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54.231.237) 조회 수 1935 추천 수 204 댓글 17






베일성운 중 동쪽 부분입니다. ADT12.5인치에서 화각이 될 줄 알았는데 약간 짤리네요.
Ha 필터는 월령10일의 밝은 달 아래에서 찍어서 아무래도 Ha 고유의 날카로움이 무뎌진 느낌입니다.
Ha 필터적용에 따른 별상의 크기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세가지 버젼을 올렸습니다.
첫번째는 HaRGB합성으로 Ha필터의 효과가 커서 성운의 디테일이 증가하고 별상은 크기가 줄었으나 색상의 자연스런 느낌은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두번째는 Ha+R을 L 필터로 적용한 것으로 별상의 크기는 약간 커졌으나 색상이 좀 더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세번째는 RGB 합성으로 Ha를 적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별상이 커져서 성운의 디테일을 방해하지만 색상은 가장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카메라: SBIG STL-11000M
가이드 :  SBIG ST-402  with Lumicon off-axis guider  
필터: SBIG Standard LRGB, Baader 7nmHa
촬영일시: 2008.6.13
촬영장소: Byulmanse Observatory
노출시간: 각각 Ha: 90분, R : 40분 ,G: 40분 , B :40분
이미지처리 : Maxim DL / Photoshop CS2
  • 고창균 2008.06.15 22:17 (*.7.236.152)
    사진 좋습니다.갠적으론 가운데 놈이 젤 좋아보입니다. 자연스럽구...
    그나저나 같은 망경, 같은ccd, 각은 구도, 같은 화각, 같은 장소, 같은 하늘....
    아마 가이드성도 같은 놈으로 쓰지 않았나 싶습니다. 필터만 다르군요.
    오른쪽 약 10%정도 크롭한 제 사진이랑 아예 똑같네요. ㅎㅎ..
    재밌습니다.
  • 김호섭 2008.06.16 04:00 (*.179.242.131)
    제게는 세번째가 더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역시 별상이 크니 낯설지 않네요. DSLR처럼..
    하나찍기도 바쁜데 다양한 결과물을 올려 놓으시니 쉽게 비교가 되어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권기식 2008.06.16 09:22 (*.254.205.135)
    저도 3번에 한표 드립니다~ ^^
    아무리 RO라도 정말 부지런하십니다.
  • 이상희 2008.06.16 10:11 (*.57.76.168)
    정성과열정으로 만든 작품에 순번을 매기기가 죄송스러울 따름입니다
    자연스러운바탕색이 인상적인 1번에 100표드립니다
  • 황인준 2008.06.16 10:29 (*.226.254.69)
    달빛아래서도 대단하군요.
    정말 처리의 다양한 접근이 대단합니다.
  • 김일순 2008.06.16 11:32 (*.110.19.24)
    저도 1번에 콜... 입니다요...
    2번에서 별상만 떼어다가 1번에 얹으면 금상첨화...
  • 최승용 2008.06.16 11:35 (*.78.47.6)
    엄청납니다.
    굴절 입니다. 완전히....
    저도 두번째....
    원래 쨍하고 날카로운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라서리..^^
  • 전영준 2008.06.16 13:29 (*.138.203.2)
    의견을 모아 바탕은 1번으로 디테일은 2번으로 색감은 3번으로 레이어 합성하세요..ㅋㅋㅋ
    어찌 이런 멋진 성상과 성운이 나오는지 대단합니다.
  • 이상헌 2008.06.16 23:09 (*.236.51.237)
    한참을 봐도 셋 다 좋습니다. ^^
  • 강문기 2008.06.17 10:47 (*.132.58.21)
    모두 다 좋습니다. 각각의 매력이 있는 사진들이네요.
  • 이건호 2008.06.18 08:09 (*.101.107.100)
    저는 첫번째 사진 맘에 듭니다^^
  • 김형석 2008.06.18 10:37 (*.138.213.2)
    두 번째 사진을 큰사이즈로 올리셨으면 두 번째에 눈에 확 들어왔을 것 같습니다.
    항상 눈팅으로나마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 신범영 2008.06.18 13:35 (*.241.50.130)
    사진에 대한 선호도를 물어볼 의도는 아니었는데 결과적으로 여러 회원님들께서 각 사진에 대한 선호의견을 주셨네요.
    의견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고 이미지 처리에 참조하겠습니다.
  • 김삼진 2008.06.21 08:27 (*.131.71.43)
    모두다 황홀합니다.^^
  • 유종선 2008.06.21 09:05 (*.155.236.218)
    디테일과 색감이 너무나 훌륭합니다.
  • 박현권 2008.06.21 23:34 (*.51.83.184)
    선호의견 마감된 뒤인거 같지만 저도 1번이 좋습니다.
    부드러우면서 별 하나하나 색감이 다 살아 있어서 좋습니다.
  • 박정용 2008.07.14 12:44 (*.134.62.49)
    가운데 것이 제일 무난하다 생각됩니다.
    셋다 너무 좋습니다.

