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6.03.30 01:04

IC443 - 해파리성운

(*.160.109.75) 조회 수 987 추천 수 93 댓글 14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3

꼭 찍어 보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어두운 대상인지라 반신반의 하며 촬영을 하였는데 운 좋게도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역시 사선노이즈가 나타났습니다. 원인이 뭔지...이 노이즈를 제거하는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화각이 철철 넘쳐서 집어 넣느라 씨름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
  • 신범영 2006.03.30 01:26 (*.115.18.125)
    붉은 색 해파리가 역동적입니다.
    누드의 위력이 느껴집니다.^^.
  • 전영준 2006.03.30 08:36 (*.1.184.2)
    어두운 대상을 기가막히게 참 잘 찍으셨네요..
    밴딩노이즈패턴인지...제350D에서는 못봤던 노이즈라....
  • 최승용 2006.03.30 08:55 (*.255.146.6)
    350D가 제 2000xm보다 잘 찍히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대구경과 dslr의 위력이 아닐까 합니다.
  • 김승남 2006.03.30 11:06 (*.115.48.210)
    350D가 제 2000xm보다 잘 찍히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대구경과 dslr의 위력이 아닐까 합니다. 2

    ㅠㅗ ㅠ
  • 선숙래 2006.03.30 12:38 (*.120.130.71)
    CCD 구입하실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
    모아두신 자금으로 ~~~뭘 할까요?
  • 신병석 2006.03.30 12:56 (*.208.80.4)

    정말 김일순님의 사진들은 CCD로 찍은 사진보다 좋습니다.
    화각을 생각하면.. 5D를 사서 필터를 떼면.. 딱일것 같습니다.
  • 김일순 2006.03.30 13:38 (*.249.247.36)
    그날 날이 청명했던 것이 한 몫을 한 것 같습니다. ㅎㅎ
    넓은 대상은 리사이즈하고 하다보면 작게 볼때 괜찮게 나오는데-1:1로 보면 눈뜨고 보기가...- 은하 같은 것을 찍으려고 생각하다보니 CCD외에는 답이 없을 듯해서요...
    5D는 넓어서 좋기는 한데... 그렇게 되면 사진의 주변부에 수차도 더 심하게 보여질 것이고... 비네팅도 더....
    요즘은 지름신이 강림을 하실려는 듯 이것 저것 고심중입니다.
  • 유종선 2006.03.30 13:59 (*.78.29.97)
    포기하고 있었던 대상입니다. 이렇게 찍어내시는 것을 보니 일단 도전은 해볼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내년에는 꼭 찍어보고 싶습니다.
    정말 환상적인 멋진 사집니다.
    그리고 노이즈가 잘 보이지 않는데 어떤 노이즈를 말씀하시는지...
    혹시 전에 저도 플랫을 빼고난니 노이즈가 생기던데 혹시 그런 이유는 아닐지요... ?
    그래서 그때 플래 빼지 않고 그냥 합성하면서 노이즈가 사라진적이 있었습니다.
    이거... 얼떨리우스 이야기 아닌가 싶기도합니다만... ^^;;;
  • 김영혜 2006.03.30 14:24 (*.64.143.233)
    김일순씨 완전 초고수급이네요...
    멋집니다.^^; 부럽습니다.
  • 이건호 2006.03.30 23:41 (*.112.119.18)
    정말 좋군요..
    11K처럼 DSLR도 리사이즈의 위력이란 말씀이신가요 흑흑.
  • 남명도 2006.03.31 10:00 (*.153.213.190)
    우와 엄청난 사진이군요. 완죤, 해파리 "여권사진"입니다.
  • 이경화 2006.03.31 14:13 (*.147.235.45)
    초신성잔해들은 우리에게 참 황홀감을 주는것같아요. 베일도 게성운도 아스라함이 느껴지잖아요.
    좋은망원경 만나시고 dslr로 좋은작품 연이어 보여주시는데, 쫌 오래있으시다 ccd로 가시죠.
    창우씨처럼 금방 가시지말고. 그때 너무 서운했습니다. 근데 그렇게 안되는가봐요..
  • 김일순 2006.03.31 16:45 (*.249.247.36)
    유종선님 저도 비슷한 경험을 여러번 했습니다. 어떤 때는 플랫 안 빼는 것이 노이즈(특히 규칮적인 패턴의 사선으로 생기는 노이즈)가 적었던 적이...
    김영혜님... 건강하세요... 넘넘 반갑습니다. 기쁨의 눈물 T.T
    건사마님 11k에 비하면 조족지혈에 지나지 않습니다요. ^^
    남명도님.. 근데 여권사진이 좀 티미해서요.. ^^
    이경화님 좋으신 말씀 고맙습니다. 저도 아쉬워서 발길이 잘 안떨어지네요. DSLR도 쭉 쓰려구요.
  • 박정용 2006.03.31 20:05 (*.117.115.182)
    냉각 CCD가 울고 갈 사진입니다.
    아주 멋있고 장엄하군요.

