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6.155.66) 조회 수 1974 추천 수 186 댓글 16








천체사진을 시작하면서부터 넓은 시야에 여러 대상들이 어우러져 있는 광시야 성야사진을 꼭 찍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장비도 그러하지만 사실, 화려한 딥스카이 사진에 진력하다보니 광시야 사진은 마음뿐이 아니었나 싶어요.
지난 별만세 정기관측회때 방문한 일본 TOAST의 다케모토 사장의 사진을 보곤, 사실 좀 충격을 받았습니다. 샘도 났고요.
그래서 광시야 시스템을 고민하던 차에 마침 이건호님이 펜탁스SMC렌즈를 11K에 부착할 수 있는 어댑터를 내놓았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틀만에  물건 받아들고 어제 토요일 조금 늦게 관측소엘 올랐습니다.  

55mm(F4) 렌즈를 부착해서 겨누었더니 예상보다 훨씬 좋은 것 같습니다. 중형판 67카메라에 사용하던 렌즈라 주변부 별상을 잡기 위해 조리개를 많이 조일 필요도 없고, 화각도 이만하면 충분한 듯 합니다.  
새벽 두세시쯤에 달이 올라오는 날이기에 서둘러 몇 가지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1. [11k+smc55mm(F4->5.6), Ha:G:B=(20m*4):(10m*3):(10m*3) 1bin, -40]  
첫, 사진입니다. ccd 시스템으로는 아직 한번도 버나드루프를 담아보지 못했는데, 소원성취했네요.  지금보니 노출을 좀 더 줄 수 있는 듯도 합니다만, 요즘 오리온 촬영가능 시간이 서너시간을 못 넘기는 것 같아요. 관측소엔 남서쪽 광해도 있고해서....  
마지막 B필터 찍을때 남서쪽 광해가 많이 들어갔나 봅니다. 푸르스름한 채로 그대로 두어보았습니다. (20분 Dark가 2008년에 찍은 것 밖에 없네요. 바탕이 그야말로..)  

2.  [11k+smc55mm(F4->5.6), Ha=(20m*2), 1bin, -40]
이 사진 촬영을 마치자 마음이 다급해 집니다. 금방이라도 달이 올라올 것 같이 동쪽하늘이 밝아옵니다. 서쪽 산능선 위로 아직 채 지지 않은 마차부 주변을 향했습니다. 달도 달이지만 고도가 너무 낮아 Ha 달랑 두장만 얻었습니다. 그것도 두번째장은 능선에 조금 걸렸네요.
한 화각 안에 여러 대상들을 담아보니 대상간 밝기 차이가 확연합니다. 정~~~말로 어두운 Sh2-240 초신성잔해도 잡혔네요. 신기합니다.
낮은 고도인데다 남서쪽(좌하변) 광해 영향을 받았는지 바탕이 불균일한데, 다음번을 기대해야겠습니다. 색갈옷도 입혀줘야겠습니다.  

3. [11k+smc55mm(F4->5.6), L=(20sec*1), 3*3bin, -40]
새벽 세 시가 넘어갑니다. 달이 올라와 밤하늘을 밝힙니다. 서울서 원격으로 촬영하는 신범영샘의 망원경은 달빛 아래서도 어딘가를 계속 향합니다.  망원경 너머엔 벌써 여름철 별자리들이 올라오네요.

4. [11k+smc55mm(F4->5.6), Ha=(60sec*1), 3*3bin, -40]
5시를 넘어가자 베가는 이미 동녁하늘 중천에 떴고 데네브도 서서히 모습을 보이네요. 데네브라면? 북아메리카 성운도 보일 테이지요. 숲위로 올라오는 북아메리카 성운을 스냅사진 찍듯 60초, Ha로 담았습니다. 지상풍경을 좀 살려 보고자 낱장으로 처리해 봅니다. 지상 풍경까지 담고도, 여러 천체를 넉넉하게 담을 수 있는 이 렌즈, 이 화각이 참 마음에 듭니다.  
관측소에 오를 때 계획했던  여러 가지 테스트가 다 성공적인 듯 합니다. 모처럼 기분좋게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이 55mm를 이용한 광시야 사진도 오랫 동안 찍을 것 같습니다.  


