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9.04.29 19:54

M16 , M17 그리고 은하수...

(*.7.236.118) 조회 수 1789 추천 수 199 댓글 7




간간이 구름이 지나가는 날이었습니다.
사실, 예보로는 소나기가 내리겠다는 날이었는데, 별만세 관측소 지붕위에 설치된 전천카메라로 확인하는 밤하늘은 대체로 평균 이상이었습니다.
(못믿을 기상청.... 그래도 고생하는거 다 알지만요,)
테스트 겸해서 작은 구름지나가는 것 정도는 무시하고 그냥 찍어보았습니다.
6nm Ha에 비해 5nm S2와 O3는 노출 시간을 좀 더 주어야 하는데, 그놈의 귀차니즘때문에..... 해서 색감 잡기가 여의치 않네요.
하지만 화각은 정말 마음에 듭니다.
몇십장 정도면 여름은하수정도는 모자잌 병풍도 만들겠습니다. ㅋㅋㅋ

오늘도 날이 좋습니다.


[촬영정보]
- FD300 (전면 마스킹, F4)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with 125SDP
- 2009. 4. 27(월)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R:G:B=S2(15min*3, 1*1):Ha(15min*5,1*1):O3(15min*3, 1*1), -25도    

  • 전승표 2009.04.29 20:13 (*.103.83.39)
    12폭 병풍 택배로 가능합니까? ㅋㅋㅋ
    휴 ~ 살다보니 국내에서도 이런 사진을 보게 되는군요.
    말이 뭔 필요가 있나요? 그저 정신줄 놓고 보다 갑니다.
  • 전영준 2009.04.30 08:27 (*.138.203.2)
    헉~~ 떡벌어집니다.
    이런 광시야로도 성운의 디테일까지 잡아내시니....
  • 김호섭 2009.04.30 16:12 (*.53.169.82)
    FD300과 11K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광시야의 세상을 보여주고 계십니다.
  • 최승용 2009.04.30 17:43 (*.117.76.123)
    정말 멋지네요.
    잘 볼 수 없는 이미지를 보게 되어 기쁩니다.^^
  • 신병석 2009.04.30 18:49 (*.208.80.111)
    광시야의 Narrow band..이미지..
    정말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군요.. 색감도 멋지구요,.,.
    보통 렌즈를 이용해서 Sulfur, HA, Oiii를 찍으면 주변부에서는 별이 찍이는 위치가 틀려지던데..
    정확히 모든 별상이 맞는 거리를 찾으신건지.. 좀 궁금하네요..
  • 고창균 2009.05.01 14:16 (*.246.155.66)
    에고고... 제 경우 그런 경험을 해 보지 못해서 뭐라 드릴 말씀이 없네요.
    일단 제가 써본 경험에 의하면
    Astrodon 필터는 파포칼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써본 렌즈라야 SDP125, FD300, KASTRON 320 정도이다 보니 필터별로 별상불일치의 경험을 해보지 않았습니다. 물론 무한대 최적거리를 정밀하게 맞추는 작업은 했고요.
    오히려 그런 사진들을 보고싶습니다. 구체적으로 별상들이 어떻게 나오는지 보고싶습니다.
    다만 이런 경우는 있더라구요.
    필터의 앞뒤를 잘못 장착했을때, 혹은 오랜시간 노출을 주다보니 한밤 중에도 기온차에 의한 초점변화는 있었습니다.
    해서 노출 중간에 한번 정도는 초점조정을 다시 하지요.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초점이 흐트러지지 외곽의 일부분만 왜곡되지는 않던데.....
    궁금증을 못 풀어드려서 죄송합니다.
  • 권기식 2009.05.02 04:34 (*.99.82.160)
    광시야 네로우 밴드군요!
    황홀하기 그지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198 Nebula 메두사 성운 1 file 2009.01.16 1645 김상욱 quark 김상욱
1197 Nebula Rosette Nebula (ngc2237) 9 file 2009.01.18 192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196 Nebula 장미성운 5 file 2009.01.24 1638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195 Nebula 캘리포니아성운 6 file 2009.01.25 1460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194 Nebula Crab Nebula (M1) 7 file 2009.01.28 1518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193 Nebula 해파리성운(IC443) 7 file 2009.01.29 1610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192 Nebula 달랑 1장짜리 에스키모 성운 9 file 2009.01.31 1524 김상욱 quark 김상욱
1191 Nebula 해파리... 6 file 2009.02.01 1450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90 Nebula 오리온좌의 숨은 보석..NGC 2182,2185,2170 11 file 2009.02.01 175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89 Nebula 팝콘성운..IC2162.. 9 file 2009.02.01 159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88 Nebula 꽃속의 산개성단 NGC2244~~ 9 file 2009.02.02 1606 조용현 zztop 조용현
1187 Nebula 오리온 중심 15 file 2009.02.03 1819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186 Nebula IC443 (해파리성운) 13 file 2009.02.09 1706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185 Nebula IC1805(Heart, Valentine Nebula) 9 file 2009.02.14 1789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184 Nebula IC447_2169 around 8 file 2009.02.18 1562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183 Nebula NGC1499 6 file 2009.02.19 173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82 Nebula IC2177(갈매기 성운) 6 file 2009.02.21 1846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181 Nebula M97과 M108 7 file 2009.03.03 1541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180 Nebula 말머리 주변... 9 file 2009.03.16 1452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179 Nebula 갈매기 성운 5 file 2009.03.16 1565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78 Nebula 간만에 파란 주말이 되나 싶더니... 5 file 2009.03.20 1589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77 Nebula 090320_ngc1931 6 file 2009.04.01 159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176 Nebula NGC7000 / IC5067 8 file 2009.04.15 157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75 Nebula M57, 고리성운 4 file 2009.04.19 1479 김상욱 quark 김상욱
1174 Nebula SADR 주변 (FD300 별상테스트) 7 file 2009.04.19 1654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173 Nebula 고리성운 넓게보세요. 6 file 2009.04.22 1478 남명도 n8210 남명도
1172 Nebula ngc 6914 7 file 2009.04.23 1428 이상희 mysky71 이상희
1171 Nebula ngc6888 12 file 2009.04.24 146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170 Nebula 동쪽숲 위로 은하수가 올라옵니다. 10 file 2009.04.27 151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169 Nebula m8 4 file 2009.04.29 150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168 Nebula 090428_ngc7000_ic5067 4 file 2009.04.29 1668 김호섭 obiwan 김호섭
» Nebula M16 , M17 그리고 은하수... 7 file 2009.04.29 178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