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6.21 09:54

Veil Nebula ( NGC 6992 )

(*.39.184.133) 조회 수 1737 추천 수 165 댓글 14




maging Date:   June 14th,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7.7 (1000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25C)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600sec X  6 (1X1)
                   R    600sec X  2 (2X2)
                   G    600sec X  2 (2X2)
                   B    600sec X  2 (2X2)
                 Total exposure 2hr 00min
Processing Notes : CCDStack + PhotoshopCS2

장마전 마지막 날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오후에  하늘이 괜찮아 보여
덕초현으로 출발했는데 도착하고보니 엄청난 구름이 하늘을 완전히
뒤덮고 있었습니다.
어차피 장마 대비해서 장비 정리할겸 왔었기에 어느 정도는 마음을
비우고 있는중에 밤 12시가 넘어 겨우 3등성정도 보일 정도로 하늘이
게여서 그동안 벼르던 베일 성운을 촬영할 수가 있었습니다.
대기에 수증기가 많아 밝은 별 주변이 뿌옇게 번졌지만 베일 성운
자체를 보는데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다음 기회가 오면 더 넓은 화각으로 베일 성운 전체를 담아볼 생각입니다.
  • 김상욱 2008.06.21 10:02 (*.144.201.174)
    시상은 꽤 좋았던 밤이었나 봅니다.
    밝은 별들이 약간 퍼져 보여서 오히려 더 좋습니다.
    베일 주변으로 펼쳐진 넓은 밤하늘도 아주 시원합니다.
  • 최승용 2008.06.21 11:57 (*.78.47.6)
    조건에 상관 없이 아주 좋아 보입니다.
    바탕색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정도군요.(그런데 저는 그렇게 해 보질 못했습니다. 어떻게 하는지...^^)
    너무 검은 바탕색 보다는 이런 정도가 아주 좋더군요.
  • 전영준 2008.06.21 13:18 (*.138.203.2)
    와우~~정말 깨알같은 은하수별들과 성운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F7.7인데도 환상적인 빛으로 찍혔네요. 플래트너는 장착한 상태인가요?
  • 권기식 2008.06.21 16:48 (*.254.205.132)
    초점길이 1000mm에서도 넓게 찍히는군요...
    역시 만천입니다...
    구석구석 깨끗해서 좋아 보입니다~
  • 김일순 2008.06.21 20:06 (*.125.233.252)
    별이 무쟈게 많이 찍혔네요. 별이 약간 퍼지니까 더 예쁘네요.
  • 선숙래 2008.06.21 20:39 (*.39.184.133)
    선숙래

