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12.17 01:40

오리온-QHY8

(*.97.226.8) 조회 수 2119 추천 수 225 댓글 15


받아 놓은지 꽤 오래된 CCD를 테스트하러 주말에 천문인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중국산의 QHY8, 원샷 냉각 컬러 CCD 카메라인데, 김형석님이 리뷰에서 잘 써 놓았듯이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괜찮은? 녀석으로 보입니다.

오리온 대성운
AP130EDF, EQ1200GTO, 가이드는 STL11000M
10분 4장 합성
(촬영은 맥심에서, 컬러변환은 스텔라이미지에서, 4장 합치기는 다시 맥심에서, DDP는 스텔라이미지에서, 컬러밸런스와 레벨,샤픈은 포샵에서)

모노CCD 촬영과 처리에 익숙해서인지...
모노+필터 시스템 보다 아직은 그닥 많이 편하지는 않은거 같습니다. ^^
아직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구요. 점점 나아지겠죠.
  • 황인준 2007.12.17 07:45 (*.105.86.73)
    가이더가 좋아 그런지 사진이 달라보이네요..^^
  • 전영준 2007.12.17 08:47 (*.138.203.2)
    호강한 QHY였네요..^^ 시원하게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제가 DSLR로 촬영한 이미지처리 방법과 거의 같네요...왔다리 갔다리 처리..^^ㅎㅎ
    DSLR에서는 이미지와 다크를 RAW로 찍어 convert RGB하고 채널별 분해이미지를 채널별분해한 다크이미지를 빼서 합성했더니 원본-다크 처리보다는 다소 좋아졌는데 이 QHY도 그렇게 적용이 될지 궁금해지네요.
    RGB변환값은 얼마로 주셨는지요?
  • 권기식 2007.12.17 09:18 (*.254.209.146)
    이야~ 정말 멋집니다....
    언젠간 제 손에 들려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이준화 2007.12.17 10:40 (*.215.84.182)
    초점이 잘 안맞았나요? 사진 좌측하단의 별은 좋아 보이는데 좌측상단, 우측 상,하단 별들이 조금 길쭉하기도하고, 부어있기도 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은 좋아보입니다. 밝은 대상 말고 QHY 로 촬영한 은하사진 한번 보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M51, M81, M82 ...
  • 유종선 2007.12.17 10:54 (*.155.187.4)
    가이더가 쥑여주네요... ㅋㅋ
    관심이 많이 가는 카메라인데... 요즘 김형석님의 사진으로저를 포함 많은 분들이 뽐뿌 많이들 받으시는것 같더군요.
    아주 어둔 부분까지 잘 나왔네요.
  • 김상욱 2007.12.17 10:58 (*.55.40.75)
    CCD는 온도 유지가 일정하게 되는지요? 다크프레임 처리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어두운 대상 찍어 달라는 이준화 교수님의 요청에 저도 한 표 던집니다.
  • 이건호 2007.12.17 12:26 (*.101.107.100)
    전영준선생님, RGB비율은 스텔라이미지에선 없더라구요. 맥심에서 하면 이상하게 되서 스텔라에서 했구요.
    따로 채널분해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준화교수님, 초점보단 플래트너 이격문제로 주변상이 날랐습니다. 그래서 좀 크롭했구요.

    김상욱교수님, 온도는 일정하게 되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온도 표시가 안되고 출력을 조정할 수도 없습니다. 걍 무조건 On Off만 가능합니다. 추가 전원 케이블을 꼽으면 On....
    다크,플랫 처리는 하지 않았구요. 핫픽셀 5개정도 보여서 포샵의 도장툴로 지웠습니다.

    다음에는 12인치로 은하를 찍어봐야 겠습니다.
  • 권기식 2007.12.17 13:03 (*.254.209.146)
    10분 노출에 핫픽셀 다섯개!!!
    그리고 냉각은 김형석님 글을 보니 2단계 냉각이 된다고 하신 것 같습니다.
    정말 어두운 대상에서 제 위력을 발휘할 것 같습니다...
    기대됩니다~
  • 유종선 2007.12.17 13:43 (*.155.187.4)
    저... 혹시 잘 몰라서 그러는데 이번에 사용하신 광학계의 F수가 어찌 되나요?
    한장 노출이 10분이면 짧지 않은 시간인데.. DSLR과의 감도 차이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 최승용 2007.12.17 17:22 (*.78.47.13)
    다크를 찍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거짓(?)이 아닌가 봅니다.
    마스타 다크를 빼보면 아주 많은 핫픽셀이 남더군요...^^
    더 좋아 보입니다.
  • 신범영 2007.12.17 17:25 (*.241.50.130)
    일단 성운사진에서는 경쟁력이 있어보이는데 별색이 모두 하얗게 나온 것이 금궁합니다.
    은하에서의 색상 재현력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 박정용 2007.12.17 18:54 (*.117.115.146)
    카메라도 좋아보이고.. 문제는 사진처럼 잘찍어야 하는데..^^
  • 김형석 2007.12.17 20:00 (*.225.69.16)
    CCD가 넘 좋은 장비들 사이에 쌓여있으니 주눅이 든듯합니다. ^_^
    저는 QE그래프를 봐서 B<R<G 순으로 감도가 높으니 맥심에서 대충 R:G:B=110:100:120정도로 합니다.
    이건호님이 정밀한 값을 찾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스텔라이미지 베이어 칼라 컨버팅하면 이상하게 그린영역이 높게 나타나는 듯해서...
    유종선님 감도는 gain값을 바꾸어 높일 수 있습니다. DSLR칩이니 iso값이겠네요.
    제 경우엔 10D, 8인치 반사로 찍은 M33보다 QHY8, 6인치반사로 찍은 M33의 디테일이 훨씬 나았습니다. ^^