  1. IC443 해파리성운

    Ha 20m x 6 RGB 5m x 3 KASTRON 12.5"DS F4.5 EQ1200GTO STL-11000M / Astrodon filter 2007년 2월 16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Date2007.03.2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56
    Read More
  2. ic443 해파리

    같은 이유로 색칠공부는 일단 미뤘다 하렵니다. 일단 먹물 뿜는 해파리부터 감상하시고, 나중에 불 뿜는 해파리로 다시 교체하겠습니다. EM200+Epsilon180ED Carbon+STL11000C1 Ha=12*10 유리별-하늘이 천문대 2008-11-21
    Date2008.11.26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399
    Read More
  3. ic443 해파리

    지난번 올린 해파리에 색상을 입힌 버전입니다. 먹물대신 피를 토하는 해파리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EM200+Epsilon180ED Carbon+STL11000C1 HaRGB=120:9:9:9 유리별-하늘이 천문대 2008-11-21
    Date2008.12.11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611
    Read More
  4. ic443 투명 해파리...

    mk69 f6 6인치, eq6, 아스트로350d, st402가이드 11월 6일 울진 8분 * 14 ic443 해파리도 어둡습니다. 빠른경통이나 좀더 노출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희미한 대상을 강조하려다보니 이미지처리가 과해져서 별색을 다 잃어버리고... 마지막으로 리사이즈 신공...
    Date2007.11.08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361
    Read More
  5. IC443 [Jelly Fish Nebula]

    촬영지:수피령20111101 마운트:Takahashi Em200 Temma2 경통:Takahashi Epsilon180ed 카메라:QSI583WS 가이드:Stella Vue Finder Scope + DSI 노출:Ha600s x 7 RGB300S x5 새로운 방법으로 광축과 스파이더를 맞춘뒤 좋지않은 날씨이지만 확인차 수피령에 다...
    Date2011.11.04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438
    Read More
  6. IC443 Jellyfish Nebula

    아주 오랜만에 찍는 대상입니다. 예전에 10XE와 입시론 160으로 찍은 적이 있습니다. http://astronavi.co.kr/zeroboard/view.php?id=gal_nebula&page=5&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3 하늘은 덕초현과 비교는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02
    Read More
  7. IC443 Jellyfish nebula

    2013. 12. 5 의령 한우산 정자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S2 : iso1600 / 10m×8 Ha : iso1600 / 10m×16 O3 : iso1600 / 10m×9
    Date2013.12.07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865
    Read More
  8. IC443 - 해파리성운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3 꼭 찍어 보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어두운 대상인지라 반신반의 하며 촬영을 하였는데 운 좋게도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역시 사선노이즈가 나타났습니다. 원인이 뭔지...이...
    Date2006.03.3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987
    Read More
  9. IC443 (해파리성운)

    FSQ106 화각에 맞는 대상이 제한되다 보니 몇 대상은 여러 번 찍게 되었습니다. 해파리성운도 대여섯 차례에 걸쳐 20여 시간 노출을 주었는데 포커서 고장으로 초점이 나간 것 등 상태가 좀 안 좋은 것을 제외하고 15시간 정도의 이미지를 모아서 처리했습니...
    Date2009.02.0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06
    Read More
  10. IC443 (Jellyfish Nebula) in Gemini

    쌍둥이 발밑에 있는 해파리성운으로 작년 겨울에 찍어서 천체사진전에 출품하였던 작품인데 다른 작품이 입상하면서 들러리가 된 녀석입니다. 12월에서 2월까지 촬영한 이미지 중 13시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는데 자연스런 별색을 강조했습니다. [촬영정보] O...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02
    Read More
  11. IC443 & ngc2174