    이 날은 잠자기도 좋은 밤이었습니다.^^^^
    플래트너 장착한 사진입니다.
    플래트너 유무가 주변부 별상에 꽤 많이 차이를 줍니다.
    바탕색은 저도 항상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인데,요즘은 적당히 처리합니다.
    DDP는 올려주면 바탕이 너무 어두워져서,DDP를 올린만큼 Background를 내려줍니다.^^^
    윗사진은 포토샵에서 레벨을 좀 올렸고,아랫 사진은 그냥 그대로 사진입니다.
  • 박현권 2008.06.21 23:31 (*.51.83.184)
    모래밭에 뭍혀있는 베일이 참 곱습니다.
  • 유종선 2008.06.22 15:19 (*.166.62.159)
    레벨을 약간 올린 윗사진이 저도 더 좋아보입니다. ^^
    샐감이나 별상들이 무쟈게 좋습니다.
    그렌데 요즘 올라오는 베일 사진은 정말 각도가 똑~~ 같습니다. 망원경 셋팅이 아마도 정확히 똑같은가 봅니다. ㅋ~
  • 고창균 2008.06.22 15:54 (*.7.236.152)
    촬영조건에 비해 엄청난 디테일과 샤프한 별상이 돋보입니다.
    좀더 좋은 환경에서라면 어떤 이미지가 나왔을지 정말 기대됩니다.
    가끔은 많은 별이 원망스러울 때도 있는가 봅니다.
    별이 좀 적게 찍혔으면 어땠을까 혼자 생각해 보았습니다.
  • 김호섭 2008.06.22 16:41 (*.53.169.82)
    깨알같이 많은 별상속의 베일은 언제나 신비로움의 대상입니다.
    디테일감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베일덕에 우리 별쟁이들의 열정을
    계속 부추기는것 같습니다. 밤하늘엔 정말 흥미로운 대상들이 가득하죠..
    멋진사진 잘보았습니다.
  • 신범영 2008.06.22 20:18 (*.254.231.237)
    굴절답게 별상이 참 똘망합니다.
    은빛 별무리속에 나플거리는 베일이 참 곱습니다...
  • 이상희 2008.06.22 22:47 (*.144.109.90)
    실호라기까지 아주 자세하게 나타났습니다
    모래알처럼 많은 별들이 하나같이 완벽한 별상을 자랑하고 있네요
  • 이건호 2008.06.25 08:03 (*.101.107.100)
    으와 별로인 날씨에서 베일은 끝내주네요~
  • 박정용 2008.07.14 12:43 (*.134.62.49)
    으아~ 별들 정말로 많습니다.
    색상이나 디테일도 죽여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425 Nebula [2007/10/10 새벽] B33 8 file 2007.10.12 1299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424 Nebula NGC281 (packman) file 2004.08.14 1298 김영렬 pjhkyr 김영렬
1423 Nebula NGC2264 Cone(12" Re...) 5 file 2004.11.29 1298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422 Nebula ngc7000 아메리카성운. 8 file 2007.06.12 1298 도영재 samdo3 도영재
1421 Nebula 장미 릴레이... 7 file 2006.12.12 1297 최훈옥 oioigs 최훈옥
1420 Nebula M8,M20 9 file 2007.05.24 1296 변성식 astron01 변성식
1419 Nebula [2007/09/10] 올 여름의 끝을 잡고... M16 7 file 2007.09.11 1296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418 Nebula 캘리포니아성운 11 file 2007.11.06 1296 도영재 samdo3 도영재
1417 Nebula 말머리 성운 5 file 2004.11.24 1295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416 Nebula IC443_081205 10 file 2008.12.06 1295 김호섭 obiwan 김호섭
1415 Nebula ngc7023 4 file 2011.10.02 129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414 Nebula NGC7023 4 file 2011.11.03 12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413 Nebula M78 4 file 2004.01.31 1294 정민경 c6782 정민경
1412 Nebula [필름]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8 file 2006.10.12 1294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411 Nebula M20 9 file 2004.04.29 1293 김영렬 pjhkyr 김영렬
1410 Nebula BRC250 오리온 15 file 2004.11.08 1293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409 Nebula NGC1333 15 file 2006.10.08 129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408 Nebula M17 6 file 2004.06.19 1292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407 Nebula M8 TEst 3 file 2005.05.05 1292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406 Nebula Vdb142 7 file 2005.09.01 129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405 Nebula NGC7293 - Helix Nebula 15 file 2006.09.07 1292 김일순 arame 김일순
1404 Nebula NGC7000 일대 9 file 2007.06.17 1292 남명도 n8210 남명도
1403 Nebula 베일성운 7 file 2004.08.12 129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402 Nebula Christmas Tree Nebula 주변 7 file 2010.02.07 1291 강문기 mkang 강문기
1401 Nebula [11000M/C2 Test Shot] ngc2237 12 file 2007.02.12 1290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400 Nebula Ha 장미 2 file 2008.11.03 1290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399 Nebula IC443+M35_081225 7 file 2008.12.27 1290 김호섭 obiwan 김호섭
1398 Nebula 말머리와 오리온 대성운 3 file 2012.02.19 1289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397 Nebula Horsehead Nebula 16 file 2004.10.25 1288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396 Nebula M52와 버블 성운 9 file 2007.09.13 1288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395 Nebula Object: NGC6992(VEIL) 6 file 2004.05.26 1286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394 Nebula m27 8 file 2004.09.14 1286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