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10.28 15:33

081028_ic63

(*.117.76.123) 조회 수 1656 추천 수 121 댓글 15




(요즘 바쁜 관계로 잠시 짬을 내어 이미지 처리를 했는데 영 이상 합니다. 또한 모니터도 LCD로 바꾸고 처음으로 정상적인 처리를 해 보는 것 입니다. 이상하면 알려 주세요.....)

2008년 10월 27일 월요일 관측에서 화요일 새벽에 촬영한 ic63 입니다.
일요일 밤에도 나갔었는데 투명도는 엄청나게 좋았지만 구름과 바람 때문에 가이드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서
도중에 철수 했습니다.
구름 사이로 보이는 하늘은 올해 들어 최고였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시상도 좋았는지 별상도 작고 찍히는 별수도 많았지만 바람 과 구름 때문에 도저히 찍을 수가 없었습니다.
설레임만 가지고 철수한 이후 월요일 밤 출동은 오기였습니다.^^
바람은 없었지만 역시 투명도가 떨어지고 습기도 있었지만 안정적인 가이드가 되는 것이 일단은 안심이었습니다.

선택한 대상은 호기심에서 찍어 보고 싶었던 밝은 별의 대상을 찾다가 걸린 ic63인데 워낙 밝은 별이 옆에 있어서
스파이더 한쪽 날이 화면을 가로 질러가 버리네요.
그냥 테스트 삼아 찍어 보았습니다.

이미지 처리를 하다 보니 과하게 된 것 같습니다.
또,,,,, 다음 기회에....^^


촬영시간 : 2008년 10월 28일 새벽
촬영장소 :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 ADT 10inch F4
적도의 : 다카하시 NJP TEMMA 2
카메라 : SBIG 2000XM + STL용 파라코어
가이드 망원경 : 펜탁스 75 SDHF
가이드카메라 : QHY5
L : 10min x 14ea(1x1)(-20c)
RGB : 5min x 3ea(2x2)
Dark, Flat 처리
  • 김호섭 2008.10.28 16:07 (*.142.222.126)
    이건또 어디있는거래요?..사선이 회절상이라구요?..그 끝을 보고싶어요..
    최승용님의 열정은 저도 존경합니다. 10인치반사+njp를 이동형으로
    쓰시다니..
  • 전영준 2008.10.28 17:33 (*.138.203.2)
    낚여 올라가는 한마리 물고기입니다...^^
    처리된 색상도 참 좋습니다...
  • 임재식 2008.10.28 20:38 (*.218.70.129)
    생소한 대상 잘 보고갑니다.^^
  • 황인준 2008.10.28 21:48 (*.105.86.82)
    디테일하고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처리..
    명품사진입니다. 그리고 여러문제의 궁극적인 해결 축하드립니다.
  • 도영재 2008.10.29 08:35 (*.233.210.125)
    이제 못보던 대상까지 잡아내시는군요.^^
    즐감입니다.
  • 이상희 2008.10.29 15:42 (*.57.72.10)
    인공위성이 지나간자국인줄알았는데 ...저게 스파이드였다니...
    막눈으로보아도 색감멋지네요
  • 신범영 2008.10.29 19:05 (*.109.28.74)
    저도 인공위성 자취인줄 알았는데 스파이더상이라니...칼 초점이네요.
    일요일 저녁은 시상이 참좋아서 반사경통에서는 좀처럼 보기어려운 FWHM이 1.5정도였는데 바람이 워낙 심해서 5분이상의 가이드는 어렵더군요.
    월요일도 자정전에는 바람이 좀 심했는데 자정이 지나니 좀 잦아들더군요.
    구석구석 깨알같은 별상을 보니 이전의 문제들이 잘 해결되었나 봅니다. 저도 축하드립니다.
    생소한 대상인데 멋진 이미지로 잘 보았습니다...