  • 강문기 2007.12.17 20:14 (*.134.16.253)
    11000의 가이드를 받은 QHYccd, 행복했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많네요...
  • 임상균 2007.12.18 08:51 (*.177.245.50)
    새로운 CCD 네요. 좋아 보입니다.

  1. 오리온 대성운,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망원경/렌즈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RainbowAstro RST-400  필터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노출정보 : 패널 1 - L 600s x 22, 10s x 10(1x1bin), RGB each 600s x 14, 10s x 10...
    Date2017.02.13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325
    Read More
  2. 오리온 대성운과 러닝맨

    2007. 1. 25 삼랑진 천태공원 CH150(F5) w/ Paracorr EM-10B, Vixen 70S 반자동 가이드 EOS 5D ISO800, 316" + 155" + 322" Photoshop CS2 합성 및 처리 날이 맑아 부랴부랴 장비 들고 달려갔습니다. ^^ 별상이 아무리 해도 이쁘게 안 찍히네요. 광축 조정부...
    Date2007.01.27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248
    Read More
  3. 오리온 삼태성

    오리온자리 삼태성을 부근의 성운기 위주로 찍어보았습니다. 왼쪽 상단에 정체불명의 검은원이 있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컷에 따라 위치가 조금 다른 것도 있어서 센서에 뭐가 묻은 것은 아닌것 같고요. 촬영일시: 2010.01.12 23:21~25:48 촬영장소: 수피...
    Date2010.01.1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057
    Read More
  4. 오리온 삼태성 부근

    분위기 좋은 서천동 정관에서 회원님들과 맥주마시면서 여유롭게 한 컷했습니다. 캐논렌즈를 70mm로 세팅하여 순서대로 약 2시간 30분 촬영했습니다. 처음 해본 광시야가 또 다른 매력이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2011.12.26. 홍천군 내촌면 화상대리] Optis...
    Date2011.11.28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203
    Read More
  5. 오리온 성운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 = 3m x 3 9장 모자이크 RGB = 아래 황인준님 5D 이미지 해지고 어두워지자마자 맥심의 모자이크 기능을 이용해서 찍어봤습니다. 편하네요^^ 오른쪽 세컷 찍을 때 이상하게 잡광이 많이 ...
    Date2006.02.04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39
    Read More
  6. 오리온 성운 EOS 10D

    원래는 중심부분과 성운기를 함께 살린 사진을 올리려고 했었는데... 넘 어렵더군요. 그래서 우선 중심부분을 포기한 사진을 올립니다. 좀더 많이 찍을 걸... 하는 후회가 드는 사진입니다. 천문인 마을 04.01.24 orion8", EM200 TM, 10D FC 76반자동 가이드 ...
    Date2004.01.28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653
    Read More
  7. 오리온 성운 HA+OIII

    역시나 부족한 사진이지만 올려봅니다. 계속 배워나가야겠죠... 광명시, 04.10.02 Orion8"(f4.4) Em200 TM2jr ST-5C SX HX916 Ha 300 X 5장 10 X 10장, OIII 300 X 4장 10 X 5장 10D R + HaO3
    Date2004.10.03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375
    Read More
  8. 오리온 소성운(10D)

    정월 대보름 달 찍으로 옥상에 올라갔다가,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휘향 찬란한 달 옆의 딮스카이를 찍으면 어떻게 나올까 하는 장난기가 발동해 찍어본 사진입니다. 서울에서 5분 노출주니 온통 하얘서 30초로 줄이고, 2장 합성해 보았습니다. 그래도 ...
    Date2004.02.06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023
    Read More
  9. 오리온 좌의 머리..SAC Sh2 -264외