  • 신병석 2010.02.08 21:45 (*.89.189.245)
    띠용..~~
    딱.. 정말 제가 원하던 바로 그 광시야 사진입니다...
    펜탁스렌즈 55mm로 보니 정말 광활하군요..
  • 신범영 2010.02.08 21:47 (*.116.202.97)
    와!, 대단하네요, 광시야 사진의 뽐뿌를 확실하게 받게 만드네요.
    몇년전 11K에다 canon 어댑터를 자작해서 몇번 찍으면서 가능성만 확인하고 딮스카이 찍느라 잊고 지냈는데
    다시 달아 봐야 겠네요.^^

    이날 시상이 참 좋아서 12.5인치 반사망경의 FWHM이 1.5에서 2사이를 왔다갔다 했던것 같습니다.
    달은 올라오지만 모처럼 만난 좋은 시상이 아까워 ha로 M51을 겨누웠었습니다.
  • 박현권 2010.02.08 21:55 (*.215.151.128)
    저도 사신 성도용으로 smc 45mm를 사두기만 하고 아직 사진은 못찍어봤는데,
    대략 이런 멋진 분위기가 나는군요.
    저도 앞으로 자주 찍어봐야 겠습니다.
  • 조용현 2010.02.08 22:46 (*.129.6.4)
    엄청난 이미지를 올리셨네요... 감상할 것이 너무풍부합니다
  • 강문기 2010.02.08 23:15 (*.134.16.253)
    정말 넓은지역이네요...
  • 전승표 2010.02.09 08:57 (*.103.83.39)
    천천히 감상하겠습니다.
    넓게 보는 우주도 정말 장관이네요.
    저도 니콘렌즈를 활용해봐야 할텐데. . .
  • 박영식 2010.02.09 08:59 (*.219.33.111)
    중형 렌즈와 풀프레임 CCD의 만남도 엄청나네요...
    눈이 호강합니다. ^^
  • 김광욱 2010.02.09 09:51 (*.138.113.56)
    마지막 사진 정말 인상 깊습니다. 컬러까지 입히면 정말 색달라지겠는데요.
  • 선숙래 2010.02.09 10:14 (*.222.198.212)
    40인치 이상되는 대형 모니터에서 보면 어떨까 상상해봅니다.
  • 권기식 2010.02.09 10:29 (*.99.82.158)
    밤하늘을 누가 깜깜하다 했습니까....
    지상 풍경과 함께 보니 정말 신비롭습니다...
  • 전영준 2010.02.09 11:10 (*.138.203.2)
    광시야의 폭풍을 예고하는 멋진 사진이네요.
    부럽고 멋집니다...
  • 신춘섭 2010.02.09 11:30 (*.168.82.125)
    환상적인 넓은 하늘의 모습 멋집니다..
    광시야의 교과서 같은 작품이네요...^^
  • 김삼진 2010.02.09 14:23 (*.183.206.231)
    정말이지 폭풍이 예상됩니다.멋집니다.^^
  • 조영현 2010.02.10 00:18 (*.233.72.215)
    멋집니다. 짝짝짝
    저도 따라해봐야겠습니다. ^^
  • 황인준 2010.02.10 08:04 (*.68.112.212)
    정말 멋진사진입니다.
    저도 찍어보고 싶어집니다.
  • 이건호 2010.02.11 13:52 (*.101.107.100)
    아, 너무나 멋진 샷들입니다.
    SBIG 11000 카메라가 그리워 집니다. ^^
    비록 어렵게 만들었지만, 어댑터가 이제야 주인을 제대로 만난거 같아서 좋습니다.

  1. 안타레스 주변부

    ||1정말 간만에 올려보는 사진입니다. 거의 찍히지 않은 색감을.. 뽀샵에서 너무 많이 조정해서 좀 이상합니다만.. ㅠㅠ
    Date2008.07.1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2016
    Read More
  2. 궁수자리 봉숭아꽃잎 - 삼렬성운(M20)

    궁수자리 서쪽에 위치한 삼렬성운, M20입니다. 마치 봉숭아 꽃잎을 연상케 하는 이 성운은 아무래도 RGB필터로 찍어야 제 맛인가 봅니다. narrowband 필터에서는 삼렬을 둘러싸고 있는 푸른색 반사성운 부분이 안 나타나네요. 더군다나 O3 필터 촬영시 가이드...
    Date2009.06.2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011
    Read More
  3. 김빠진 오리온 중중성운.

