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6.12 09:55

M8_M20과 주변부

(*.53.169.82) 조회 수 1804 추천 수 194 댓글 11




친구의 부친상때문에 문상갔다가  춘천구봉산가서 7.7일의 달과 토성의 멋진
모습을 시민들과 공개관측하다가 평소에는 그곳에서는 잘보이지 않던 알비레오와
전갈자리가 뚜렷한 모습을 보고 가슴이 뛰기시작하더니 신범영샘께 전화를
걸어 광덕산 관측소의 원격전천카메라로 바라본 하늘이 어떠냐고 여쭈니
끝~내준다는 말씀을 듣고 약간의 고민을 짧고 굵게 한다음, 그길로 장비를 접어
광덕산 관측소로 달려갔습니다. 문상갈때 입은 여름양복 입은 그대로 말이죠.
그곳은 역시 밤에는 좀 쌀쌀하더군요. 어쩌겠습니까..도진병 약도 없는데..
그 환따스틱하고 베리베리 원더풀한 하늘을 혼자본다는게 꼭 하늘을 전세낸거
같아 행복하다가도 함께 보는이가 없어 가슴 한켠이 허전까지한 그 장대한
은하수...말로 어찌 설명이 가능하겠습니까. 보신분들만 알겠지요.
암튼 역대 망원경 풀세팅한 속도중 아마 가장 빨랐을겁니다. 그래도 달이 서산뒤로
숨고 망경세팅을 마치고나니 이미 새로 1시가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이 얼마나 야속한지 우리 별쟁이들은 모두 공감하실겁니다.
첫 셔터를 누른 시간이 1시 15분...플랫이고 뭐고 그냥 동틀때까지 내버려 두었습니다.
깜박 잠이들었다가 동튼후에 나가서 시간기록을 보니 3시34분에 열린 셔터가 이미
푸른끼가 도는군요. 그래서 겨우 건진이미지가 18장밖에 되질 않습니다.
그래도 FD300 도입한 후로 꼭 찍어보고싶은 이녀석의 국민화각을 어쨌든 저도
담아보았습니다.

[촬영데이터]

-Telescope : canon FD300/F2.8L -> F4 masking
-Guidescope : TeleVue Pronto 480mm/F6.8
-EM-200 Temma2 Jr. / Meade DSI+GPUSB Autoguide
-CANON 400D w/o LPF + LPS-P2
-420s*18 / ISO800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_080611
- 맥심콤바인_포토샵에서 레벨/노이즈약간 조정_약간크롭
  • 전영준 2008.06.12 10:48 (*.138.203.2)
    생생한 중계를 보는 듯 합니다..^^
    화각도 좋고 어두운 영역까지 잘 나왔습니다.
    멋진 하늘에서의 시간은 정말 타임머신을 탄듯하죠..ㅋㅋ
  • 신범영 2008.06.12 11:11 (*.241.50.130)
    전천사진으로 본 하늘이 참 투명하다고 느꼈는데 사진에 그대로 반영되었군요.
    거울처럼 반짝이는 멋진 석호와 삼렬입니다.
    이렇게 날 좋은날 여명이 오는 것은 참 아쉽죠.
    더군다가 등교를 위해 은하수를 뒤로 하고 짐을 접을 때는 정말 타임머신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 이상헌 2008.06.12 11:49 (*.153.65.88)
    국민화각 ^^
    대단한 열정에 걸 맞는 사진입니다.
  • 강문기 2008.06.12 13:42 (*.132.58.21)
    성운대가 화려하게 잘 나왔습니다. 곰발바닥(?)도 잘 보이는군요...
  • 고창균 2008.06.12 14:48 (*.246.155.66)
    몸이 열개라도 모자라시겠습니다. 병 나실라.... 쉬엄쉬엄 하세요.
    사진은 다할나위없이 좋네요.
  • 최승용 2008.06.13 09:40 (*.78.47.6)
    화각이 넓어서 보기에 시원하고 대상들도 멋지게 나왔습니다.
  • 김일순 2008.06.13 10:37 (*.110.19.24)
    멋지게 찍으셨네요...
    냉각CCD가 부럽지 않으시겠습니다.
  • 김삼진 2008.06.14 11:50 (*.131.71.43)
    구도 색상 모두 멋집니다.제가 찍은 ccd보다 훨 좋습니다.^^
  • 황인준 2008.06.16 10:24 (*.226.254.69)
    필름사진 같습니다. 열정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늘 잘 보고 있답니다.
  • 유종선 2008.06.21 09:12 (*.155.236.218)
    올해는 이 대상을 꼭 찍어 보려는데 영 기회가 안나는군요 ㅠ.ㅠ
    멋진 사진 얻으셨군요.
  • 박정용 2008.07.14 12:50 (*.134.62.49)
    정말 색감이 화려합니다.
    살아있는듯 합니다.

