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51.83.184) 조회 수 1785 추천 수 145 댓글 17


이번주 가족들과 함께가서 찍은 사진입니다.
원래 태아성운으로 불리우지만, 제 눈엔 강아지로 보입니다.

하트와 한화각으로 모자이크하려고 찍다가 그만 잠들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B 채널에 유성이 하나 지나갔습니다.
인공위성이었으면 가차없이 median이나 sigma로 지워버리는데, 유성이라 봐줬습니다.
파란색으로 보여야 하는데, 일부러 Ha, R, G에도 복사해서 넣었습니다.

em200+e180+11000
LHaRGB=2:60:9:9:9

  • 남명도 2008.12.04 01:42 (*.64.234.186)
    별상이 똘망똘망 이쁨돠. 태아도 선명하게 잘 나오고.. 요즘 올라오는 사진중에 가장 튑니다(?)^^
  • 김삼진 2008.12.04 08:02 (*.131.71.43)
    우~와 어마어마합니다.색감좋고 디테일좋고 하늘이한테 선물 할려고 토실토실한 강아지 얻으셨습니다.^^
  • 김영재 2008.12.04 08:45 (*.251.254.80)
    성운이름이 정말 어울리는 모습입니다..최소 "동"확보 입니다..ㅎㅎ
  • 전영준 2008.12.04 09:21 (*.138.203.2)
    성운색을 강조하면서도 별의 이미지에는 손상을 주지 않는 멋진 기법이 궁금합니다..
    뭘 많이 먹었는지 입에서 분출물까징...^^
  • 박현권 2008.12.04 10:15 (*.253.243.146)
    흑백 CCD로 Ha RBG로 찍는경우 L은 Ha 이미지의 커브 조정만으로 보기 좋은 L이 얻어 집니다.
    여기에 HaRGB로 색을 입히면 Ha 이미지가 L에 비해 이미 DDP가 적용된 것과 같은 상태라, 빨간색이 아니라, 연어색이 됩니다.
    그래서 원하는 색이 나올때까지 saturation을 올려야 하는데,
    L에 비해 RGB SNR이 형편없어서(제경우는 더더욱) 금방 이미지가 무너지고,
    Ha의 작은 별상이 Saturation 올리면서 더 작아지거나 사라져, 별들이 웃겨집니다.

    그래서 적은 노출이라도 L을 찍어서 (이번에는 2분짜리 2장 찍었는데 한장은 버림),
    Ha의 별상이 너무 작아지거나 없어지거나 하면 적당히 커브를 올린 L을 Ha 위에 lightening으로 계속 복원해줬습니다.

    두서없이 횡설수설 썼는데요..

    결론은 Ha로 성운기를 살리기는 좋으나, 별상이 다른채널과 너무 차이나 이미지처리가 쉽지않은점을
    L을 따로 찍어 성운기는 보지않고, 별상만 두드러질 정도로 커브준 놈이랑 밝은쪽 합성 해서 사용한다 입니다.