    어제 분당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얼마전에 집에서 찍은 오리온 소성운 대체용으로 찍어보았는데, 노출이 많이 부족합니다. 분당에선 이 3분 이상은 노출을 줄수가 없었습니다. 바로앞에 황인준님 오리온과 비교되네여 Borg 5' 800mm, EOS10D 노출:8초 + 30초 ...
    Date2004.02.14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010
    Read More
  4. Veil Nebula

    6월4일 ,6월7일 양일에 걸쳐서 별마실 R.O로 베일성운을 찍었습니다. Ha와 RGB필터 초점을 다시 조정해야 되는 문제와 맥심5에서 Subframe No에 첵크하고 찍는 실수로 여러날 실패하고 완성한 베일입니다.맥심5가 손에 익질 않아서..... 대~한 민국 ^^^ ^^! 2...
    Date2010.06.1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2008
    Read More
  5. M20 - Trifid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CFW-8A(-20) -Hα : 600초X3장(1X1) -RGB : 각 300초X4장씩(1X1) -2007. 06. 17 성운내의 별들이 상당히 밝네요... 블루밍이 그냥 죽죽....
    Date2007.07.0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007
    Read More
  6. M78(NGC2068)

    오리온자리 삼태성 동북쪽에 위치한 반사성운으로 사진의 오른쪽 밝은 부분이 지름 8분크기의 M78이고 왼쪽의 밝은 부분이 지름 7분 크기의 NGC2071입니다. 한 겨울의 오리온 별자리 생각하면서 더위를 쫒으셨으면 합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
    Date2008.07.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005
    Read More
  7. sh2-157 & ngc7510

    장마철이지만, 모처럼 좋은 날씨를 보여주었던 지난 9일 촬영했습니다. 벌써 이 대상을 3일째 겨누었지만 워낙 어두워 네로우로 찍기엔 역부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간간이 지나가는 구름들에 의해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버리게 된 프레임도 무지 많...
    Date2008.07.1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005
    Read More
  8. NGC 1999 - 열쇠구멍성운

    촬영 일자 : 2007. 11. 18 밤 촬영 장소 : 대전시 대청호수옆 망원경 : Meade LX200R 12inch F 7.6 ( FL : 2340mm ) 적도의 : AP EQ 1200 GTO. 카메라 : STL - 6303 (-35도) 노출 : L 900sec( 1x1 )x 4, RGB 600 sec(1x1)x 3 Maxim합성후 뽀샵..많이 많이.. ...
    Date2007.11.2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2003
    Read More
  9. NGC2237_장미성운_내로우밴드 테스트샷

    지난 봄 도입한 내로우밴드 촬영시스템의 테스트샷으로 촬영한 장미성운입니다. 3월초에 찍다보니 광해가 많은 서쪽에 대상이 있고 S2 영역에는 거의 성운의 정보가 없는지라 컬러합성시 비율조정하기가 어렵네요. S2의 비율을 높였더니 별들의 색상이 부자연...
    Date2009.05.0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97
    Read More
  10. M42 오리온

    AP130EDF, EM200, STL11000M LRGB (90m, 20m, 20m, 20m) 2005년 10월 11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고쳐진 장비로 스타파티에서 잘 썻는데, 다음날 RO 중 고장이 또 발견되어 이날 밤 다시 천문인마을을 찾았습니다. 결국은 콘트롤러의 스위치 접점에 난 녹...
    Date2005.10.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96
    Read More
  11. 장미성운

    AP130EDF x 0.75, EQ1200GTO, ST-10XME L: 5m x 10 (Red filter 사용) RGB: 5m x 6 2004년 1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찍고 처리한지 좀 지난 사진입니다. RRGB 합성하였습니다. 날씨만 왠만하다면 5인치 굴절에서 필터 없이도 장미성운의 얼룩정도는 보이더...
    Date2004.03.0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95
    Read More
  12. IC 5067