  1. 라군성운 주변부

    앞사진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찍었습니다. 남동쪽이 공주방향인듯 약간의 광해가 있어보였지만 무난한 수준이었습니다. 라군성운과 삼렬성운, NGC 6546, NGC 6531을 포함하는 라군성운 주변부는 예전 필름으로 찍어놨던 곳이라 손이 잘 안갔었는데 QHY8의 ...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560
    Read More
  2. NGC7000 & Pelican Neb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QHY-8(oneshot color) Exposure: R image -> Baader 45nmHa (600s*6장) GB image ->LPS-P2 (600s*6장) Optics: PENTAX SDUF II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원...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70
    Read More
  3. ic1396

    5월 2일 안개속에서 촬영해서인지 성운기가 아무리해도 안 나옵니다. em10b, astro350d, iso1600, 402초, 8장 합성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485
    Read More
  4. Western Part of Veil

    이런 저런 시스템이 새로 구축되다 보니 시간이 꽤 걸립니다. 이번엔 Pentax MS-4에 AnyGoto를 붙여 가이드 테스트를 했습니다. 처음 상태는 적위쪽 백래쉬가 많아 결국 또 분해 조립 이런 저런 이유로 고생하다가 겨우 최적상태가 되었습니다. GoTo역시 정교...
    Date2008.05.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14
    Read More
  5. 철지난 원숭이

    산개성단NGC2175를 배경으로하는 NGC2174원숭이성운입니다. 지난 겨울 1월2일과 1일31일 원숭이성운을 두번 찍었었는데 처리해보니 둘다 그만그만 하네요. 그 중 1월31일에 찍은 녀석을 올려봅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
    Date2008.05.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02
    Read More
  6. M17 Swan(or Omega) Nebula

    한여름에 찍어야 제격인데 미리 찍어보았습니다. Ha와 R,G,B의 별상의 차이가 커서 Ha+R를 L로 사용하여 보완하였습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카메라: SBIG STL-11000M 가...
    Date2008.05.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87
    Read More
  7. IC1318

    지난 해 여름, Ha로 찍었던 여름철 대상들을 내로우필터로 다시 찍어보고 있습니다. 월몰 후 2시간 정도 남은 촬영시간을 감안해 S2와 O3는 2비닝(10분씩)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Ha는 달이 채 지기 전에 찍기 시작했습니다. 어두운 감도가 2비닝으로 만회가...
    Date2008.05.15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94
    Read More
  8. Eastern Veil Nebula

    아스트로마트 중고장터에서 최근 구매한 FSQ의 성능테스트였습니다. 시상이 썩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FWHM이 1.3~1.5까지 떨어졌습니다. 대단한 성능입니다. 달이 지길 기다려 2시경부터 촬영에 들어갔습니다. 컴팩트하면서도 정말로 고성능의 망원경입니...
    Date2008.05.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026
    Read More
  9. M8 & M20

    서울 연광초등학교 공개관측회를 마치고 집에 도착하니 12시가 다 되었습니다. 달이 높은 날은 왜 이리 날이 좋은지요? 관측소문을 열어놓았다는 신샘의 전갈! 달 지면 박명까지 한 시간 정도 밖에 안 남는데, 찍을까 말까 고민합니다. 그냥 달 무시하고, 화...
    Date2008.05.1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56
    Read More
  10. M16 독수리성운

    지난 4월19일 보름을 하루 앞둔 밝은 달속에서 찍었던 Ha 이미지에 컬러를 입혀보았습니다. 다른 날에 찍은 이미지 사이에는 풀프레임의 얼라인이 되지않아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얼라인 하였더니 주변부의 별상이 안좋습니다.(콤마수차나 가이드에러는 없습니...
    Date2008.05.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89
    Read More
  11. Cocoon(ic-5146)