  1. Eta Carrina Nebula

    제목 : 에타카리나 성운 망원경/렌즈 : FDK250 카메라 : QHY247C 마운트 : CRUX 200HDA  필터 : NA 노출정보 : 400sec X 10  촬영장소 : 서호주 퍼스 인근  촬영일시 : 2018년 1월 18일  촬영후기 : 남천에 가면 꼭 찍게 되는 에따 카리나 올려 봅니다. 이번 ...
    Date2018.02.02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8
    Read More
  2. Eta Carinae, Running Chicken Nebula Wide Field

    Telesocpe : Samyang (Rokinon) 135mm F2.0 Lens (@ F2.8) CCD : Canon 6D modified (by Central DS) Mount : RainbowAstro RST-150H Exposure : 120s x 53 (ISO1600) total  1h 46m Location : Bobundara, NSW, Australia Date :  28/Jun/2017 남반구 하늘의...
    Date2017.07.14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85
    Read More
  3. Eta Carinae Nebula (NGC 3372)

    제목 : Eta Carinae Nebula (NGC 3372) 망원경/렌즈 : 8 inch GSO mirror + paracorr2 ( 자작 8인치 Newtonian 망원경) 카메라 : Oympus E-PL5  가이드 : 자작 OFF AXIS Guider + QHY5L II 마운트 :  자작 하모닉 드라이브 적도의 필터 :  52mm Hoya UV/IR cu...
    Date2016.08.18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75
    Read More
  4. Eta Carinae Nebula

    Telesocpe : WO STAR-71 II (D:71mm, fl:350mm) CCD : SBIG STL-11000M Mount : RainbowAstro RST-150H  Exposure : L 300s x 12(1x1bin), RGB each 300s x 6(2bin) total 2h 30m Location : Bobundara, NSW, Australia Date :  28/Jun/2017 마운트의 남반구 ...
    Date2017.07.04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250
    Read More
  5. Eta Carinae Nebula

    Mount : RainbowAstro RST-135 Telescope : WilliamOptics RedCat51 Camera : Canon 6D modified (by CentralDS) Guide : ZWO 30F4 guide scope, 120MM-mini, ASIAIR Exposure : ISO1600 300s x 10 Location : near Vicuna, Chile 일식 관측차 칠레에 갔다가 ...
    Date2019.07.10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225
    Read More
  6. Eta Carina nebular(ngc3372)

    에타 카리나성운 - 남반구에서 볼수 있는 성운으로 오리온성운의 8배 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서호주 탐사에 가져간 SKY90망원경(리듀서 사용으로 409mm)으로 화각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200mm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성운을 모두 담는데 효과적이라는 생...
    Date2013.08.14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687
    Read More
  7. Eta Carina Nebula

    남천에서 처음 대상을 겨누고 찍은 대상입니다. 블루밍 덕분에 아주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결국 RGB는 11K의 것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실 사이즈입니다. 워낙 밝고 큰 대상입니다. 실제 처리를 해보니 G와 B채널의 정보가 많이 있었습...
    Date2006.12.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47
    Read More
  8. Eta Carina Nebula

    제목 :  Eta Carina Nebula  망원경/렌즈 : Takahashi 106ED - 645 Reducer  카메라 : FLI ML 16803 마운트 : RainbowAstro RST-135 필터 : L 1x1 300s(8) + HA 1x1 300s (8) / RGB 2x2 300s (5) 촬영장소 : 브리즈번에서 4시간 동부어딘가. ., 호주  촬영일...
    Date2020.11.10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6
    Read More
  9. Eta Carina

    너무도 감동적인 여행의 기억들을 만들고 무사히 돌아 왔습니다. 많은 어려움에도 서로 돕고 상부상조하고 또 동호인으로서의 우정 역시 여행을 가장 아름답게 한 요소였습니다. 그런 연유로 모든 사진은 세 사람의 공동작품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멋진 여행...
    Date2006.11.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11
    Read More
  10. Eskimo~ and Medusa N test~

    ||1어제 간만에 하늘이 좋았습니다.. 보름직전의 달은 빼구요. ㅜㅜ TEst shot으로 찍어보았습니다. 쪼맹이 Eskimo입니다. 장촛점으로 큼지막하게 찍어보고픈 대상인데 Focal length 980mm는 어쩔수 없군요.. TOA -flattner + 6303 E + 1x1 binng crop. 100% ...
    Date2006.1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66
    Read More
  11. Eskimo nebula(ngc2392)