    촬영 일자 : 2008. 1. 2 저녁 8:00 ~ 11:00 촬영 장소 : 대전시 판암동 아파트 옥상.. 망원경 : 펜탁스 67 용 90mm 렌즈 - 적도의 : EM200 Guidescope : No touch 카메라 : STL - 6303 (-35도) 노출 : Ha 900sec x 5 Maxim합성후 중간만 crop 후 75% resize ....
    Date2008.0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26
    Read More
  10. 오리온 주변부, 펜탁스중형렌즈와 11k의 조합 테스트

    천체사진을 시작하면서부터 넓은 시야에 여러 대상들이 어우러져 있는 광시야 성야사진을 꼭 찍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장비도 그러하지만 사실, 화려한 딥스카이 사진에 진력하다보니 광시야 사진은 마음뿐이 아니었나 싶어요. 지난 별만세 정기관측회때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974
    Read More
  11. 오리온 중성운(300D)

    번개관측에서 300D 테스트로 찍은 사진입니다. MT-160 용 리듀서를 사용했고, 30초노출 raw 10장을 축소해서 저장후 maxim 에서 평균합성한후 포토샵에서 레벨,곡선,언샵등을 한 이미지 입니다. 주경을 원위치에서 접안부쪽으로 2.5cm 정도 이동하였고, 사경...
    Date2004.02.0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538
    Read More
  12. 오리온 중심

    예전에 촬영해봤던 영역인데 버나드루프가 다소 짤려 저번보다 노출도 길게 구도도 다시 잡았지만 관측지에서 오리온자리가 광해영역으로 접어들면서 저번보다 주변의 자글자글한 성운의 표현력이 좀 아쉽게 되었습니다. 광해로 이미지에 그라디에이션이 생기...
    Date2009.02.0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819
    Read More
  13. 오리온 중심부

    부산에 위치한 과학영재학교의 이경훈 선생님께서 빌려주신 토아 플래트너를 처음 사용해보았습니다. 제품 설명대로 TSA-102의 최고의 성능을 뽑아내어주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 써클이 조금 작은 것 빼고는 최고인 듯 하네요... ^^ 요즘은 TSA-102로 사진도 ...
    Date2010.01.19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350
    Read More
  14. 오리온 중심부

    2010. 11. 5 양산 하늘공원 C9.25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 baader narrowband filter R : S2(8nm) 180"×12 G : Ha(35nm) 30"×12 B : O3(8.5nm) 60"×12 중앙부 크롭 요즘 유독 안개가 심한데다 시잉도 생각보다 안좋네요. 게다가 아직도 리듀서가 ...
    Date2010.11.0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582
    Read More
  15. 오리온 중심부

    촬영 일시 : 2010.11.10, 2시 8분 ~ 3시 49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6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 미니보그50 (D=50mm, f=250mm) + 로지텍 퀵캠C30...
    Date2010.11.13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529
    Read More
  16. 오리온 중심부

    제목 : 오리온 중심부  망원경/렌즈 : William Optics WO-STAR71 (전면 65mm masking, D=65mm, f=350mm) 카메라 : Canon 6D (CentralDS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P2 노출정보 : 30초 X 6 + 2분 X 85 (ISO3200) 촬영장소 : 수피령 촬영일시 : 2014...
    Date2014.10.31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972
    Read More
  17. 오리온 중심부 (H-alpha + DDS Red and Blue)

    이번주 날씨가 웬지 요원한 것 같아서 아쉬우나마 해외 아마추어들이 하는 트렌드를 따라해봤습니다. 지난주에 제가 촬영한 H-alpha 데이터와 Digitized Sky Survey (DSS)의 컬러 데이터를 가져왔습니다. DSS는 Palomar 48-inch Schmidt Telescope로 오랜동안...
    Date2014.11.25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642
    Read More
  18. 오리온 중심부 광시야

    제목 : 오리온 중심부 광시야 망원경/렌즈 : W/O star71 카메라 : CDS-6D 마운트 : KENKO EQ6  필터 : LPS-P2 노출정보 : ISO1250 /  300sec * 34 / 10sec * 25/ Dark- 300sec * 15 / NO FLAT   촬영장소 :  김천 대덕면  촬영일시 : 2016. 11. 5  촬영후기 :...
    Date2016.11.15 CategoryNebula By김성엽 Views215
    Read More
  19. 오리온 칼 부분

    매년 찍어주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 부분을 올해도 역시나 찍어봤습니다. 2011년말~12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2568 2010년말~11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787 2009년말~10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332 2007년말~0...
    Date2013.02.1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163
    Read More
  20. 오리온 컬러

    낚시가 이런건가요? 모두들 낚이셨습니다. 흑백에 비해 상당히 삐리리해서 죄송합니다. 어제 바로 올리려 했지만 호스팅 업체 스토리지 한계에 도달했는지 업로드가 되지 않아 못올렸습니다. 바로 용량 확보해서 500M 정도 확보해놓은 상태지만 아직 불안 불...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142
    Read More
  21. 오리온 테스트샷~ (대성운, 말머리)