  • 박영식 2008.12.04 10:52 (*.219.33.111)
    응침을 가하는 유성... ^^
  • 박현권 2008.12.04 11:17 (*.253.243.146)
    그러기엔 각도가 아쉽습니다. 90도 틀어졌더라면....
  • 전승표 2008.12.04 13:08 (*.103.83.29)
    올라오는 이미지마다 대박입니다.
    노력하신 만큼 별상도 참 이쁩니다.
    아 ~ 라지포맷... 땡기네요 ㅠ.ㅠ
  • 고창균 2008.12.04 13:29 (*.246.155.66)
    뭐 하나 부족함이 없는 이미집니다. 별상이나 별색이 가히 예술입니다.
    요즘 반평균 많이 올려주셔서 같은 구성원으로서 기분이 좋습니다. 짱입니다요~!
  • 최훈옥 2008.12.04 14:23 (*.140.81.57)
    성운 윗부분엔 콘성운이
    중간 좌측엔 말머리가
    하단 좌측엔 버블성운이 있네요.......ㅋㅋ
  • 김일순 2008.12.04 14:45 (*.110.19.24)
    퍼펙트.... 합니다.
    F2.8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네요...
  • 강문기 2008.12.04 21:35 (*.134.16.253)
    아주 멋진 태아입니다....
  • 유종선 2008.12.04 21:45 (*.252.52.32)
    이렇게 찌~~인한 태아성운은 첨보는 것 같습니다. 디테일과 콘트라스트가 아주 박력있고 인상적입니다.
    계속 잠수만 타고 있었는데... 이거야... 리플을 안달수가 없군요.
  • 이상희 2008.12.04 22:51 (*.96.18.28)
    엄청난 디테일에 깜짝놀라게 하십니다 .
    전에 보지못한 강아지성운을 보여주셔서 고마울따름입니다.
  • 조용현 2008.12.05 10:38 (*.241.95.130)
    작은 복돼지가 엎드린 듯합니다. 유성이 주사바늘 같네요.. 예방 접종 중....
  • 지승용 2008.12.05 19:08 (*.231.14.58)
    참 대단합니다. 뭐라 형언하기 힘드네요.
  • 신범영 2008.12.07 01:20 (*.109.29.204)
    태아가 벌떡 일어났네요.^^
    성운의 디테일, 색상, 별상 모두 멋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264 Nebula 오리온자리-Ha 16 file 2008.12.02 131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263 Nebula Carina region 9 file 2008.12.02 136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62 Nebula 오리온의 속살은? 10 file 2008.12.03 1660 이상희 mysky71 이상희
1261 Nebula m42주변부 16 file 2008.12.03 137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260 Nebula NGC2264 미리 맞이하는 크리스마스 트리... 9 file 2008.12.03 1331 조용현 zztop 조용현
1259 Nebula Sh2-240 13 file 2008.12.03 135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258 Nebula NGC2237 9 file 2008.12.04 1470 전승표 josdak 전승표
» Nebula IC1848 태아 성운? 강아지 성운? Embryo Nebula? 17 file 2008.12.04 1785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256 Nebula IC1805 하트 7 file 2008.12.05 2103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255 Nebula M42 오리온 대성운 10 file 2008.12.05 1464 김상욱 quark 김상욱
1254 Nebula IC443_081205 10 file 2008.12.06 1295 김호섭 obiwan 김호섭
1253 Nebula 크리스마스트리와 장미 한송이 12 file 2008.12.07 1538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252 Nebula IC443 & ngc2174 11 file 2008.12.07 154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251 Nebula IC2118 12 file 2008.12.07 137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250 Nebula NGC2237(Rosette Nebula) in Monoceros 10 file 2008.12.08 1491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249 Nebula ngc2237_081202 7 file 2008.12.08 1366 김호섭 obiwan 김호섭
1248 Nebula IC2177 Seagull Nebula 11 file 2008.12.08 147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47 Nebula M42 10 file 2008.12.09 181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46 Nebula NGC2264(Christmas Tree Cluster) in Monoceros 9 file 2008.12.09 1492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245 Nebula Orion 9 file 2008.12.09 156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44 Nebula [필름] 오리온 + 말머리 15 file 2008.12.10 1695 이준희 ljunhee98 이준희
1243 Nebula 081206_M1 16 file 2008.12.10 164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242 Nebula ngc2237 Rosette Nebula 13 file 2008.12.10 177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41 Nebula ic443 해파리 13 file 2008.12.11 1611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240 Nebula IC410 10 file 2008.12.12 1329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239 Nebula NGC1333 - 페르세우스자리 거시기... 16 file 2008.12.13 1877 김일순 arame 김일순
1238 Nebula NGC2237 Rosette Nebula - Mapped Color 15 file 2008.12.14 183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37 Nebula IC434 (Horsehead Nebula) in Orion 15 file 2008.12.15 1782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236 Nebula M42 / Wisps of the Great Orion Nebula 15 file 2008.12.15 211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235 Nebula M42 & NGC1977... 6 file 2008.12.18 1549 조용현 zztop 조용현
1234 Nebula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5 file 2008.12.19 1405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1233 Nebula 내겐 너무 어려운 M1(crab nabula)... 11 file 2008.12.21 1459 조용현 zztop 조용현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