    참으로 오랜만에 이미지 올리네요. 이것저것 실험만 하다 두어달 지나간 것 같습니다. 요즘 새벽엔 제가 좋아하는 여름철 대상들이 올라옵니다. 그래서 며칠 동안, 저녁에 자두었다가 새벽에 일어나 촬영하는 일이 계속됩니다. 노출 시간이 짧네요. 세벽 두세...
    Date2008.04.15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94
    Read More
  13. ngc2237

    Date: 2010.02.20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600초x8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출발하기 전 기상청 예보는 좋지않았지만 강원도 날씨는 기상청예...
    Date2010.02.2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93
    Read More
  14. 구름속 베일(리듀서_테스트샷)

    날이 좋을 듯 해서 양평으로 향했습니다. TMB130과 AP리듀서와의 궁합을 살펴보기 위함이었죠. 너무 습한 날이어서 CCD앞면 유리에 김이 서리게 되서 몇 번이고 드라이기로 말리고.... 여러가지 자잘한 힘든 상황이 있었지만 그래도 주변부까지 리듀서가 플랫...
    Date2008.07.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87
    Read More
  15. m42(QHY8)-over processing test

    Date: 2008. 01. 02(양평청소년 수련원) Camera: QHY8/ LPS-P2 filter Exposure: 600s*4장 Optics: 4" PENTAX SDUF II(F/4->5 masking: FL=400mm) Mount: Takahashi Temma2 Guider: Meade DSI(PHD guiding) Image processing: maxim DL/CS3/Stella Image dark...
    Date2008.01.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86
    Read More
  16. Pelican Nebula in Ha /FCT-76 Test Shot

    [촬영정보] 촬영시간 : 2009년 5월 4일 새벽 촬영장소 : 양평 벗고개 망원경 : Takahashi FCT-76 Triple Apochromat /w F4.5 Reducer (345mm) 적도의 : Takahashi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20C) 가이드 : Self-Guide Ha : 1200s x 3 frames (1x...
    Date2009.05.05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985
    Read More
  17. Packman Nebula (ngc281)

    여름철이지만 요즘 날씨가 너무 좋아, 나다 갤러리에 좋은 작품들이 엄청 올라오네요. 어제 촬영한 팩맨 성운입니다. 노출시간을 줄이고 장수를 늘려보려 했는데, 가이드가 쉽지 않은 O3는 세장이나 잃어버렸습니다. 아래 사진은 100% 풀프레임입니다. 해마다...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85
    Read More
  18. IC434 - 말머리 성운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Hα : 1200초X5장(1X1) -L : 300초X4장(1X1) -RGB : 각 400초X4장씩(1X1) -2007. 10. 17 투명도는 아주 좋았으나 시상이 나빠 초점만 2시간을...
    Date2007.10.22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984
    Read More
  19. NGC7000 North America Nubula (북아메리카성운)의 멕시코만-재처리

    합성을 다시 해 보았습니다. 초점길이가 틀려져서 매칭이 힘드네요.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10 . Ha 프레임이 노멀프레임과 사뭇달라 헤매는 관계로... 아직 제대로 된 처리를 못했습니다. Ha필터 퍼스트라잇입니다. ....
    Date2003.10.2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83
    Read More
  20. Pelican Nebula, IC 5067

    실로 오랜만에 반사경을 올렸습니다. 거의 1년 반이 넘은 것 같습니다. 새벽 세시쯤에 올라오는 녀석을 잡느라, 매일 게슴츠레한 눈으로 대상을 겨누다보니 이미지도 게슴츠레해졌습니다. 며칠동안 준 노출시간에 비해 이미지는 영 아니올시다네요. 오랜만에 ...
    Date2011.04.14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82
    Read More
  21. M42 - Ha RGB

    AP130EDF x0.75, ST10XME, EQ1200GTO l: ha 5min x5 (CS 4.5nm) rg: 300sec x 3 b: 500sec x 3 2003 10월 25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GB 배합이 썩 맘에 안드는군요. 엄청난 블루밍 처리에 시간을 소비하여, 다시 하기가 겁납니다. ^^
    Date2003.11.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80
    Read More
  22. M8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Astro400d 가이드 : QHY5 + PHD 촬영정보 : 600s 8매 / Flat처리 처리정보: PhotoShop CS3 합성 촬영장소 : 한우산 무풍지대 촬영일자 : 2010.06.7 새벽 CCD의 오작동으로 현장에서 부랴...
    Date2010.06.10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978
    Read More
  23. 수피령 불꽃과 말머리 [ ngc2024 & b33 ]

