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12.17 01:40

오리온-QHY8

(*.97.226.8) 조회 수 2119 추천 수 225 댓글 15


받아 놓은지 꽤 오래된 CCD를 테스트하러 주말에 천문인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중국산의 QHY8, 원샷 냉각 컬러 CCD 카메라인데, 김형석님이 리뷰에서 잘 써 놓았듯이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괜찮은? 녀석으로 보입니다.

오리온 대성운
AP130EDF, EQ1200GTO, 가이드는 STL11000M
10분 4장 합성
(촬영은 맥심에서, 컬러변환은 스텔라이미지에서, 4장 합치기는 다시 맥심에서, DDP는 스텔라이미지에서, 컬러밸런스와 레벨,샤픈은 포샵에서)

모노CCD 촬영과 처리에 익숙해서인지...
모노+필터 시스템 보다 아직은 그닥 많이 편하지는 않은거 같습니다. ^^
아직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구요. 점점 나아지겠죠.
  • 황인준 2007.12.17 07:45 (*.105.86.73)
    가이더가 좋아 그런지 사진이 달라보이네요..^^
  • 전영준 2007.12.17 08:47 (*.138.203.2)
    호강한 QHY였네요..^^ 시원하게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제가 DSLR로 촬영한 이미지처리 방법과 거의 같네요...왔다리 갔다리 처리..^^ㅎㅎ
    DSLR에서는 이미지와 다크를 RAW로 찍어 convert RGB하고 채널별 분해이미지를 채널별분해한 다크이미지를 빼서 합성했더니 원본-다크 처리보다는 다소 좋아졌는데 이 QHY도 그렇게 적용이 될지 궁금해지네요.
    RGB변환값은 얼마로 주셨는지요?
  • 권기식 2007.12.17 09:18 (*.254.209.146)
    이야~ 정말 멋집니다....
    언젠간 제 손에 들려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이준화 2007.12.17 10:40 (*.215.84.182)
    초점이 잘 안맞았나요? 사진 좌측하단의 별은 좋아 보이는데 좌측상단, 우측 상,하단 별들이 조금 길쭉하기도하고, 부어있기도 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은 좋아보입니다. 밝은 대상 말고 QHY 로 촬영한 은하사진 한번 보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M51, M81, M82 ...
  • 유종선 2007.12.17 10:54 (*.155.187.4)
    가이더가 쥑여주네요... ㅋㅋ
    관심이 많이 가는 카메라인데... 요즘 김형석님의 사진으로저를 포함 많은 분들이 뽐뿌 많이들 받으시는것 같더군요.
    아주 어둔 부분까지 잘 나왔네요.
  • 김상욱 2007.12.17 10:58 (*.55.40.75)
    CCD는 온도 유지가 일정하게 되는지요? 다크프레임 처리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어두운 대상 찍어 달라는 이준화 교수님의 요청에 저도 한 표 던집니다.
  • 이건호 2007.12.17 12:26 (*.101.107.100)
    전영준선생님, RGB비율은 스텔라이미지에선 없더라구요. 맥심에서 하면 이상하게 되서 스텔라에서 했구요.
    따로 채널분해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준화교수님, 초점보단 플래트너 이격문제로 주변상이 날랐습니다. 그래서 좀 크롭했구요.

    김상욱교수님, 온도는 일정하게 되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온도 표시가 안되고 출력을 조정할 수도 없습니다. 걍 무조건 On Off만 가능합니다. 추가 전원 케이블을 꼽으면 On....
    다크,플랫 처리는 하지 않았구요. 핫픽셀 5개정도 보여서 포샵의 도장툴로 지웠습니다.