    전영준샘에 이어 광시야사진 하나 더 추가합니다. 해파리와 오공이입니다. 어제는 달이 지고 아주 짧게 하늘을 열어 주었습니다. 사실 내내 맑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새벽에 눈과 함께 찾아온 구름으로 노출이 많이 부족한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렌즈 문제로 ...
    Date2008.12.0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9
    Read More
  12. IC443 & NGC2174

    12월 18일 날이 좋아보여서 달뜨기전 까지 부지런히 찍었습니다 만 이리 저리 처리하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해도 영 마음에 안듭니다.^^ FSQ 106ED에 리듀샤를 장착하니 F/3.5가 되나요...한 화각에 손오공까지 거뜬이 들어오네요. 회원 여러분 즐거운 성탄과 ...
    Date2008.12.25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53
    Read More
  13. IC443 & IC444 - 해파리성운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30) -Hα : 1200초X8장(1X1) -R : 600초X4장(1X1), GB : 각 600초X3장씩(1X1) -2006. 12. 14, 12. 17 쌍둥이자리의 발부분에 있는 초신성의 잔해(IC443)와 반사성운(IC444)입니...
    Date2007.01.05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422
    Read More
  14. IC443 & IC444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12장(1X1) -R : 600초X6장(1X1) -GB : 각 600초X3장씩(1X1) -2007. 01. 22, 01. 24 지난번에 블루밍 처리에 애로가 많을 것 같아 뮤별을 구도에서 뺐다가 성운...
    Date2007.03.13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554
    Read More
  15. IC443

    쌍둥이 자리에 있는 대상입니다. 밝은 별 때문에 불루밍이 생기는 관계로 꺼려지는 대상이지만 도전해 보았습니다. 입실론을 써 본 바로는 이 촛점거리 근처에서는 최고의 사진용 망원경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한번 최 형주님께 감사드립니다. . Takahashi e-...
    Date2004.1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51
    Read More
  16. IC443

    초신성의 잔해 IC443(일명 해파리성운)의 일부분으로, 마치 여름철의 베일성운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2005년 12월 4일 Astrovil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 40m (R filter)
    Date2006.02.0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41
    Read More
  17. IC443

    작년 크리스마스 번개때 양평에서 일찌감치 찍은 해파리성운입니다. 이제야 처리해서 올리네요. 너무 일찍 찍기시작해서 고도가 낮아 광해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습니다. 따라서 주변부 바이어스가 심하고 또한 일찍 접고 출발하느라 다크프레임을 촬영하...
    Date2007.01.07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171
    Read More
  18. IC443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2-11 / 강원도 수피령 - L:R:G:B = 60(min):30:30:30 (-40도) L 10min*6(1*1), RGB 각각 10min*3장씩(2*2) ...
    Date2007.02.2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299
    Read More
  19. IC443

    꼭 담아보고 싶었던 대상이지만 DSLR로 잡아내기엔 너무 어두운 이미지같아 포기하고 있다가 이번에 한 번 시도해봤습니다. Baader Ha(FWHM45nm)로 찍은 이미지에서 R값을 얻고 LPS-P2로 찍은 이미지를 채널분해해서 G/B이미지를 얻었습니다. Narrow 밴드 필...
    Date2007.12.1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339
    Read More
  20. IC443

    Date: 2008. 12. 27(아산 호빔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800s 4장) Ha (800s 6장) Optics: TMB 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오랜만에 호빔천문대를 찾아 황인준 선배...
    Date2008.12.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22
    Read More
  21. IC443

    IDAS NBN-PV 필터를 장착하고 찍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꾸어서 밝기 정보로, 그냥 찍은 칼라 이미지를 색상정보로 사용하여 LRGB흉내를 내보았습니다. 필터를 끼고 찍으니 밝은 별 주위가 부어서 좀 그렇네요. 촬영일시: 2009.10.16. 01:34~3:33 촬영장소: ...
    Date2009.10.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00
    Read More
  22. IC443

    2012. 2. 18~19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 GPD-ss2kpc astro400D Ha iso1600 600"×9 LPS-P2 iso 1600 180"×5 1월에 찍었어야하는데... 관측지에 도착하니 이미 자오선을 넘어가네요.
    Date2012.02.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992
    Read More
  23. IC443

