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51.83.184) 조회 수 1785 추천 수 145 댓글 17


이번주 가족들과 함께가서 찍은 사진입니다.
원래 태아성운으로 불리우지만, 제 눈엔 강아지로 보입니다.

하트와 한화각으로 모자이크하려고 찍다가 그만 잠들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B 채널에 유성이 하나 지나갔습니다.
인공위성이었으면 가차없이 median이나 sigma로 지워버리는데, 유성이라 봐줬습니다.
파란색으로 보여야 하는데, 일부러 Ha, R, G에도 복사해서 넣었습니다.

em200+e180+11000
LHaRGB=2:60:9:9:9

  • 남명도 2008.12.04 01:42 (*.64.234.186)
    별상이 똘망똘망 이쁨돠. 태아도 선명하게 잘 나오고.. 요즘 올라오는 사진중에 가장 튑니다(?)^^
  • 김삼진 2008.12.04 08:02 (*.131.71.43)
    우~와 어마어마합니다.색감좋고 디테일좋고 하늘이한테 선물 할려고 토실토실한 강아지 얻으셨습니다.^^
  • 김영재 2008.12.04 08:45 (*.251.254.80)
    성운이름이 정말 어울리는 모습입니다..최소 "동"확보 입니다..ㅎㅎ
  • 전영준 2008.12.04 09:21 (*.138.203.2)
    성운색을 강조하면서도 별의 이미지에는 손상을 주지 않는 멋진 기법이 궁금합니다..
    뭘 많이 먹었는지 입에서 분출물까징...^^
  • 박현권 2008.12.04 10:15 (*.253.243.146)
    흑백 CCD로 Ha RBG로 찍는경우 L은 Ha 이미지의 커브 조정만으로 보기 좋은 L이 얻어 집니다.
    여기에 HaRGB로 색을 입히면 Ha 이미지가 L에 비해 이미 DDP가 적용된 것과 같은 상태라, 빨간색이 아니라, 연어색이 됩니다.
    그래서 원하는 색이 나올때까지 saturation을 올려야 하는데,
    L에 비해 RGB SNR이 형편없어서(제경우는 더더욱) 금방 이미지가 무너지고,
    Ha의 작은 별상이 Saturation 올리면서 더 작아지거나 사라져, 별들이 웃겨집니다.

    그래서 적은 노출이라도 L을 찍어서 (이번에는 2분짜리 2장 찍었는데 한장은 버림),
    Ha의 별상이 너무 작아지거나 없어지거나 하면 적당히 커브를 올린 L을 Ha 위에 lightening으로 계속 복원해줬습니다.

    두서없이 횡설수설 썼는데요..

    결론은 Ha로 성운기를 살리기는 좋으나, 별상이 다른채널과 너무 차이나 이미지처리가 쉽지않은점을
    L을 따로 찍어 성운기는 보지않고, 별상만 두드러질 정도로 커브준 놈이랑 밝은쪽 합성 해서 사용한다 입니다.