  • 강문기 2008.10.29 22:04 (*.134.16.253)
    이런것도 있군요... 정말 특이하고 멋집니다.
  • 전승표 2008.10.30 00:08 (*.38.161.114)
    화면 밖에 있는 별이 얼마나 밝은지 달무리 같은 것이 보이네요.
    우주에는 참 희안한 대상들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귀한 사진 잘 보고 갑니다.
  • 고창균 2008.10.30 00:49 (*.7.236.238)
    저도 함 찍어봤는데 너무 작고, 큰 특징이 없어 아직 처리를 않하고 있었습니다. 이 사진 보니 나름대로 특징이 있네요. 어두운 대상임을 감안하면 이젠 대부도가 고정 관측지가 되실 듯 합니다. 강원도를 그리워하지 않으셔도 될 듯도 하구요...
  • 김일순 2008.10.30 09:34 (*.110.19.24)
    조명발을 한껏 받아 더욱더 멋진 자태를 드러내었네요.. 멋집니다.
  • 권기식 2008.10.30 12:32 (*.201.169.52)
    대부도, 밝은 별 바로 옆...
    악조건(?)인데도 멋지네요~
    요즘 이런 대상에 조금 흥미가 생겼습니다... ㅎㅎㅎ
  • 김삼진 2008.11.01 08:52 (*.131.71.43)
    정말 스파이더 끝이 어디일까요?.희안하고 멋집니다.
  • 이상헌 2008.11.01 11:22 (*.126.129.88)
    별빛 사워로 유명한 바로 그 대상이네요. 좋은 작품 건지셨습니다.
  • 서길원 2008.11.02 11:10 (*.197.149.55)
    우와~ 역시 작품을 만들어 내시는군요... 멋집니다~~

  1. 오리온대성운과 런닝맨

    10월 4일 새벽에 촬영했습니다. 천문대의 서쪽으로 전신주와 산이 가려 몇 장 촬영을 못 했습니다. 오랜만에 제대로 나온 듯합니다. 매수가 적은 것은 다음에 촬영해서 보완해볼까합니다. 밑에 같이 올린 것은 지나가던 비행기의 날개부분이 찍혔습니다.^^;; ...
    Date2010.12.07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46
    Read More
  2. IC4592

    전갈자리 북쪽에 있는 파란 말머리성운입니다. 이날은 워낙 투명도가 좋아 거의 지평선부근까지 은하수가 보이더군요. 촬영 일시 : 2011. 4. 12, 1시 42분 ~ 4시 28분 촬영 장소 :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기온: -3~-6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
    Date2011.04.13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46
    Read More
  3. Sh2-101, NGC6871

    백조자리 에타성 근처입니다. 오른쪽에 있는 작은 성운이 Sh2-101 (튤립성운)이고, 왼쪽 윗부분에 있는 산개성단이 NGC6871입니다. 처음에는 하늘에 엷은 구름이 끼어 있었는데 나중에는 아주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촬영하는 동안에 110mm 굴절에 성...
    Date2010.09.0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47
    Read More
  4. 101203_ngc7635

    2010년 12월 3일 촬영한 버블 입니다. 요즘에는 찍을 수 있는 대상이 그리 쉽게 선정 되지 않습니다. 관측소의 제 망원경의 위치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그렇습니다. 결국에는 유명하고 밝고 큰 놈으로 선정해서 테스트 촬영을 하게 됩니다. 저는 요즘 완전히 ...
    Date2010.12.2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48
    Read More
  5. NGC2237 Rosette Nebula

    철지난 이미지로 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별만세 관측소의 유일한 광해원이 남서쪽의 포천인데 그 광해지역을 유유히(?) 흐르는 장미를 잡아보았습니다. 지난 해엔 원체 몸이 바쁜지라 사진이라곤 찍어본게 없었는데, 올해 좀 자유로워지면서 망원경 손 좀 봤...
    Date2011.03.24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48
    Read More
  6. NGC2264 Christmas Tree Nebula

    덕초현 천문인 마을에서 첫번째 날(금요일 찍은 사진입니다) 내일이 크리스마스 이브이기도 해서 먼저 처리해 보았습니다. 유일하게 오토가이드를 한 사진인데 역시 노출이 아쉬운 사진이 되었습니다.. 어두운 성운을 충분히 커브나 레벨을 올리다 보면 노이...
    Date2003.12.2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49
    Read More
  7. 베일성운 NGC6992

    2007년 10월 6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KASTRON 320DS EQ1200GTO STL-11000M Ha RGB = 80m, 15m 15m 15m 2/3 축소, 일부 크롭 지난 주말에 촬영한 베일성운입니다. 날씨예보는 별로였지만 그동안 가동중단했던 RO를 손보러 달려 갔는데, 날이 의외로 좋았습니다.
    Date2007.10.1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49
    Read More
  8. m42(오리온대성운)

    주말에 양평으로 오랜만에(?) 관측을 떠났습니다. 요즘 주로 근처에서 리듀서에 대한 몇 가지 테스트를 하느라 제대로 사진을 찍을 만한 시간이 없었네요. 게다가 아직 새 시스템도 멀었고... 저녁까지 환상적인 모습은 점차 구름으로 대신하고 새벽에 잠깐 ...
    Date2009.09.2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49
    Read More
  9. 또....베일성운

