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10.18 15:01

IC434 HorseHead

(*.85.88.246) 조회 수 1706 추천 수 156 댓글 28


성거산에서 찍은 말머리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더 많은 매수로 찍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말 한마리 바다에 몸 담그고 파도를 헤쳐 나가는 것 같습니다.^^

Celestron C8 (F 6.3)
EM200 Tm2 Jr.
ST-10XE w/ CFW-8a (-15도)
Ha : 1X1 600sec X 9--성거산
RGB : 2X2 600sec X 2--천문인 마을
Stella Image 4.0 + Photoshop 7.0
천안 성거산
2004/10/9 02:30~
  • 박정용 2004.10.18 15:06 (*.181.18.130)
    정맒 멋지군요.
    환상적입니다.
    폭포아래 목욕하는 흑마같이 살아 움지이는듯 합니다.
    붉은 성운의 갈갈이 찢어져 벋어나간 줄기들이 포말모양의 성운들과 함께 생동감을 더해 줍니다.
  • 김상욱 2004.10.18 15:08 (*.112.75.30)
    그것 참, 적토마가 임자 만났습니다그려.
    주변의 여러 대상을 피하고 말머리만 잘 나오게 구성한, 호젓한 분위기의 구도가 아주 좋군요.
  • 김형석 2004.10.18 15:14 (*.248.213.129)
    C8과 CCD의 조합에 자꾸 눈이 갑니다.
    당연히 잘찍으시니까 이런 사진이 나오는 것일텐데요.
    저는 장비 탓만 하고 있습니다. ^^
    Hb도 함께 찍어서 보여주시면 어떠실런지요^^
  • 박대영 2004.10.18 15:15 (*.204.21.246)
    이사진도 예전 팔로마천문대에서 찍었다던 말머리가 생각나게 합니다. 그거 엽서로도 꽤 돌아다녔던 것 같은데..
  • 남기현 2004.10.18 15:17 (*.253.68.132)
    인준님 덕분에 저 요즘 불면증 걸린거 아시죠. 책임지세요. ^^
    근데 이것두 리듀서 사용하신 건가요?
  • 박현권 2004.10.18 15:20 (*.126.9.12)
    관측지에서 황인준님께서 이 사진에 대해 설명해준거 생각납니다.
    "뒤에 커튼이 쓩쓩" 뻗어있다고요...
  • 황인준 2004.10.18 15:45 (*.150.204.171)
    남기현님 근데 왜 저때문에 불면증에 걸렸다는 거죠?
    F 6.3 미드 리듀서를 썼습니다.
    ST-10을 쓰기에는 불만이 없을 정도로 잘 보정이 되는데 사진의 별이 동그랗게 안 나온 이유는 가이드 문제입니다.
    이상하게 한쪽으로 많이 에러가 나더군요.
    나중에 테스트 해 봐야할 문제입니다.
  • 최원균 2004.10.18 15:49 (*.159.80.60)
    말의 눈코입까지 보이네요.
    정말 너무 하십니다. ^^
  • 신병석 2004.10.18 16:34 (*.208.80.2)
    말머리주변으로 파도가 물결을 치는 군요..
    위로는 광채가 하늘로 뻣어 올라가는 군요.
    넘 멋있습니다.
  • 이건호 2004.10.18 16:36 (*.101.108.100)
    꼭 말머리가 입에 거품 물고 있는거 까지 찍혔군요.. 대단해요~
  • 최승용 2004.10.18 16:45 (*.255.216.142)
    이상한 그림입니다.
    어떻게 말머리 뒤에 커튼이 있을 수 있을까요?
    마구간에 빨간색 커튼이 드리워져 있는 곳에 있는 말머리인가????
    미스테리....^_^
  • 조창우 2004.10.18 17:10 (*.241.147.16)
    정말 이제부터 발동이 걸리셨네요... 찍으시는 것 마다 예술 입니다....^^;
  • 남기현 2004.10.18 17:38 (*.103.10.137)
    인준님의 C8 사진을 보니 잠이 오지 않습니다.
    빨리 CCD 장만해야 하는데...
  • 육호준 2004.10.18 17:41 (*.217.28.11)
    인준씨 정말 대단하구만
    햐~ 탄성이 저절로 나오네
  • 박대영 2004.10.18 18:00 (*.204.21.246)
    아..그리고..사진 살살좀 찍읍시다요!! ㅋㅋ
  • 이윤 2004.10.18 18:09 (*.249.49.91)
    안보았어야 할것을 봐 버렸습니다.
    정말 ....예술입니다....
  • 황인준 2004.10.18 18:50 (*.81.66.21)
    개인적으로 색감이 잘 표현이 안된 것 같아 아쉽습니다.
    격려로 알고 다음에 다시 한번 도전해 보아야 겠습니다.
  • 윤홍선 2004.10.18 21:04 (*.72.198.179)
    반지의제왕이란 영화 1탄에서 냇가물이 마두로 변하던 장면이 연상됩니다.
  • 박병우 2004.10.18 21:44 (*.79.196.153)
    말이 여의주를 입에 물고 불속으로 뛰어들어가는 것같습니다. 무슨 말이동. 뒷 배경이 동양화 그림처럼 멋있습니다.
  • 김영혜 2004.10.18 22:54 (*.82.245.112)
    나다에서 사진의 댓글이 20번까지 간적이 있었나요?
    제가 20번째 댓글을 쓰게 됐군요. 정말 너무 좋습니다.
    이건호씨가 작년에 촬영한 사진과 비교해보고 싶은 충동이 갑자기 드는군요.
  • 선숙래 2004.10.18 23:06 (*.248.32.98)
    그럼 전 21번째 리플입니다.
    말 등허리까지 보면 물속에서 뛰어나오는 것 같습니다.
    천문인마을에서 찍은 사진들 줄줄이 올라오는대로 감동이 계속 됩니다.
  • 황인준 2004.10.18 23:06 (*.53.139.98)
    색감이나 완성도 면에서 건호씨 사진이 훨씬 좋네요..^^
    다시 도전해서 동그란 별상과 디테일에 도전 할까 합니다.
  • 심용택 2004.10.19 10:01 (*.244.20.220)
    드디어 CCD에 뽐뿌걸립니다...
    감동스러운 사진입니다... NADA회원들 여기 다모였네~~^^
  • 이준화 2004.10.19 10:31 (*.249.97.69)
    사진 좋습니다.~
  • 박영식 2004.10.19 10:41 (*.219.33.111)
    말이 살아있네요... ^^
    정말 멋진 샷입니다...
  • 황형태 2004.10.19 11:17 (*.237.229.226)
    C8로 이런 사진을 찍다니... 할말이 없습니다. 이제 지존의 경지에 이르는 듯...
  • 김영렬 2004.10.22 10:39 (*.232.128.122)
    궁금했던 사진인데, 역시나군요. 오늘에야 보게 되었는데, 신비로운 느낌입니다.
  • 조윤호 2004.10.30 11:34 (*.178.38.249)
    붉은 형광의 빛을 발하는것 같습니다.대단합니다.
    너무 아름답습니다.

