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6.11.20 15:13

ngc2174

(*.246.85.194) 조회 수 1285 추천 수 149 댓글 10






||1[촬영정보]
Pentax 125SDP (+ reducer, F4.9)
NJP Temma pc + STV autoguide
Canon EOS 5D (w/o LPF, w/lps-p2)
2006-11-18
경상북도 소백산 언저리, 문드래미산장
ISO 1000, 7min * 11장 (darkflat 4장, 총 15장, 105min)
darkflat처리, 맥심에서 average합성, 포토샵 보정

지난 토요일 장미와 함께 소백산 문드래미 산장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거의 박명 시간 얼마 안남기고 찍기시작한거라  노출을 충분히 주지 못했습니다.
소구경 굴절과 디카, 짧은 노출인 점을 감안하면 그런대로 마음에 조금 듭니다.
디카로 너무 욕심내면 탈나겠지요?

맨 아래는 제 5인치굴절과 5D의 풀 사이즈 크기입니다.
가로 3도, 세로 2도 정도입니다.
그리고 NADA 홈피에 원숭이 7마리가 살고 있었더군요. 원숭이 한마리 더 추가요!
디카원숭이로는 두번째구요.
  • 신병석 2006.11.20 17:13 (*.208.80.4)
    전.. CCD로 찍은줄 알았습니다.
    확대가 되어서도 별상이 똘망똘망하니 멋있네요..
    Dark처리는 어찌하시는지.. 디카는 온도가 일정치가 않아서
    잘못빼면 검은 반점이 얼룩덜룩해지던데요..
  • 고창균 2006.11.20 17:47 (*.7.236.149)
    아, dark는 김일순샘의 노하우를 빌어 이렇게 찍고 있습니다.
    우선 촬영 대상 주변의 빈 하늘(가급적 밝은별이 없는)을 같은 감도와 같은 노출로 4장 정도 찍습니다.
    포토샵에서 100% darken으로 합성하여 메인darkflat 이미지를 만듭니다.
    이 이미지를 대상이미지에서 빼줍니다. (모든 이미지에 적용) dark와 flat을 한꺼번에 빼주는 격이 됩니다.
    그런 다음 맥심에서 합성하고, 포샵에서 손질합니다.
    아직 한번도 검은 반점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cmos 표면에 붙어있던 먼지나 잡티들도 함께 제거되니 좋더라구요.
    지적하신대로 온도차에 의한 변화를 줄이기 위해 이 다크플랫이미지는 처음 대상과 두번째 대상 촬영 중간에 찍어둡니다.
    반드시 시간을 할애해서 찍어두지 않으면 안되겠더군요. 다크플랫을 뺀것과 안뺀것의 차이가 극명하거든요.
    좋은 개선점 있으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 최승용 2006.11.20 17:57 (*.78.47.14)
    그런 팁이 있군요.
    전 CCD에서도 다크를 일괄로 빼주어도 어떤 이미지들은 핫픽셀이 살아 있더군요.
    이런 것들이 모여서 검은 점들이 되지는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나저나 이미지는 다른 카메라가 부럽지 않군요.
  • 송준엽 2006.11.20 18:21 (*.166.238.132)
    위의 빈하늘 4장을 찍으실때 조금씩 움직여 가면서 겹치지 않도록 찍으셔야 한답니다~ How To 게시판에서~ ^^
  • 송준엽 2006.11.20 18:24 (*.166.238.132)
    밤하늘에 저런 것들이 있다는게 전 아직도 안 믿겨져요 ㅎㅎㅎ 제 손으로 찍오본 적이 엄서서~~~ ㅠ.ㅠ
  • 유종선 2006.11.20 18:45 (*.78.30.95)
    일본의 어느 작가는 다크 플랫을 제거하는사진을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10여장 이상 찍더군요... ㅡㅡ;

    전 거의 다크 플랫을 찍지 않아 왔습니다. 전에 감산후 합성했더니 오히려 이미지 품질이 나빠지는듯 했었던 경험이 있어서요..
    그러나 찍는 것이 좋을 것으로는 늘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가능한한 찍어야 겠습니다. ^^