    - 촬영 일시 : 2016. 03. 10 - 촬영 장소 : 장수 논개생가 주차장 - 망원경(경통) : SkyWatcher 18인치 돕소니언 - 가대(삼각대) : Space Arrow EQ platform Model - 카메라(CCD) : ASI224MC - 촬영 노출 : 250ms x 대략 5,000 frames (Gain 450) 지난번에도 ...
    Date2016.03.11 CategoryNebula By김태환 Views182
    Read More
  12. Eskimo ( NGC 2392 )

    ||1촬영 일자 : 2007. 10. 21 새벽 AM 2:00-4:00 촬영 장소 : 대전시 대청호수옆 집 뒷마당 망원경 : Meade LX200R 12inch F10( FL : 3080mm ) 적도의 : AP EQ 1200 GTO. Guidescope : SKY90 with 2 extender - ST 402 카메라 : STL - 6303 (-30도) 노출 : L ...
    Date2007.10.2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25
    Read More
  13. Eskimo

    제목 : 덜덜덜..추워요 망원경/렌즈 : 18인치 돕소니언 카메라 : ASI224MC 마운트 : EQ platform M2  필터 : 노출정보 : 1sec x 400  촬영장소 : 장수 촬영일시 : 2016.0203 촬영후기 : 서리폭탄에 겁나 추웠어요..  
    Date2016.02.04 CategoryNebula By김태환 Views104
    Read More
  14. Epsilon210 Rosette Nebula

    2019년 1월 13~14일 / 경북 영천  takahashi ε-210 (210mm F3.0, 부천동 김정식님 장비) HaLRGB 900s x 12/8/4/4/4, All Bin1 Total 480min (8.0h) STL-11000m(-30도) Rainbowastro RST400 Equatorial Mount TC237 internal guide / bin2 / 6sec slow speed m...
    Date2019.01.18 CategoryNebula By권한조 Views154
    Read More
  15. EOS 5D Mark II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EOS 5D Mark II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400mm로 촬영하였구요. ISO 1600에서 5분 노출한 6장의 이미지를 합성하였습니다. 촬영장소는 호빔천문대 입니다. 이전에 호빔에 갔었을때는 제가 워낙에 운이 없어서 몇번 연속으로 날씨가 나쁘거나 습하거나 그랬...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281
    Read More
  16. EOS 5D Mark II로 찍은 M45입니다.

    원래는 약간 초점이 안맞았습니다만, 이렇게 저렇게 해서 이미지처리로 인해 부은듯한 느낌이 들도록 해 보았습니다. 가이드가 잘 안되서 별이 약간 찌그러지기도 하고 그렇네요. 원래 RAW 촬영 후 DPP에서 RAW 현상 하려고 마음먹고 있었습니다만, 찍고나서 ...
    Date2008.12.27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363
    Read More
  17.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오랜만에 올려봅니다. 예전에 양산품 출시전에 나온 테스트 바디로 찍었던 사진입니다. 9월 중순말경에 찍은 사진이라 촬영 데이터가 없네요. 하여간 뭐 이정도로 나옵니다. 렌즈는 EF 800mm f5.6 L IS USM 사용했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Date2008.12.19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405
    Read More
  18. Embryo nebula_051203

    짧은 노출에 반해 이미지처리를 좀 과하게 해보았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색감은 만들어내지 못했지만 이 성운은 볼수록 묘합니다. 어쩜 이리도 뱃속의 아이를 닮았는지요.. . - Date: 03/12/05 - Site: Gangwon-do, Duckchohyun - Mount: Vixen Atlux - Camer...
    Date2005.12.04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52
    Read More
  19. Elephant Trunk

    Object : Elephant Trunk Date : 2017.4.29 Telescope : Samyang 135mm (masking F2.2) Camera : Fuji X-E2S(nomal)/no Flat, no Dark Setting : ISO 1600/RAW/5min*34장/DR400//NR-2 Mount : Takahashi Em200 Temma2 Guiding : 100mm CCTV+QHY5L-II mono Loc...
    Date2017.05.0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27
    Read More
  20. Eastern Veil Nebula

    아스트로마트 중고장터에서 최근 구매한 FSQ의 성능테스트였습니다. 시상이 썩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FWHM이 1.3~1.5까지 떨어졌습니다. 대단한 성능입니다. 달이 지길 기다려 2시경부터 촬영에 들어갔습니다. 컴팩트하면서도 정말로 고성능의 망원경입니...
    Date2008.05.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026
    Read More
  21. Eastern segment of Veil Nebula (NGC6992-6995)

    베일성운 중 동쪽 부분입니다. ADT12.5인치에서 화각이 될 줄 알았는데 약간 짤리네요. Ha 필터는 월령10일의 밝은 달 아래에서 찍어서 아무래도 Ha 고유의 날카로움이 무뎌진 느낌입니다. Ha 필터적용에 따른 별상의 크기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세가지 버젼을...
    Date2008.06.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35
    Read More
  22. ddp를 적용한 캘리포니아..