    QHY5 가이드캠을 구입하고서 몇 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1. QHY5로 딥스카이 촬영 QHY5를 받은 후 첫 출정에서 메인 카메라를 안가져가서 걍 찍어본 것이 위의 오리온입니다. 노터치라 흘렀지만 흐르지 않았다면 꽤나 쓸만할 것 같단 생각이 드는 카메...
    Date2008.02.01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737
    Read More
  22. 오리온 트라페지움

    2010. 9. 24 양산 하늘공원 C9.25 GPD-ss2kpc astro400D baader ha 35nm iso1600 30s×12 중앙부 크롭 아직 리듀서 준비도 안되었고, 가이드 시스템이 완성되지 않아 목성과 달 촬영, 비축가이드 테스트차 하늘공원으로 갔습니다. 행성촬영을 제대로 해보려하...
    Date2010.09.25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886
    Read More
  23. 오리온 흑백

    컬러 이미지 올리기 전에 떡밥 투척합니다.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14
    Read More
  24. 오리온&말머리 성운

    크리스마스날 하늘이 하도 눈이 시려워서 마음은 콩밭이라 낮에 집사람과 애들한테 아양떨고 겨우 꼬셔서 별마실 다녀왔습니다.^^ 5D에 EF200 2.8인데 노터치 3분 으로 찍어보니 가운데는 그럭저럭인데 주변부는 날르네요.이것도 마스킹해서 F4정도로 해야하...
    Date2008.12.27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59
    Read More
  25. 오리온-QHY8

    받아 놓은지 꽤 오래된 CCD를 테스트하러 주말에 천문인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중국산의 QHY8, 원샷 냉각 컬러 CCD 카메라인데, 김형석님이 리뷰에서 잘 써 놓았듯이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괜찮은? 녀석으로 보입니다. 오리온 대성운 AP130EDF, EQ1200GTO, ...
    Date2007.12.1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19
    Read More
  26. 오리온......대삼태성 + 소삼태성

    4컷stack x 3매 모자익했습니다. 200mm F2.4 3분노출,개조300d 촬영지:전북 장수 아래 올려진 말머리부분 사진에 덧붙여 만들었습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136
    Read More
  27. 오리온과 말머리

    The Orion Nebula Telescope: SDT80 (80mm F6) / 2.5inch Field Flattner Camera: CentralDS Cooled 6D (http://www.centralds.net/) Filter: IDAS LPS-P2 Mount: CRUX 170HD (http://www.hobym.net/hobym-observatory) Exposure: 5min x 20 (ISO 3200) Locati...
    Date2017.02.0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309
    Read More
  28. 오리온대성운

    대작에 이어 올리려니...ㅠㅠ 제사진은 대성운도 아닌듯 합니다. 박대영선배님과 어제 양평에서 간단한 관측번개에서 몇 장 찍은 사진 중 올려봅니다. 디카로 필름스런 느낌을 내보려는데 이도저도 아닌 색이 되버렸습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1일(새벽) ...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41
    Read More
  29. 오리온대성운

    시상이 정말 안 좋더니 새벽이 되서야 좋아지는것 같습니다. 요즘 FSQ에 재미들려서.... FSQ106ED + STL11000M 별마실관측소 2007-12-13일 L:300s*10장 RGB:300s*각3장
    Date2007.12.17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91
    Read More
  30. 오리온대성운

    역시 지난 주 금요일 호빔천문대에서 e180ED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트라페지움을 살리기 위해 단노출 촬영도 했는데 전 그냥 지금처럼 보이는게 좋습니다. ^^ Optics: Takahashi e180ED Mount: Pentax MS4 w/Anygoto Camera: QHY8 Guider: Canon FD300 2.8L w...
    Date2008.11.26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569
    Read More
  31. 오리온대성운

    오랜만에 포스팅 해봤습니다. qhy8로 바꾼 후 첫 촬영이니만큼 준비해야 될 것들이 눈에 보입니다. 성애가 우하방향에 낍니다. 세시간 이상 냉각을 시키니 많이 없어지기는한데, 새로나온 건조박스를 구매해야 속이 시원할 듯 합니다. 성애로 크롭했습니다. ...
    Date2009.11.19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636
    Read More
  32. 오리온대성운

    노출을 20분씩 끊었더니 M42 중앙부는 완전히 타버리네요. 중앙은 포기하고 주변만 살려보았습니다. 촬영 매수가 작아 사진이 좀 거칩니다. 촬영일시: 2009.11.18. 3:03~4:24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2도 망원경: William Optics Zenithstar 70ED + Borg 0....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