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5.11.27 23:52

북아메리카와 펠리칸성운

(*.120.233.175) 조회 수 995 추천 수 108 댓글 17




2005년 11월 1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FSQ106, EM200, STL11K
R+rGB 100m,20m,20m
TOKAI LPS-P1

아직도 백조가 높이 있더군요.
초반에는 달이 없었지만 중후반에는 달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30% 리사이즈 온리.
  • 권기식 2005.11.28 01:38 (*.32.88.236)
    "아!" 라는 감탄사 밖에 안 떠오릅니다..
  • 박진홍 2005.11.28 08:08 (*.226.36.113)
    와~~~~ 성운기 죽입니다.
    STL11K... 확 저질러 버려~ 마러~ ??
  • 박정용 2005.11.28 08:46 (*.117.115.182)
    에페스큐와 만천이라..북아메리카와 펠리칸이 다 들어오는군요.
    정말 멋집니다.
    ^^ 만천 공구합시다~~~!!!!
  • 남명도 2005.11.28 09:29 (*.50.225.126)
    뚜둥~~~~!!!
  • 김상욱 2005.11.28 09:46 (*.253.87.130)
    저는 요즘 FSQ-106에 눈이 많이 가고 있습니다.
    지름신이 강림할 때가 됐나 봅니다.^^
  • 박성준 2005.11.28 09:47 (*.248.11.89)
    조만간 나다에 지름신이 떼로 강림하겠네요...^^
  • 황인준 2005.11.28 10:20 (*.204.204.28)
    진홍씨 확 질러버려요..^^
    저도 건호씨 뽐뿌로 요즈음 매일 꿈을 꿉니다.
    오늘 제 글쓴 포인트가 11000이네요..
  • 김일순 2005.11.28 10:50 (*.104.39.86)
    빨리 빨리 만천으루들 가세요. 텐엑스이나 텐엑스엠이 버리구... ㅋㅋㅋ
  • 김영렬 2005.11.28 11:17 (*.232.128.96)
    적당한 화각에 깨끗한 사진이네요.
    FSQ 와 11000 좋은 결합인 거 같군요.
  • 최승용 2005.11.28 11:40 (*.255.146.12)
    할말이 없습니다.
    장비 뽐뿌는 무시할랍니다.^^
  • 박영식 2005.11.28 11:42 (*.219.33.111)
    정말 별이 깨알같이 잘찍혔네요...^^
    지름신 나빠요~ ^^
  • 전영준 2005.11.28 12:49 (*.178.180.3)
    이런 크림슨색감 너무나 보기 좋고 부럽습니다.
    겨울입문에 이런 사진 보니 더욱 멋져 보입니다.
  • 유종선 2005.11.28 13:40 (*.155.240.11)
    무보정이 이정도라니.. OTL 저는 엄청 뽀샵질 만지작대야 이 사진 반쯤 나올려나.. 엄청난 사진이군요...
  • 남명도 2005.11.28 13:57 (*.50.225.126)
    자뻑이라.....자폭이 듣기엔 좀 ....^^
  • 이건호 2005.11.28 17:12 (*.101.107.100)
    지름신 나쁘죠. 요즘 저도 자충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OTL...
    로 변경합니다. 크~
  • 박대영 2005.11.29 00:51 (*.76.53.146)
    한며칠 바빠서 못들어 왔더니 이런 사진이 있군요..멋집니다..
  • 신범영 2005.11.29 13:48 (*.178.133.254)
    10월에 북아메리 찍으면서 낮아진 고도탓을 했는데 건호님 사진 보니 할말이 없네요...
    전천후시군요.^^.

  1. IC5146 코쿤성운

    L(R) 5min x 5 RGB5min x 2 AP130EDF, EQ1200GTO, ST10xme 2004년 12월 10일 덕초현 요즘은 서쪽으로 많이 기울어 늦은 감이 있었지만, 혜성촬영을위해 굴절을 달아 놓고 기다리다 찍어 보았습니다.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04
    Read More
  2. m8&m20

    학생들과 과학캠프차 태백에 머무르는 동안 날이 맑아 함백산정상 조금 아래쪽에 넓직한 공터로 차를 향했습니다. 미리 답사를 해본 지역인데 촬영하기엔 좋아보였습니다. 간간히 도로에 차가 지나가긴 하지만 그리 크게 방해를 받지는 않았구요. 제대로 필터...
    Date2005.08.0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03
    Read More
  3. [필름] NGC7822 + Ced 214

    케페우스 자리의 큰 발광성운 두 개입니다. 위의 가로로 길쭉한 것이 NGC7822 이고 아래의 것이 Ced 214 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003
    Read More
  4. 어제 찍은 몇가지 대상들입니다.