      촬영:수피령20140101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광학계: Orion UK VX8 카메라:QSI583WS 가이드:Borg50ed + DSI 노출:HA+L+R+G+B [100 100 20 20 20] 처리:Photo shop cs3   Maxlm DL 안녕하세요 새해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Date2014.01.08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977
    Read More
  24. 오리온 주변부, 펜탁스중형렌즈와 11k의 조합 테스트

    천체사진을 시작하면서부터 넓은 시야에 여러 대상들이 어우러져 있는 광시야 성야사진을 꼭 찍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장비도 그러하지만 사실, 화려한 딥스카이 사진에 진력하다보니 광시야 사진은 마음뿐이 아니었나 싶어요. 지난 별만세 정기관측회때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74
    Read More
  25. m42

    - 촬영일시 : 2008년 10월27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SH200 - 카 메 라 : QHY8 (One Shot Color CCD) - 보정렌즈: MPCC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5 - 노출정보 : 600초 X14장 - 소프트웨어 : Im...
    Date2008.10.31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974
    Read More
  26. m42

    - 촬영일시 : 2008년 10월03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PENTAX 100 SDUF II - 카 메 라 : QHY8 (One Shot Color CCD)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DSI - 노출정보 : 800초 X8장 - 소프트웨어 : ImagesPl...
    Date2008.10.05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967
    Read More
  27. 080420_m27

    2008년 4월 19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으로 테스트 관측 삼아 출동. 초반에 구름과 안개 박무가 있어서 천정 부근 밖에는 별이 보이지 않음. 또한 달도 밝게 빛나고 있었슴.(13.3일달) 주차장의 가로등도 무지하게 밝았슴.^^ 광축 수정과 이런저런 테스트 한...
    Date2008.04.2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966
    Read More
  28. ST-4000XCM으로 찍은 오리온 대성운

    요즘 다른 분 소유의 장비를 다루는 일이 많네요. 부산 천문 동호회원 한 분께서 ST-4000XCM을 구입하셔서 테스트 차원에서 찍어보았습니다. 장비는 모두 그분 것이고 기본 촬영 세팅은 제가 해드려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기록 차원에서 하나 올려둡니다. 맥...
    Date2008.02.05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966
    Read More
  29. 백조자리 발광성운 NGC6888

    오래간만에 사진하나 올려봅니다.. 요즘 날씨는 덥지만 밤하늘은 가끔 죽음입니다.. 요즘엔 색다른 망원경과 씨름하느라 사진을 찍는 것 조차 어색했습니다. 보고서 땜에 성단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UBVRI 관측을 해야하는데 아직 이 장비가 최적화되지 않아...
    Date2010.06.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962
    Read More
  30. m42

    Date: 2008. 09. 06~07(양평군 양동면)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500s 1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파란 하늘이 보이면 충전된 배터리를 차에 싣게 되네요. ...
    Date2008.09.0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60
    Read More
  31. 110704_m27

    110704_m27 월요일 밤 날씨가 요즘 장마철의 하늘에서는 보기 힘든 그런 하늘이었습니다. 호빔장의 호출도 있고 해서 달려 갔지요. 시상도 생각 보다는 좋았습니다. 초반부터 FWHM이 2.5대로 떨어지는 것이 그것을 증명 했는데요.... 아!!! 이날도 저는 삽질...
    Date2011.07.06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958
    Read More
  32. 말머리성운(IC434)

    월요일 열심히 노력해서 몇년만에 맘에드는 말한마리 잡은것 같습니다.^^ Ha로 찍으니 성운이 많이 살아나는것 같습니다.(고무줄스파이더사용) 2008-11-03일 별마실관측소 EM400 + TEC140 + STL 11K -35도 L이미지(L:1200s*2장 + Ha:1200s*5장) RGB이미지(Ha:...
    Date2008.11.07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9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