    지난 9월23일 덕초현 스타파티때 찍은 볼품없는 캘리포니아에 ddp를 적용해보았습니다. em200b eos350d pentax 100 sduf 5min x 20 iso 800
    Date2006.11.2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26
    Read More
  23. Dark nebula

    B312와 NGC6645 알타이르 근처의 암흑성운 B142, B143 B111과 M11 B312 우측으로 있는 NGC6645(사진상 좌측)와 M25(사진상 우측) 5월 27일밤 촬영한 암흑성운들입니다. 노터치 가이드로 촬영하다보니 장노출이 힘들어 멋지게 촬영하기 힘드네요. 내년쯤에나 ...
    Date2014.05.2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669
    Read More
  24. Dark .. Antares.. Dark blue horsehead

    ||1SBIG 8300c + 100mm 렌즈. 900s x 12장 Half resize 아름다운 색감은 온데간데없고. 어둠이 뒤덮은 안타레스부근입니다. Dark blue horsehead 오른쪽 위로 사알짝 보입니다. * 깜빡하고 있었습니다. . 하늘이 너무 밝아서 렌즈 앞에 48mm Astronimik CLS f...
    Date2013.04.2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39
    Read More
  25. D3- TEst shot : Cygnus , M16 & 17

    ||1D3로 찍어본 천체사진입니다. ISO 2200 10분 노출 3장 합성입니다. ( M16& 17은 달랑 1장.. ) Capture Nx 보정후 뽀샵등등후 resize후 주변부 crop ( about 10%) 입니다. AF-s 300mm( F2.8 - > F4 Masking ) with LPS-p2 광해필터 자동초점후 촬영. 일반적...
    Date2008.08.30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876
    Read More
  26. D3 TEst - M8 and M20

    ||1SKy 90 with D3 .. ISO 2200 8분 4장 합성. 주변 margin은 crop하였습니다 . D3에 포커스 정보창이 있어 포커스 잡기는 쉬운데.. 웬지 디테일이 좀 없는거 봐서 .. 이게 정말 맞는건지.. 광해필터없이 찍어서 바탕이 하얐게 탔었습니다만 DSLR로 찍...
    Date2008.08.3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86
    Read More
  27. Cygnus주변부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 Canon 350D(LPF제거) Exposure: R image -> Baader Ha(FWHM45nm) 600s*8장/ISO800 GB image -> LPS-P2 600s*5장/ISO800 Optics: Nikkor105mm(f1.8->2.8)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49
    Read More
  28. Cygnus Wall Narrowband Bi-color

    제목 : Cygnus Wall Narrowband  Bi-color 망원경/렌즈 : Planewave CDK14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RainbowAstro RST-400  필터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3nm Ha, OIII 노출정보 : Ha 1200s x 11(1x1bin), OIII 1200s x 9(1x1bin...
    Date2016.09.01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143
    Read More
  29. Cygnus Wall

    북아메리카성운같은 대상은 너무 넓게 퍼져있어서 화각을 채우는게 참 난감한거 같습니다.  광시야로 가면 공간해상도가 줄어들고, 초점거리를 늘리면 아쉽고... 차라리, 주변부를 과감하게 버리고 Cygnus Wall같은 다이나믹한 지역만을 협대역필터로 포커스...
    Date2016.10.26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20
    Read More
  30. Cygnus Loop (SNR) - Veil Nebula (NGC 6960, NGC 6992...) |

    작년에 촬영했던 이미지를 HOO로 처리해 보았습니다. 지난번에는 syntheic Green을 H와 O의 적절한 비율로 만들어서 처리를 했었는데, 요즘은 HOO 믹싱으로 자주 처리해보게 되네요. 빨리 하늘 맑은 가을이 왔으면 합니다. 너무 덥네요.. - Object: Cygnus Lo...
    Date2016.08.05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203
    Read More
  31. Cygnus Loop

    무월광에 하늘이 뻥 뚫렸지만 월요일 출근도 해야하고, 무엇보다 대전이 습도가 낮아서 집 앞마당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 너머로 넘어가는 바람에 많은 노출은 주지 못했습니다. - Object: Cygnus Loop (SNR) - Veil Nebula (NGC 6960, NGC 6992...)...
    Date2015.09.15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206
    Read More
  32. Cygnus Loop

    Telescope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135 Filters : Astrodon 50mm square RGB, 3nm Ha O3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ZWO ASI120mm mini Exposure :  RGB each 600s x 12(1x1bin), Ha...
    Date2020.09.29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2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