 12 file 2004.11.22 1159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29 Nebula 장미한송이 file 2011.11.29 1065 조진원 titan7 조진원
128 Nebula 장비시험-오리온 9 file 2015.01.13 488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27 Nebula 재처리 9 file 2008.12.01 1173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26 Nebula 저도 말머리 하나... 2 file 2006.12.24 1219 도영재 samdo3 도영재
125 Nebula 저도 메리 크리스마스! 10 file 2007.12.21 1690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24 Nebula 저도 장미 한송이 꺽었습니다.^^ 9 file 2003.12.17 1527 김영혜 qzero1 김영혜
123 Nebula 저물어가는 m42 by st2000xcm 4 file 2006.04.01 1056 도영재 samdo3 도영재
122 Nebula 저물어가는 NGC7000~~~ 7 file 2011.10.05 980 조용현 zztop 조용현
121 Nebula 저물어가는 Orion입니다. 4 file 2006.03.26 126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20 Nebula 저물어가는 궁수좌.. 1 file 2011.10.01 146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9 Nebula 저물어가는 나무 10 file 2006.03.06 1015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8 Nebula 정말 오래간만의 출사 8 file 2009.09.20 1242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7 Nebula 정말 오랫만의 별빛목욕... M8, 20, 31, NGC7000 10 file 2008.07.10 1952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16 Nebula 제목 : M16 Eagle Nebula 6 file 2014.06.11 83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5 Nebula 제타 오리온 6 file 2004.02.09 1725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14 Nebula 좌절의 베일 10 file 2009.09.22 1404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13 Nebula 주변부 살린 오리온 13 file 2007.12.17 2061 김형석 halpon 김형석
112 Nebula 지난여름날의 추억 2 1 file 2013.11.04 54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1 Nebula 지난여름의 추억.. 1 file 2013.10.10 47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