  • 박영식 2008.12.04 10:52 (*.219.33.111)
    응침을 가하는 유성... ^^
  • 박현권 2008.12.04 11:17 (*.253.243.146)
    그러기엔 각도가 아쉽습니다. 90도 틀어졌더라면....
  • 전승표 2008.12.04 13:08 (*.103.83.29)
    올라오는 이미지마다 대박입니다.
    노력하신 만큼 별상도 참 이쁩니다.
    아 ~ 라지포맷... 땡기네요 ㅠ.ㅠ
  • 고창균 2008.12.04 13:29 (*.246.155.66)
    뭐 하나 부족함이 없는 이미집니다. 별상이나 별색이 가히 예술입니다.
    요즘 반평균 많이 올려주셔서 같은 구성원으로서 기분이 좋습니다. 짱입니다요~!
  • 최훈옥 2008.12.04 14:23 (*.140.81.57)
    성운 윗부분엔 콘성운이
    중간 좌측엔 말머리가
    하단 좌측엔 버블성운이 있네요.......ㅋㅋ
  • 김일순 2008.12.04 14:45 (*.110.19.24)
    퍼펙트.... 합니다.
    F2.8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네요...
  • 강문기 2008.12.04 21:35 (*.134.16.253)
    아주 멋진 태아입니다....
  • 유종선 2008.12.04 21:45 (*.252.52.32)
    이렇게 찌~~인한 태아성운은 첨보는 것 같습니다. 디테일과 콘트라스트가 아주 박력있고 인상적입니다.
    계속 잠수만 타고 있었는데... 이거야... 리플을 안달수가 없군요.
  • 이상희 2008.12.04 22:51 (*.96.18.28)
    엄청난 디테일에 깜짝놀라게 하십니다 .
    전에 보지못한 강아지성운을 보여주셔서 고마울따름입니다.
  • 조용현 2008.12.05 10:38 (*.241.95.130)
    작은 복돼지가 엎드린 듯합니다. 유성이 주사바늘 같네요.. 예방 접종 중....
  • 지승용 2008.12.05 19:08 (*.231.14.58)
    참 대단합니다. 뭐라 형언하기 힘드네요.
  • 신범영 2008.12.07 01:20 (*.109.29.204)
    태아가 벌떡 일어났네요.^^
    성운의 디테일, 색상, 별상 모두 멋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302 Nebula Helix nebula (NGC 7293) 7 file 2016.07.15 198 정병준 xuranus 정병준
301 Nebula Helix Nebula 13 file 2008.10.30 1742 강문기 mkang 강문기
300 Nebula Helix nabula (재보정) 10 file 2015.09.14 157 김태환 omnibus 김태환
299 Nebula Heart Nebula (IC1805) 13 file 2008.02.11 191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298 Nebula Heart Nebula ( IC 1805) file 2012.12.04 96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97 Nebula Heart and Soul Nebula 2 file 2004.10.29 118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296 Nebula Heart and Soul Nebula 2 file 2019.08.22 167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95 Nebula Heart and Soul 2 file 2011.10.24 109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94 Nebula Heart and Soul file 2017.10.19 113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93 Nebula ha 필터 테스트...ic443 외 file 2007.01.13 1561 도영재 samdo3 도영재
292 Nebula Ha 장미 2 file 2008.11.03 1290 박현권 alexken 박현권
291 Nebula Ha image of The Orion 4 file 2015.03.11 419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90 Nebula Ha image of The Orion 2 file 2015.03.13 323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89 Nebula Gum Nebula 14 file 2007.01.14 1137 유종선 swent 유종선
288 Nebula Great Orion Nebula 5 file 2006.12.24 1215 박대영 youngst 박대영
287 Nebula Great Orion Nebula 8 file 2016.12.04 128 김승남 byulter 김승남
286 Nebula Good bye North America 2 file 2005.10.08 88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285 Nebula Gamma sygni Region 3 file 2010.10.27 155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84 Nebula Gamma Cygni와 주변부 (컬러) 13 file 2007.10.19 1535 강문기 mkang 강문기
283 Nebula Gamma Cygni와 주변부 11 file 2007.06.11 1204 강문기 mkang 강문기
282 Nebula Gamma Cygni 주변부 흑백 (Ha 대역) 15 file 2007.10.06 1299 강문기 mkang 강문기
281 Nebula Gamma Cygni 와 IC1318 1 file 2011.09.14 1085 장승혁 offaxis 장승혁
280 Nebula Gamma Cygni Area - 20D 7 file 2005.04.08 160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79 Nebula Gamma Cygni 8 file 2005.12.21 1022 지승용 syji2000 지승용
278 Nebula Fox Fur Nebula 17 file 2009.01.07 188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77 Nebula FOX FUR & CONE Nebula 4 file 2014.12.09 43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76 Nebula Fox Fur And Cone Nebula [NGC2264] file 2012.11.24 1219 이광호 lfo2910 이광호
275 Nebula Fetus- Heart ~ 외.. 10 file 2007.10.10 139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74 Nebula Fetus Nebula - IC 1848 file 2012.11.28 87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73 Nebula Eye in the sky~~~NGC7293(Helix nebula)_이미지 수정 12 file 2008.11.05 1669 조용현 zztop 조용현
272 Nebula Etacarina nebula 2 file 2019.04.28 14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71 Nebula Eta Carrina Nebula file 2018.02.02 17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