    몽키구름... 소구경의 굴절이미지로서는 최상인듯합니다.
  • 김삼진 2006.11.20 21:07 (*.8.174.46)
    시원스런 화각으로 손오공이 나왔습니다.지대로 감상 잘하고 갑니다.
  • 김일순 2006.11.21 10:17 (*.249.247.36)
    굴절에 스파이더를 달아 찍어서 색다른 느낌입니다.
  • 신범영 2006.11.21 10:43 (*.241.50.130)
    소백산에 원숭이가 살고 있는 줄은 몰랐는데...
    멋진 놈으로 한마리 잡으셨네요.^^
  • 이상헌 2006.11.21 13:34 (*.153.213.239)
    윙크하는 예쁜 원숭이 얼굴입니다.^^ 다음에 저도 원숭이 한마리 잡아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847 Nebula ST-4000XCM으로 찍은 오리온 대성운 2 file 2008.02.05 1966 권기식 orion96 권기식
846 Nebula Tadpoles Nebular (IC 410)...올챙이성운 3 file 2013.01.09 808 조용현 zztop 조용현
845 Nebula The California Nebula, NGC1499 7 file 2020.01.03 520 공양식 rima2000 공양식
844 Nebula The Carina nebula, NGC 3372 15 file 2006.02.28 881 이준화 joonhwa 이준화
843 Nebula The Dark Tower Of Scorpius 2 file 2016.09.23 5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42 Nebula The Great Orion Nebula 4 file 2021.01.21 229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841 Nebula The Heart Nebula 7 file 2011.09.04 158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40 Nebula The Helix Nebular 4 file 2010.10.10 1600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9 Nebula The Iris nebular, ngc7023 5 file 2010.10.19 1701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8 Nebula The Jellyfish nebula 4 file 2012.01.31 106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7 Nebula The Lagoon Nebula M8 1 file 2003.04.07 2750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836 Nebula The Merak & Friends 1 file 2013.01.17 1009 이광호 lfo2910 이광호
835 Nebula The North America Nebula - NGC7000, 2003년 6월 1일 4 file 2003.06.02 2512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834 Nebula The Rosette Nebular 2 file 2010.10.17 1503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3 Nebula The Seagull nebula 2 file 2012.02.12 1225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2 Nebula The witch head nebula (IC2118, 마녀머리성운) 5 file 2011.10.07 155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831 Nebula Thor's Helmet Bubble nebular (ngc2359)_2013년 서천동 마지막 정관에서... 2 file 2013.12.31 890 조용현 zztop 조용현
830 Nebula Thor's Helmet NGC2359 17 file 2007.12.11 1651 유종선 swent 유종선
829 Nebula Thor`s Helmet(NGC2359) 4 file 2006.12.25 1253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28 Nebula Thor`s helmet(NGC2359) 2 file 2009.01.03 176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827 Nebula Trapezium in M42 3 file 2003.10.27 194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26 Nebula Tulip Nebula 1 file 2024.05.18 2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25 Nebula uhc & 원샷냉각ccd 테스트 3 file 2006.04.01 1134 도영재 samdo3 도영재
824 Nebula V1647 Ori.... 2 file 2006.01.05 900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823 Nebula V1647 Orionis / McNeil 성운 file 2006.01.27 969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822 Nebula vDB 141 Ghost Nebula 4 file 2016.11.09 139 박성준 einpark 박성준
821 Nebula VDB 142, IC1396 3 file 2011.06.18 152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20 Nebula VDB 152 12 file 2007.12.29 2101 김일순 arame 김일순
819 Nebula VDB 152 9 file 2010.11.09 151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18 Nebula vdB 152 in Cepheus 3 file 2012.01.11 846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17 Nebula vdb141 Ghost nebula 2 file 2018.10.10 180 정병준 xuranus 정병준
816 Nebula Vdb142 7 file 2005.09.01 129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