    시간이 너무 촉박한관계로 (요샌 4시20분에 동녁이 터오더라구요) 급하게 했더니 마음에 안드네요.... 이래저래 평일날 번개친게 무리긴 했지만 그간찍고싶었던 대상을 담을수 있어서 저혼자 맘에 들고 말까 합니다.ㅎㅎ 계속 날 좋으면 좋겠어요.. 홍천 탄상...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003
    Read More
  5. 북아메리카...감마 시그니...

    청옥산에서 찍은 또한장의 사진입니다. 삼양 85mm 렌즈 테스트차... blue halo가 많이 남아있어어 이미지 처리가 쉽지 않네요. 극망 세팅할수 없는 난감한 상태라서... 다른 극망을 끼우고 갔어야 했는데... ㅠㅠ; 암튼, 피기백 가능성을 확인하고 왔던 테스...
    Date2012.05.24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03
    Read More
  6. Heart Nebula ( IC 1805)

    ||12012.11.18 Fetus후 Heart 까지.. RGB 3x3 Test 입니다. FSQ-106 + FLI 16083 Ha 1200s x 3 , RGB 300s 3x3 각 1장씩.- 장수가 적으니 색감은 얼룩덜룩합니다. Flat이 빠지지 않아 주변부는 버리고 center부위만 Crop하였습니다. 2/3 resize하여 줄여서 올...
    Date2012.12.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01
    Read More
  7. NGC2264 Christmas Tree Nebula

    -ε-160 -NJP TEMMA2 -300D (w/o LPF) + LPS-P2 -2005.12.27 촬영 매수도 모자라지만 어두운 대상이라 표현이 잘 안되네요. 별들의 색도 그렇고... 광축도 약간 그렇고... 하지만 이전에 찍었던 것보다는 결과가 양호하여 일단 기분은 괜찮습니다. ^^
    Date2006.01.15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000
    Read More
  8. 캘리포니아 덕초현 버젼..

    덕초현에서 찍은 캘리포니아 성운입니다 NGC 1499 PENTAX 100 SDUF II EM200 EOS350D ISO 800 x 20 2006.9.23~24 강원도 횡성 덕초현 천문인마을
    Date2006.09.2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000
    Read More
  9. 060923_ngc7635

    2006년 9월 23일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이미지 입니다. 안산에서의 버블은 저로써는 상상도 하지 못하는 대상인데 강원도라서 한번 도전해 보았습니다. LRGB를 충분히 노출을 주었다면 더 좋은 이미지가 될 것 같습니다. 역시 안산에서의 딥스카이 촬영은 그...
    Date2006.09.29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00
    Read More
  10. 손오공

    오랜만에 올려보는 사진입니다. 새로 옮긴 회사가 최근까지 바빴다는 이유로 한동안 뜸했습니다. 명도님의 꼬심에 천문인마을로 가서 몇장 찍었는데, 사진보다는 사람들 만나는게 더 큰 즐거움인것 같습니다. 근데 사진들은 집에와서 열어보면, 항상 다 엉망...
    Date2006.01.22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999
    Read More
  11. 별자리 황소와 마차부

    요즘 제가 찍는 광시야 사진은 화각(가로 35도)이 크다보니 아무래도 고도나 지역적인 광해 영향이 만만치 않습니다. 천정 부근을 지날때 맞춰서 찍어야겠습니다. Sh2-240, 정말 어둡네요. 이렇게 한 화각으로 보니, 주로 찍는 대상들의 밝기와 크기 비교에 ...
    Date2011.12.3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999
    Read More
  12. Thor's Helmet Bubble nebular (ngc2359)_2013년 서천동 마지막 정관에서...