    제목 : IC443 망원경/렌즈 : TEC140 리듀서(x0.75) 카메라 :  QSI583WS 마운트 : Tak Temma2  필터 : Astrodon Unmount  노출정보 : Ha(900s*6장) RGB(400s*5장) 촬영장소 :  강원도 홍천군  촬영일시 :  2015.01.17 촬영후기 :  오랜만에 포스팅해봅니다. 그...
    Date2015.02.0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449
    Read More
  24. IC443

    제목 : IC443 망원경/렌즈 : APM lomo 80/480 + TRF2008  카메라 : CDS-1100D  마운트 : NEQ6-pro 필터 : LPS-p2 노출정보 : ISO1600 10분 * 11매 다크/플랫/플랫다크 , 아이리스, 포토샵보정 촬영장소 : 장수 무령고개 촬영일시 : 2015.02.13 촬영후기 :아기...
    Date2016.09.28 CategoryNebula By김성엽 Views89
    Read More
  25. IC443

    작심하고 많이 찍었는데,...구름이 들어와서 90장 중 50장만 처리했습니다. 촬영일 : 2017.01.23~26일 장 소 :  Weestar 관측소 망원경 : Borg 100ED(90mm Front masking), 0.85xR 가이드 : 62mm f8.4(Longperng) , 174MM  적도의 : ARC7 Prototype DSLR : Ca...
    Date2017.01.27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78
    Read More
  26. IC443

    제목 :IC443 망원경/렌즈 : TEC140 (FS60C ASI224MC Guiding) 카메라 :STX 16803-25 마운트 : Paramount MX+ GEM 노출정보 : Ha:300(1*1)17장. L:180(1*1)22장. RG:180(1*1)각13장. B:180(1*1)12장. 촬영장소 :수비관측소(R.O) 촬영일시 :2024-01-01/04일 구...
    Date2024.01.15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8
    Read More
  27. IC434, The Horse Head & The Flame

    순정캐논으로 담아본 IC434 입니다. Canon 1D Mark3 on Takahashi E-160 Astrograph (530mm , F3.3)/ Takahashi EM-200 Temma2 no-touch guide/ ISO 1600/ 300s x 14 frames/ 3 dark frames median subtracted/ Yangpyung Korea
    Date2008.11.13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752
    Read More
  28. IC434, B33

    제목 : IC 434 & B33 망원경/렌즈 : Canon FD400mm(f/2.8), front masking @f/5.6 카메라 : Fujifilm X-E1 마운트 : Takahashi EM-200b 필터 : Orion Skyglow broadband filter 노출정보 : 300s, iso1600, 20shot 촬영장소 : 김천, 대덕면 촬영일시 : 201...
    Date2017.01.19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81
    Read More
  29. IC434 말머리성운

    2011년 10월 29일밤 몽골리아 존모드 모닝캄300 적도의 + 다카하시 FSQ 85 망원경 + QSI583 카메라 + 가이느 QSY5 (최승용님 지원) L 600초 9장 RGB 300초씩 각 3장 Ha 600초 1장 (총 노출 8700초 -145분) CCD 영하 30도 냉각
    Date2011.11.21 CategoryNebula By조진원 Views1160
    Read More
  30. IC434 말머리성운

    2020년 1월 2일, 1월 8일, 2월 4일, 2월 29일, 3월 21일, 3월 23일 / 경북 영천 Full : ε-210 Astropgraph @ f3.0 FL 630mm L bin1 15m x 30 / R bin1 15m x 15 / Ha 5n bin1 15m x 12 / RGB bin2 10m x 16 ,  Total 1335min (22h 15m) , QSI583(-25도) Rainb...
    Date2020.04.26 CategoryNebula By권한조 Views237
    Read More
  31. IC434 region

    어두운 하늘에 대한 갈증과 오랜 별친구의 만남으로 들뜬 방문이었습니다. 하늘은 맑았고 밤새 둘이서 사진을 찍어댔어요. 역시 어두운 하늘은 사진의 기본요소입니다. 제법 노출을 준 사진인데 밝은 별 회절이 거슬리지만 만족스럽습니다. 망원경도 적도의도 ...
    Date2018.10.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9
    Read More
  32. IC434 Horsehead Nebula

    지난주 금요일 관측회때 찍은 사진 입니다... 쏙 마음에 들게 이미지 처리가 되질 않는 것 같습니다... 항상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보고 그중 제일 나은 것을 올리지만... 이번에 3장의 이미지 처리 대상중 어느 것을 올릴지 정말 고민 되게 하더군요... 요즘...
    Date2004.11.17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17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