    다음에는 12인치로 은하를 찍어봐야 겠습니다.
  • 권기식 2007.12.17 13:03 (*.254.209.146)
    10분 노출에 핫픽셀 다섯개!!!
    그리고 냉각은 김형석님 글을 보니 2단계 냉각이 된다고 하신 것 같습니다.
    정말 어두운 대상에서 제 위력을 발휘할 것 같습니다...
    기대됩니다~
  • 유종선 2007.12.17 13:43 (*.155.187.4)
    저... 혹시 잘 몰라서 그러는데 이번에 사용하신 광학계의 F수가 어찌 되나요?
    한장 노출이 10분이면 짧지 않은 시간인데.. DSLR과의 감도 차이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 최승용 2007.12.17 17:22 (*.78.47.13)
    다크를 찍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거짓(?)이 아닌가 봅니다.
    마스타 다크를 빼보면 아주 많은 핫픽셀이 남더군요...^^
    더 좋아 보입니다.
  • 신범영 2007.12.17 17:25 (*.241.50.130)
    일단 성운사진에서는 경쟁력이 있어보이는데 별색이 모두 하얗게 나온 것이 금궁합니다.
    은하에서의 색상 재현력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 박정용 2007.12.17 18:54 (*.117.115.146)
    카메라도 좋아보이고.. 문제는 사진처럼 잘찍어야 하는데..^^
  • 김형석 2007.12.17 20:00 (*.225.69.16)
    CCD가 넘 좋은 장비들 사이에 쌓여있으니 주눅이 든듯합니다. ^_^
    저는 QE그래프를 봐서 B<R<G 순으로 감도가 높으니 맥심에서 대충 R:G:B=110:100:120정도로 합니다.
    이건호님이 정밀한 값을 찾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스텔라이미지 베이어 칼라 컨버팅하면 이상하게 그린영역이 높게 나타나는 듯해서...
    유종선님 감도는 gain값을 바꾸어 높일 수 있습니다. DSLR칩이니 iso값이겠네요.
    제 경우엔 10D, 8인치 반사로 찍은 M33보다 QHY8, 6인치반사로 찍은 M33의 디테일이 훨씬 나았습니다. ^^

  • 강문기 2007.12.17 20:14 (*.134.16.253)
    11000의 가이드를 받은 QHYccd, 행복했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많네요...
  • 임상균 2007.12.18 08:51 (*.177.245.50)
    새로운 CCD 네요. 좋아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270 Nebula Eta Carinae, Running Chicken Nebula Wide Field 3 file 2017.07.14 18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69 Nebula Eta Carinae Nebula (NGC 3372) 6 file 2016.08.18 175 이준화 joonhwa 이준화
268 Nebula Eta Carinae Nebula 4 file 2017.07.04 250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67 Nebula Eta Carinae Nebula 2 file 2019.07.10 22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66 Nebula Eta Carina nebular(ngc3372) 5 file 2013.08.14 687 조용현 zztop 조용현
265 Nebula Eta Carina Nebula 11 file 2006.12.03 154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64 Nebula Eta Carina Nebula 1 file 2020.11.10 10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63 Nebula Eta Carina 22 file 2006.11.26 141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62 Nebula Eskimo~ and Medusa N test~ 13 file 2006.11.03 136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61 Nebula Eskimo nebula(ngc2392) 10 file 2016.03.11 182 김태환 omnibus 김태환
260 Nebula Eskimo ( NGC 2392 ) 12 file 2007.10.21 1625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59 Nebula Eskimo 8 file 2016.02.04 104 김태환 omnibus 김태환
258 Nebula Epsilon210 Rosette Nebula 1 file 2019.01.18 154 권한조 khdd97 권한조
257 Nebula EOS 5D Mark II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5 file 2008.12.28 1281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256 Nebula EOS 5D Mark II로 찍은 M45입니다. 4 file 2008.12.27 1363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255 Nebula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5 file 2008.12.19 1405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254 Nebula Embryo nebula_051203 10 file 2005.12.04 1052 박대영 youngst 박대영
253 Nebula Elephant Trunk file 2017.05.01 127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52 Nebula Eastern Veil Nebula 14 file 2008.05.15 202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51 Nebula Eastern segment of Veil Nebula (NGC6992-6995) 17 file 2008.06.15 193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250 Nebula ddp를 적용한 캘리포니아.. 9 file 2006.11.26 1126 최훈옥 oioigs 최훈옥
249 Nebula Dark nebula 3 file 2014.05.29 669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248 Nebula Dark .. Antares.. Dark blue horsehead file 2013.04.25 83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47 Nebula D3- TEst shot : Cygnus , M16 & 17 4 file 2008.08.30 187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46 Nebula D3 TEst - M8 and M20 5 file 2008.08.31 168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45 Nebula Cygnus주변부 8 file 2008.05.12 1549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44 Nebula Cygnus Wall Narrowband Bi-color 6 file 2016.09.01 143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3 Nebula Cygnus Wall 4 file 2016.10.26 120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2 Nebula Cygnus Loop (SNR) - Veil Nebula (NGC 6960, NGC 6992...) | 3 file 2016.08.05 203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1 Nebula Cygnus Loop 10 file 2015.09.15 206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0 Nebula Cygnus Loop 3 file 2020.09.29 20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9 Nebula Crescent Nebula file 2004.09.12 1192 김형석 halpon 김형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