    연휴에 달 지고난 후에 이틀에 걸쳐서 찍었습니다. 여름이 다가오니 밤에 별을 볼수있는 시간이 점점 짧아져서 너무 빨리시간이 지나갑니다. 각 장마다 확인 해 보니 인공위성이 많이 지나가서 버리고 나니 이틀 이라봐야 얼마 안되네요.^^ 2008-05-10일~11일...
    Date2008.05.18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20
    Read More
  12. ngc6992_6995

    정회원이 되니 저도 guest Gallery를 나와 이곳에 사진을 올리게 되는군요. 지난 5월9일 별만세 광덕산 관측소에서 찍은 것입니다. 4시면 박명이 시작되니 최소한 12시면 셔터를 눌러야 하는데 2시는 되어야 동쪽으로 화각이 확보되어 아직은 약간 이른듯 싶...
    Date2008.05.19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683
    Read More
  13. IC5146 Cocoon Nebula

    백조자리에 있는 약 10분 크기의 발광성운으로 길다란 암흑성운인 B168 끝에 목걸이 처럼매달려 있습니다. 4월27일 하현달을 무시하고 Ha를 찍었고, RGB 필터는 5월10일 유방택별축제에 다녀온 새벽에 찍었는데 기온은 낮았지만 습기가 좀 많아서 이슬제거장...
    Date2008.05.2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68
    Read More
  14. M16

    오랜만에 보현산에 다녀왔습니다. 보현산도 이젠 예전같지 않더군요... 박무 때문에 밝아보였던 거라고 믿고 싶습니다. 그리고 밤새도록 올라오는 차들 때문에 골치가 좀 아픈 장소이더군요... 그래도 시민들에게 토성 등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바...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712
    Read More
  15. 오메가성운(M17)

    ||1다음 주(6월 7일, 토)에 있을, 별만세 초청관측회 준비도 할 겸, 오랜만에 화천을 다녀왔습니다. 경유값이 천정부지로 뛰고 있는 요즘, 관측소 다녀오는 일이야말로 어지간한 이유 없으면 힘든 일이 되었습니다. 주인아저씨와 새로이 지은 펜션(농가주택?)...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847
    Read More
  16. ngc6357+6334

    전갈자리 꼬리부근에 있는 발광성운입니다. 두개가 나란히 있어 사이좋게 보입니다. 하나씩 찍으려다가 FD300화각에 넉넉히 들어와 함께 찍어보았습니다. 하단이미지중 왼쪽이 NGC6357이고 우측이 고양이발성운이라 불리는 NGC6334입니다. NGC6357에는 사선방...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55
    Read More
  17. Iris NGC7023

    ||1정말 오랜만에 deep sky사진을 올려보네요. 사진촬영보다는 학생들에게 이것저것 보여주러 간 서천동정관이었습니다. 봄날씨 치고 투명도도 좋고... 쾌적한 밤이었습니다. 노출중 갑자기 구름이 왔다갔다하여 여러장을 버리고, 또 촛점도 잘 맞지않았네요....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723
    Read More
  18. 080531_ngc6992

    2008년 5월 31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의 관측 결과 입니다. 봄 날씨 같지 않은 요즘 하늘에 많은 기대를 하는 날이었지만 멀리 가지 못한 이유로 안산 일대학에서 조촐한 테스트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굴절 입니다. Pentax 75SDHF... 소구경에 넓은 ...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56
    Read More
  19. ngc6992_6995_2nd

    다시한번 도전해본 커튼자락입니다. 일요일밤은 주말밤에 비해 하늘이 삐리리했지만 비~싼 기름때가며 달려간 관측소였기에 그냥 올수는 없었습니다. 남쪽 전갈방향은 뿌연 박무가 심했고 그나마 동쪽하늘에 알비레오가 희미하게 보이는정도라 고민하다가 일...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590
    Read More
  20. NGC 7023

    ||1--------------------------------- 20080531 횡성군 공근면 온누리펜션 오리온 10" EOS350D w/o cooler 1600 9분 x 5장 , 10분 x 15장 약 50% 리사이즈후 중앙부 크롭 --------------------------------- 많~이 찍긴 했는데, 1600으로 장노츨을 주다보니 ...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761
    Read More
  21. M16 - Eagle Nebula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25) -Hα : 1200초X5장(1X1) -RGB : 각 300초X6장씩(1X1) -2008. 05. 31. 여름철 대상들은 짧은 밤과 궂은 날씨 그리고 장마 때문에 특히 저처럼 게으른 사람에게는 좀...
    Date2008.06.04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477
    Read More
  22. M8 부근

