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09.09 21:25

메로페성운

(*.117.113.231) 조회 수 2328 추천 수 263 댓글 10


오랜만의 촬영이었습니다.  준비되지 않은, 갑작스럽게 결정한 관측이었지만 모처럼 맑은 날이었습니다.

장소: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촬영일: 2007년 9월 8일
망원경: GSO 8" 뉴턴식(F/4) w/Vixen Coma Corrector
마운트: Takahashi NJP w/FS2
카메라: Starlight-Xpress SXV-H9 CCD
가이더: Pentax 75EDHF II w/Meade DSI
노출: 150분(L: 5분x14, R: 5분x6, G: 5분x4, B: 5분x6)
  • 고창균 2007.09.10 08:39 (*.246.155.66)
    오랜만에 푸른색 성운을 보는군요. 대단하십니다.
    스파이더의 한 축이 두 가닥인건 마주보는 축이 미세하게 틀어졌기 때문인가요?
  • 이상헌 2007.09.10 09:15 (*.107.191.236)
    눈이 부시게 푸르른 빛이 멋집니다!!!!!
  • 박성준 2007.09.10 09:36 (*.219.33.36)
    월욜 아침부터 매우 눈부십니다...
  • 지승용 2007.09.10 10:04 (*.93.126.96)
    아니 벌써 플라이아데스가? 눈부신 사진이군요. 선글라스 끼고 봐야겠습니다.
  • 이건호 2007.09.10 12:44 (*.101.107.100)
    우와~ 쭉쭉 갈라지는 별빛이 환상이네요!!!
  • 유종선 2007.09.10 23:09 (*.75.228.93)
    정말 눈부시게 빛나는 별과 사이로 휘감기는 성운이 정말 멋집니다.
    바야흐로 겨울이 다가오는군요... 올해는 정말 이놈을 패대기 한번 쳐봐야 겠습니다.
  • 신범영 2007.09.11 10:28 (*.241.50.130)
    한겨울에 찍은 플레이아데스보다도 멋지네요.
    Starlight-Xpress SXV-H9 CCD는 국내 유저가 많지 않은 것 같은데 이미지가 참 좋습니다.
  • 박대영 2007.09.11 13:31 (*.107.223.40)
    SXV-H9은 노이즈가 특히 적은 CCD 같습니다. 다크를 거의 찍지 않아도 되니까요. 위 사진도 물론 다크를 찍지 않았습니다.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이미지처리를 다시 한다면 밝은 별상을 좀더 줄이고 메로페성운을 더 강조할 수도 있을텐데..바쁘기도 하고 귀차니즘도 있고..그렇네요..^^ SBIG CCD가 내장가이더도 있고 여러모로 편리해서 많이들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유저가 많다는 건 그만큼 선택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따라가기 쉬운 점도 있고 그래서 더욱 편중현상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만일 누군가가 2000XM을 사는게 좋으냐 SXV를 사는게 좋으냐고 묻는다면 전 두말없이 SXV를 사라고 말할것 같습니다.
  • 김삼진 2007.09.12 07:28 (*.33.87.81)
    프르른 빛이 날씨는 가을이 아닌데 가을은 가을인가봅니다.멋집니다.
  • 박정용 2007.09.18 01:39 (*.189.54.203)
    흐미~~~
    별빛이 혼을 쏙 빼놓습니다.
    요로코롬 강열한 별 빛은 보딜딜 못하였습니다.^^
    정말 멋집니다.

  1. by 도영재

    가을2...m45 5 file

  2. by 박대영

    메로페성운 10 file

  3. by 고창균

    소금 얻으러 가요! Sh2-129 11 file

  4. by 고창균

    밤하늘 등대, Ced 214 10 file

  5. by 고창균

    태아성운, IC1848 12 file

  6. by 권기식

    NGC7635 9 file

  7. by 황인준

    NGC 3576 and 3603 in Carina (Ha) 9 file

  8. by 고창균

    캘리포니아성운, ngc1499 11 file

  9. by 고창균

    ic 1805 14 file

  10. by 권기식

    M27 - 먹다 버린 사과 9 file

  11. by 변성식

    IC 1396 8 file

  12. by 박대영

    펠리칸성운 13 file

  13. by 변성식

    IC 4603 13 file

  14. by 김일순

    NGC6992 & NGC6960 - Veil Nebula 13 file

  15. by 고창균

    한없이 아쉬운 화각, IC1396 11 file

  16. by 김삼진

    M-17 10 file

  17. by 김일순

    NGC7000 & IC5067,70 - North America & Pelican Nebula 12 file

  18. by 지승용

    M8 석호성운 7 file

  19. by 김일순

    M20 - Trifid Nebula 10 file

  20. by 박정용

    070617-M8 9 file

  21. by 김일순

    NGC6888 - Crescent Nebula 17 file

  22. by 이건호

    IC1396 (VDB142) 22 file

  23. by 황인준

    NGC6914 17 file

  24. by 이상헌

    안타레스 주변부 14 file

  25. by 변성식

    B72 주변부 12 file

  26. by 김일순

    M8 & M20 - Lagoon & Trifid Nebula 16 file

  27. by 고창균

    M52 부근 12 file

  28. by 이건호

    M8 M20 부근 14 file

  29. by 황인준

    NGC7380 18 file

  30. by 김삼진

    NGC-6960베일성운 7 file

  31. by 지승용

    NGC6960 One shot 10 file

  32. by 선숙래

    펠리칸 성운 11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