    ||1방내리 서천동 2013년 마지막 정관에서 가이드 카메라 오류로 하루 공치고 그 다음날 낚은 헬멧입니다... [2013. 12. 28. 강원도 홍천군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10inch newtonian(f/4.6) Camera : QSI583wsg, Lodestar guide CCD camera Mount : Taka...
    Date2013.12.31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98
    Read More
  13. Rosette Ha

    2틀째 만지고 있지만 처리가 무지 힘드네요. 현재 고생하고 있는 부분은 여러장 모자이크 하다 보니 아무리 정교하게 밝기를 짜 맞춰도, 효과주면 이음새가 확 티가 나고, 엄청나게 큰, 모자이크 된 L이미지 와 색상 이미지가 최종적으로 합치면 구석에서 일...
    Date2005.02.16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997
    Read More
  14. [ST-2000XM] M8-M20

    Canon FD 400mm 1:2.8L (F5) SBIG ST-2000XM (-30도) LRGB = 15m 2m 2m 2m x 4 장 모자이크 마지막장 찍는데 천문박명을 지나버려 M8 이 속한 부분 색상이 자연스럽지 못합니다. 이미지 처리를 좀 과하게 한 것 같네요. 시간내서 천천히 다시 작업해야겠습니다.
    Date2005.04.16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995
    Read More
  15. 북아메리카와 펠리칸성운

    2005년 11월 1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FSQ106, EM200, STL11K R+rGB 100m,20m,20m TOKAI LPS-P1 아직도 백조가 높이 있더군요. 초반에는 달이 없었지만 중후반에는 달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30% 리사이즈 온리.
    Date2005.11.2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95
    Read More
  16. 베일의 한쪽...

    지난 덕초현 스타파티때 찍은 사진인데 며칠 조물딱거려봤는데 별로 나아지는게 없네요. 별이 너무 많아여...;;; PENTAX 100 SDUF EM200 EOS350D ISO 800 5min x 12장 2006.9.23.강원도 횡성 덕초현
    Date2006.09.3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94
    Read More
  17. IC 405, 410 M38

    ||1올해 11월에 찍은 마지막 사진입니다. 항상 이미지를 과하게 처리하게 되네요.. FSQ- 16803 L- 600s. Ha 1200s .RGB 300s 입니다. 1/3 크기로 줄여서 올립니다.
    Date2012.12.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94
    Read More
  18. m17오메가성운

    아직은 이릅니다. 달이 새벽5시까지 떠 있더군요..^^;; l 800초 1장 rgb 5분 각 1장씩 오전 06:00 fsq-106
    Date2005.02.20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993
    Read More
  19. M4 & Antares 주변부...

    지난주 메시에 마라톤이 있던날 중아천문대에서 새벽이 시도한 사진 입니다... 토요일 새벽이 날씨가 더 좋았었는데... 그때는 구도를 잡느라... 시간을 낭비 하여, 한장 밖에 못찍어 일요일날 다시 도전 해 보았지만 구름 때문에 이상한 사진이 되고 만것 같...
    Date2005.03.15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993
    Read More
  20. IC443

    2012. 2. 18~19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 GPD-ss2kpc astro400D Ha iso1600 600"×9 LPS-P2 iso 1600 180"×5 1월에 찍었어야하는데... 관측지에 도착하니 이미 자오선을 넘어가네요.
    Date2012.02.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992
    Read More
  21. [re] M8.& IC 4685 부근

    아직 이미지처리가 부족하여 찍은 사진을 올리지 못하고 있었는데 메시에 마라톤에서 찍은 사진이 신병석님의 #1078사진과 화각이 비슷하여 참고로 올려봅니다. 좋은 장비를 가지고도 비교가 되어서 송구스럽습니다. 많이 노력하여야 겠습니다. 2005.3.12 천...
    Date2005.04.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91
    Read More
  22. [st-2000xm] NGC2261

    찍고 보니 초점이 완전히 나갔더군요...ㅠㅗ ㅠ FL-152의 경우(FS-78 이나 nFD400/2.8L도 마찬가지) G필터에서 초점을 잡는게 그나마 제일 낫더군요. 이 다음 이미지 부터는 G 이미지로 초점을 맞췄는데 그럭저럭 잘 맞더군요. Equipment - 코스모스 FL-152 (...
    Date2005.02.12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990
    Read More
  23. M1_20050115