    어제 찍었습니다. 9장을 찍어 모자잌합성에 도전하려 했는데 1장밖에 못찍었네요. 달 떠오르는데 쫓기며 찍다보니 별도 약간흐르고 핀트도 정확치 않고 노출은 부족하고... 노이즈도 많이 생기네요. 4인치굴절(F6) +EOS 10d 감도 1600설정 광해방지필터...
    Date2003.10.17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650
    Read More
  10. 말머리성운

    이 단계에서는 좀 알딸딸 해져 있었습니다. 덕분에 화각도 맘에 안들고, 말머리 뒷통수에 잡광도 들어가 있네요. ㅎ 촬영대상 : 말머리성운 (NGC2024 / IC434 등) 촬영일시 : 2008년 11월 22일 00:57~ 촬영장소 : NADA1천문대 Vixen R200SS (fl=800mm f/4) + ...
    Date2008.11.27 CategoryNebula By지승용 Views1650
    Read More
  11. IC5070

    엊그제 날씨가 좋던 날 저녁에 촬영했습니다. 거의 보름달이어서 Ha만 촬영했습니다. dslr 사용했을 때는 촬영할 생각도 못했던 부분이라 새롭게 느껴집니다. 날씨 좋은 날 더 촬영해서 컬러로 합성해봐야겠습니다. 장소 : 호빔천문대 장비 : em200tjr, penta...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50
    Read More
  12. Thor's Helmet NGC2359

    ||1------------------------- 20071208 횡성 온누리팬션 Orion 10" F4.8 EM200TPC EOS 350D 1600 x 6min x 15매 50% 리사이즈후 중심부 크롭 ------------------------- 역시 가이드 문제로 지난 사진보다 별이 더 길~쭉하지요? 리사이즈를 좀더 해야 할텐데...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651
    Read More
  13. M42 오리온대성운

    바람이 많이 불어서인지 아니면 밸런스 문제인지 가이드가 흘렀습니다. 촬영 일시 : 2010.12.03, 23시38분 ~ 익일 1시52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9도 망원경 : Borg101ED+0.78X DGT 리듀서 [7878] (D=101mm, f=499mm) 가대 : 다카하시 EM-10B 카메라 :Ca...
    Date2010.12.0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51
    Read More
  14. IC1396

    케페우스 자리에 있는 거대한 성운, IC1396입니다. 가로, 세로 모두 3도가 약간씩 넘는 엄청난 대상이지요. 비교적 큰 화각을 자랑하는 제 5인치 굴절로도 아쉽게 일부분이 짤려나갑니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 처음으로 모자이크를 해보기로 결심, 이날 두...
    Date2008.01.2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52
    Read More
  15. 오리온 성운 EOS 10D

    원래는 중심부분과 성운기를 함께 살린 사진을 올리려고 했었는데... 넘 어렵더군요. 그래서 우선 중심부분을 포기한 사진을 올립니다. 좀더 많이 찍을 걸... 하는 후회가 드는 사진입니다. 천문인 마을 04.01.24 orion8", EM200 TM, 10D FC 76반자동 가이드 ...
    Date2004.01.28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653
    Read More
  16. 안부인사차...

    보고싶고 그리운 나다회원님들... 이제 추웠던 겨울이 다 가고 어느덧 찬기운이 스러져 가는 듯 합니다. 죽은지 살은지 모르는 기나긴 시간 중에도 나다에는 거의 매일같이 들어와서 사진도 보고 감동도하고 또 회원님들 소식도 꼼꼼히 읽어보고 소위 '눈팅' ...
    Date2008.03.06 CategoryNebula By송준엽 Views1653
    Read More
  17. 베일

    엄청난 노이즈로 색감이 올바르게 안 잡힙니다ㅠㅠ iso1600 240초 9장 + iso1600 500초 14장 = 합성 크롭
    Date2008.08.13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53
    Read More
  18. Rosette 성운

    컴퓨터의 데이터를 정리하던중 처리하지않고 달랑 한장 촬영한 Ha 장미성운영상이 있더군요. 아마도, 다른 대상 시작하기전 Ha 필터의 테스트였던것일겁니다. 예전에 LRGB만 촬영하여 처리한사진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대략 1년 이후 촬영한 Ha를 함께 하여 ...
    Date2008.10.2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654
    Read More
  19. SADR 주변 (FD300 별상테스트)

    첨으로 fd300+11k의 풀프레임을 쓰게 되었네요. 그동안 이런저런 이유로 fd300의 별상을 잡지 못하다가 어제 비로소 성공을 했습니다. 화각이 넓긴 넓네요. 가로 6도 정도 나오니 이것으로 못담을, 단일 대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올 여름 은하수 주변을 노려...
    Date2009.04.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54
    Read More
  20. M17 (Omega/swan 성운)

    ||1최근에 고정밀 14.5인치 돕소니언으로 봤을때 탄성을 지르게 했던 녀석을 잡아봤습니다. 달밤에 나가서 다행히 달 뜨기전에 RGB 찍고, 달 올라오는거 보면서 Ha 돌렸습니다....^^;; 별 색상 살리는 것은 나중에 해보려고, 일단 성운 색상/디테일 위주로 잡...
    Date2010.06.03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54
    Read More
  21. IC348/NGC1333