    지난 주말, 간만에 덕초현에 다녀왔습니다. 봄날 치곤 아주 날이 좋았습니다. 유리별천문대의 30인치와 야간비행팀의 돕소니언에 안시관측하러 다니다 보니 정작 사진은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망원경이 관측소의 벽에 걸릴때 까지 간신히 찍은 은하수 입니다...
    Date2008.06.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87
    Read More
  23. Sadr 주변의 성운들

    백조자리 가슴에 있는 별인 sadr 주위에 있는 성운들입니다. 은하수 한복판 답게 성운과 잔별들이 화려한데 화각이 좁아서 성운의 일부분밖에 안보입니다. 제대로 볼려면 몇장 찍어서 모자이크를 하거나 화각이 넓은 FSQ106을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현...
    Date2008.06.0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17
    Read More
  24. North America & Pelican Nebula

    참 좋은 날이었습니다. 하지만 켄드릭 히터를 켜 놓는 것을 깜박했습니다. 해서 세장째 부터는 가차없이 이슬이 끼어 밝은 별이 뿌옇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몇장 빼 놓고는 다 합성해 보았습니다. 이슬덕에 밝은 별이 뽀샤시 하고 컬러풀하니 보기는 예쁜데 ...
    Date2008.06.0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90
    Read More
  25. M57 Ring Nebula

    Imaging Date: May 2rd,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SK15 with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Mount: AP EQ1200GTO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10XME w/CFW-8A (-25)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300sec...
    Date2008.06.09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939
    Read More
  26. M8_M20과 주변부

    친구의 부친상때문에 문상갔다가 춘천구봉산가서 7.7일의 달과 토성의 멋진 모습을 시민들과 공개관측하다가 평소에는 그곳에서는 잘보이지 않던 알비레오와 전갈자리가 뚜렷한 모습을 보고 가슴이 뛰기시작하더니 신범영샘께 전화를 걸어 광덕산 관측소의 원...
    Date2008.06.12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804
    Read More
  27. Veil성운(ngc6992)

    오랜만에 좋은 하늘을 만났습니다. 며칠동안 계속 이 베일을 추적하고 있었는데, 어떤 날은 중간에 구름이 들어오고, 어떤 날은 안개가 많아서 충분히 촬영을 못했습니다. 어제는 초여름치곤 참 좋은 하늘이었습니다. 며칠 동안 낑낑대며 얻은 것보다 어제 하...
    Date2008.06.1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865
    Read More
  28. M27

    그저께 천안 출장 갔다가 내려오는데 날씨가 너무 좋아 집에 도착하자마자 바로 달려갔습니다. 제 장비는 들고 다니지만 개인 관측소는 정말 편리하더군요... ㅠ.ㅠ 늦게 촬영을 시작하여 이래저래 문제도 많은 사진입니다. Seeing도 별로 안 좋았던 거 같고...
    Date2008.06.14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687
    Read More
  29. m57-테스트샷

    Date: 2008. 06. 14(대부도팬션) Camera:QHY-8(oneshot color) Exposure: 180s * 5장 Optics: TMB130ss F/7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Baader66ED/Meade DSI(PHD Guiding) Image: maximDL/Photoshop CS3/no dark/no flat/no filter 대부도쪽에서 아는 ...
    Date2008.06.15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34
    Read More
  30. Eastern segment of Veil Nebula (NGC6992-6995)

    베일성운 중 동쪽 부분입니다. ADT12.5인치에서 화각이 될 줄 알았는데 약간 짤리네요. Ha 필터는 월령10일의 밝은 달 아래에서 찍어서 아무래도 Ha 고유의 날카로움이 무뎌진 느낌입니다. Ha 필터적용에 따른 별상의 크기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세가지 버젼을...
    Date2008.06.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35
    Read More
  31. NGC 7000

    그동안 잠수타다, 오랜만에 사진 올립니다. 5월 31일 찍은 이미지인데, ha 별상 주변에 다크써클이 맘에 안들어 그동안 내 팽겨치다, 다시 처리해 보았습니다. ha 별상 크기 조절은 언제나 느끼는 거지만 정말 힘듭니다. em200+fsq106ed+stl11000 L:Ha:R:G:B=...
    Date2008.06.20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049
    Read More
  32. Veil Nebula ( NGC 6992 )

    maging Date: June 14th,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7.7 (1000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25C)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600sec X 6 (1X1) R 600sec X 2 (...
    Date2008.06.21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7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