    많이 올려진 CCD 사진에 비하면 보잘 것 없는 게성운 입니다. 예전에 달이 있는 상태에서 ISO1600으로 4장 찍은 사진이 아쉬워서 재 도전 했지만... 거기서 거기 인것 같습니다. 그래도 20D에서 가장 좋은 노출 정도를 알게 되어서 다행 입니다. 결론은 ISO 8...
    Date2005.02.07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988
    Read More
  24. IC 59 & 63

    ||1특별한 일하는 것도 아닌데 왜이리 사진 한장 올리가가 힘겨운지 모르겠네요... 중간고사기간에 모처럼 시간을 내어 사진한장올립니다. IC 59 &63은 W자 모양인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가운데 감마 별 북쪽 인접한 작은 두 성운으로 아래쪽이 IC59, 위쪽이 I...
    Date2011.09.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88
    Read More
  25. 아이리스성운(NGC 7023) 주변

    날씨와 시간 탓에 한번에 많이 못찍고 여러 날에 나누어 찍었습니다. 어두운 대상이라 그런지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네요. 이미지처리 역시 점점 산으로만 가는 것 같고.. 10월 18일, 26일, 27일은 사무실(전북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서 잠깐 잠깐 촬영하였...
    Date2011.11.1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988
    Read More
  26. IC443 - 해파리성운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3 꼭 찍어 보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어두운 대상인지라 반신반의 하며 촬영을 하였는데 운 좋게도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역시 사선노이즈가 나타났습니다. 원인이 뭔지...이...
    Date2006.03.3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987
    Read More
  27. M78, NGC1333

    오랜만에 딥스카이 사진을 촬영하였습니다. 예전 350D를 사용했을 때 봤던 fixed pattern noise가 보입니다. 골치 아파했던 기억이 다시 떠 오르네요^^;; 근 이틀간 검색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를 해보았지만, 뚜렷하게 해결 방법이 안 보입니다. 오토가...
    Date2013.12.03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987
    Read More
  28. [300D] 장미성운

    . 한번 나갈때마다 한가지씩 배우고 온다는게 너무 재미있습니다. 어제는 엄청 추울거라는 예보에도 가까운 곳에 갔습니다. 여전이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고통스럽기는 하지만 그도 역시 생각해 보면 재미 더군요. 뭐든지 술~술 풀리면 심심하겠지요. . 달이 ...
    Date2005.12.1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986
    Read More
  29. NGC 6334 6357( revision)

    다시올립니다. 색감이 너무 이상해서 다시 손댔는데요.. 똑같군요.. 고도가 낮은 대상은 색감잡기가 더 힘든것 같습니다. 그리고 적은 장수.. 딸랑 4장.. * 디카는 촬영 장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것 같습니다. 200mm Nude 20D. 모든 사진 사진의 테두리에 ...
    Date2005.04.1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84
    Read More
  30. 장미성운

    모처럼의 사진 촬영이었습니다. 박진홍씨 20인치 조립을 보면서... 앞으로 어떤사진들이 나올지 무척이나 궁금해 짐니다. 일시 : 2005.11.12.토요일 장비 : AP 155mm 0.73배 캐논 20 D ISO 400.800.각4분.5분 26매합성
    Date2005.11.14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984
    Read More
  31. 말머리 성운과 장미성운

    금요일 저녁엔 거창 월성 청소년 수련원에 다녀왔고 어제 밤엔 강원도 철원 광덕산에 다녀왔습니다. 분명히 아침에 지리산에서 뜨는 데네브를 봤는데 철원 광덕산에서 저녁에 지는 데네브를 봤습니다...아하하.. 신범영 님과 다른 몇몇 분들과 같이 갔는데 등...
    Date2006.02.05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84
    Read More
  32. NGC2237 장미 한송이

    빠알간 ... 2탄. 장미.. 촛점이 나가서.. ㅠㅠ AF 300mm 2.8 ( F 4) ISO 800 5min x 8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