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11.09 02:12

071920-IC443

(*.189.54.203) 조회 수 1441 추천 수 146 댓글 14




촬영일: 2007년 10월 20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kai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R : 120m(1x1)
G : 30m(2x2)
B : 30m(2X2)
L : 20m(1x1)

지난 20일 촬영된 해파리 입니다.
안산하늘에서 찍기엔 맞지않은 대상이더군요.
어둡고, 화면도 거칩니다.
Ha 필터를 장만해서 다시 도전해 보고싶습니다.
  • 도영재 2007.11.09 08:16 (*.107.130.121)
    으...제가작업항 해파리는 보이질 않아서 투명해파리입니다.^^
    대부도에서 어두운대상을 잘 잡으셨습니다.
    해파리가 담배피우듯 뿜어내는 부분도 나타났군요.^^
  • 김삼진 2007.11.09 08:59 (*.33.87.81)
    대부도에서 못찍는것이 없어 보입니다.멋집니다.^^
  • 전영준 2007.11.09 09:09 (*.138.203.2)
    머리와 촉수가 하늘하늘 잘 보이는 멋진 이미지네요..부럽습니다..^^
  • 최승용 2007.11.09 09:18 (*.78.47.13)
    볼 때부터 멋있었는데 역시 이미지로 완성된 작품도 일품이네요.
    떠나 보내기 위한 마지막 잎새였나...^^
  • 서길원 2007.11.09 09:58 (*.78.73.202)
    어두운 대상을 잘도 찍으시네요 사진 멋집니다~
    근데 의문점 하나가 있는데 R을 1비닝으로 찍으셨는데 합성을 어떤 식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선숙래 2007.11.09 10:01 (*.120.132.187)
    산뜻하다고 표현해야 하나요?
    입체감도 뛰어나고요.
    사진을 코팅하고 올린 것 같습니다.
  • 유종선 2007.11.09 10:05 (*.155.187.117)
    징글 징글.. 자글자글... 정말 대단한 이미지네요. 해파리 머리에 연기나네요 ^^
  • 강문기 2007.11.09 11:10 (*.132.58.21)
    실로 대단합니다. 대부도에서도 이런 세밀하고 어두운 부분들이 잡히는군요
  • 고창균 2007.11.09 12:38 (*.246.155.66)
    벌써 해파리의 계절이군요. 전 스파이더의 재질이 궁금합니다. 멋진 사진입니다.
  • 김일순 2007.11.10 21:28 (*.160.109.88)
    해파리 잘 빠졌네요..
    에치알파 하나 장만하셔서 붉은 성운들은 완전히 보내버리시는데 대 찬성입니다.
  • 임재식 2007.11.11 17:29 (*.229.167.151)
    포인트가 다섯시 방향의 별인 듯합니다.^^
  • 김형석 2007.11.12 18:26 (*.138.213.2)
    이런 사진 보고 있노라면 조금 무섭습니다. ^^
    노멀필터로도 이 정도라니 대단하십니다.
  • 이건호 2007.11.13 12:35 (*.101.107.100)
    언능 Ha 필터 구입하셔요.
    근데 잘찍혀서 Ha 사진인줄 알았다구요.
  • 신범영 2007.11.13 17:28 (*.241.50.130)
    R,G,B만 가지고 대단합니다.
    Ha가 따로 필요 없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975 Nebula 070113-M101 12 file 2007.02.06 1430 박정용 dipblue 박정용
974 Nebula ngc7000 10 file 2007.06.17 143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973 Nebula IC 405 11 file 2007.11.26 143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72 Nebula IC1848 (태아성운) 3 file 2011.10.10 143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971 Nebula 071008_m45 13 file 2007.10.09 1437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70 Nebula 110530_ngc7822_Mongol_1 8 file 2011.06.23 1437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69 Nebula M20 - 삼렬성운(Trifid Nebula) 13 file 2006.04.08 1438 김일순 arame 김일순
968 Nebula 추석의 오리온 대성운 6 file 2007.09.26 1438 권기식 orion96 권기식
967 Nebula ic410 주변 6 file 2007.12.14 143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966 Nebula 마차부자리 IC405 5 file 2010.11.09 143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965 Nebula IC443 [Jelly Fish Nebula] 5 file 2011.11.04 1438 이광호 lfo2910 이광호
964 Nebula Rosette nebula, NGC2237 11 file 2004.01.28 143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63 Nebula M57 5 file 2007.05.01 1439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62 Nebula 감마 시그니 5 file 2006.11.22 1440 박현권 alexken 박현권
961 Nebula 해파리 성운 10 file 2007.11.20 1440 최훈옥 oioigs 최훈옥
960 Nebula 마두 12 file 2007.12.06 1440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959 Nebula NGC6888 6 file 2010.05.27 1440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58 Nebula 101102_ngc2237 5 file 2010.11.03 1440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57 Nebula 버블성운 3 file 2011.08.29 1440 이광호 lfo2910 이광호
» Nebula 071920-IC443 14 file 2007.11.09 1441 박정용 dipblue 박정용
955 Nebula IC1848 in Cassiopeia 8 file 2008.11.11 1441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954 Nebula 말머리 15 file 2006.11.28 1443 지승용 syji2000 지승용
953 Nebula SH2-261 11 file 2010.01.08 144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952 Nebula 말머리 & 불꽃성운 습작 7 file 2011.11.28 1444 김광욱 applewo 김광욱
951 Nebula 오리온성운 6 file 2003.12.24 1448 김영혜 qzero1 김영혜
950 Nebula IC2177, M46,47 3 file 2009.12.21 1449 장승혁 offaxis 장승혁
949 Nebula NGC7129 & NGC7142 5 file 2011.06.20 144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48 Nebula 해파리... 6 file 2009.02.01 1450 최훈옥 oioigs 최훈옥
947 Nebula [필름] NGC6334 + NGC6357 (Cat's Paw) 5 file 2005.03.23 1451 이준희 ljunhee98 이준희
946 Nebula 해파리성운(IC443) 7 file 2008.12.26 1451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945 Nebula VDB142 in IC1396 3 file 2010.10.07 1451 김광욱 applewo 김광욱
944 Nebula 버블성운 10 file 2003.12.15 1452 김영혜 qzero1 김영혜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