    워낙 어두운 영역이라 작년에 찍은 사진과 함께 처리하였습니다. 아직도 노출이 부족하네요. 이번에 촬영할 때 구도를 잘 못 잡는 바람에 작년 이미지와 조금 어긋나서 화각이 많이 줄었습니다. 촬영 일시 : 2009.09.28, 1:39 ~ 4:02 / 2010.11.09, 22:25 ~ ...
    Date2010.11.1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54
    Read More
  22. 오리온성운

    두번째 딥스카이 사진입니다. 2003년 11월 8일-9일 자정 부터 2시경 까지 역시 아파트에서(게으른 관계로) 찍었습니다. 노터치가이드 EM200, D60, Nikkor ED 300 mm F4.5, Adaptor of Nikkor lens to Cannon body 30 초 에서 50초까지 5초 간격 4장씩 모두 20...
    Date2003.11.13 CategoryNebula By문재곤 Views1655
    Read More
  23. ngc7000(R-gray)

    Date: 2008. 05. 02(별만세관측소) Camera: Canon 350D(LPF제거) Exposure: R image -> Baader Ha(FWHM45nm) 600s*6장/ISO800 Optics: Nikkor105mm(f1.8->2.8)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JPG mode촬영/원...
    Date2008.05.05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55
    Read More
  24. M84M86부근 처녀자리은하단

    TOA로 TEst Shot L -image만 3장 찍어보았습니다 .. 50% resize.. *아래는 황인준님이 반전을 시켰길래 저도 한번 따라해봅니다. 그런데.. 똑같군요.. ㅠㅠ
    Date2009.0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55
    Read More
  25. IC1396

    전체적으로 하늘이 안 좋다는, 관측소 김호섭님의 말씀을 듣고 화각 확인 차원에서 들이대어 보았습니다. 아직 봄도 안 끝났는데 벌써 가을철 대상입니다. 100% 풀프레임, 50% 리사이징입니다. 항상 느끼지만 화각 엄청나네요. 오른쪽 상단에 소금얻을러 갈때...
    Date2009.05.2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55
    Read More
  26. 오리온 대성운 - 재처리

    몇 일 전부터 PixInsight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보고 있습니다. 30일 체험판이지만 모든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고 동영상 강좌, 처리 방법 등을 온라인에서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아직 사용법이 미숙하여 별색이 정말로 別色이 되었습니다. ^^; Dyn...
    Date2010.02.17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655
    Read More
  27. NGC2264 - Cone Nebula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2장(1X1) -L : 300초X10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2. 04 외뿔소자리의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의 끝에 자리...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656
    Read More
  28. 080531_ngc6992

    2008년 5월 31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의 관측 결과 입니다. 봄 날씨 같지 않은 요즘 하늘에 많은 기대를 하는 날이었지만 멀리 가지 못한 이유로 안산 일대학에서 조촐한 테스트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굴절 입니다. Pentax 75SDHF... 소구경에 넓은 ...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56
    Read More
  29. 081028_ic63

    (요즘 바쁜 관계로 잠시 짬을 내어 이미지 처리를 했는데 영 이상 합니다. 또한 모니터도 LCD로 바꾸고 처음으로 정상적인 처리를 해 보는 것 입니다. 이상하면 알려 주세요.....) 2008년 10월 27일 월요일 관측에서 화요일 새벽에 촬영한 ic63 입니다. 일요...
    Date2008.10.2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56
    Read More
  30. 버나드루프

    85mm 렌즈로 찍은 버나드루프입니다. 성운을 강조하기 위해 R64필터를 끼고 찍은 사진과 그냥 찍은 사진을 합성하였습니다. 촬영일시: 2009.11.18. 0:47~2:27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2도 렌즈: 삼양광학 Polar 85mm F1.4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56
    Read More
  31. m78

    Date: 2010.02.07-08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LRGB=600초x6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서쪽으로 넘어가는 오리온의 마지막 자락을 붙잡고 싶었습니다.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56
    Read More
  32. 오리온의 속살은?

    - 촬영일시 : 2008년 11월30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SH200 - 카 메 라 : QHY8 (One Shot Color CCD) - 보정렌즈: MPCC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5 - 노출정보 : 500s X 14EA - 소프트웨어 : Im...
    Date2008.12.03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6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