  1. ngc1499 캘리포니아 성운(색칠 공부 완성)

    지난번 올린 Ha 이미지에 색을 입혔습니다. 시간지나고 다시 보면 과하게 처리하는걸 맨날 후회하면서, 처리할 그때는 과한게 좋아보입니다. [12월1일 수정사항] 오른쪽 밑 별상이 날랐는데, 이번주말 이부분만 찍어온 L 영상으로 교체 기회되면 왼쪽 상부 L ...
    Date2008.12.01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694
    Read More
  2. [필름] 오리온 + 말머리

    오랜만에 포스팅입니다. 디지털 사진 동호회에 필름 사진만 계속 올려서 죄송하기는 한데 저는 아직까지 필름 사진이 손에 익어서 이게 편하네요. 필름 사진 올린다고 짜르시지는 않겠죠? 2008. 12.5~12.6 횡성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Borg 125ED) D=...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695
    Read More
  3. M17, Omega Nebula

    OTA : Takahashi Epsilon-160, 530mm F3.3 Mount: Takahashi EM200-Temma2 Camera: SBIG ST-10XE Cooled CCD (-10C) Guide : ST-10XE Self-Guide RGB 300sec X 3frames (2x2bin) L 300sec X 4frames (1x1bin) 31 May 2009, 횡성 둔내 청태산휴양림내 너무 오...
    Date2009.06.04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695
    Read More
  4. NGC2174

    모처럼 주말에 별이 보였는데 만천 가이드 전선이 달락 된줄 모르고 이것 저것 찿아 헤매다가 시간만 보내고 간신히 선 단락된곳을 찿아서 이정현님의 도움을 받아서 임시로 고쳐서 간신히 원숭이 한마리를 건졌습니다.^^ RGB를 한장씩 밖에 못찍...
    Date2010.01.18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697
    Read More
  5. Sh2-112

    Date: 2008. 09. 06~07(양평군 양동면)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600s*3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어떤 대상을 골라볼까 고민하다 스테리나잇에서 백조 데네...
    Date2008.09.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98
    Read More
  6. 너무 이른 Christmas Tree..NGC2264

    ||1Ha image만 잔뜩 찍어서 색감이 참.. 너무 빨갛기만 하네요. 푸르른 성운기도 같이 나와줘야하는데요. 황인준님의 몽골하늘에서 찍어오신 은은한 색감이 훨씬 좋네요.. FD300mm with 6303 1x1 Ha 2000s x 3 , 1x1 GB 900sec x 3 , Ha HaGB합성.. Half resize
    Date2010.11.08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98
    Read More
  7. M78

    오리온의 배꼽?부분에 있는 활동이 활발한 성운지역으로 몇년전에 새로운 성운도 발견 되었던 그 곳입니다. 찍고 보니 좀더 광시야로 찍어 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요즘 어찌 살다보니 이미지 처리하는 것이 자꾸 밀리구요. KASTRON 12.5 F4.5 EQ1200GTO ST...
    Date2007.02.0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99
    Read More
  8. M20 & M21

    Location:Hwacheon 20110508 Telescope:Takahashi Mt160 Mount:Takahashi Em200 Temma2 Camera:QSI583WS Guiding:StellaVue Finder Scope +DSI Exposure:Ha900sX2 L600sX3 RGB600sX2 오랜만에 어두운하늘을 찿아 화천에 갔습니다 달리는 중간 중간 주변...
    Date2011.05.08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99
    Read More
  9. M27 아령성운

    21일, 야근하고 퇴근하는데 날이 맑더군요. 달이 지는 시간을 스카이사파리에서 찾아보니 한시 반정도. RO 문열고 삼렬성운 좀 더 찍어 볼까 이리 저리 돌아 댕기다.... 남쪽은 영 시원치 않은 분위기라서 천정에 있는 아령을 조금 찍는데, 금방 날이 밝더군...
    Date2013.05.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99
    Read More
  10. IC443

    IDAS NBN-PV 필터를 장착하고 찍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꾸어서 밝기 정보로, 그냥 찍은 칼라 이미지를 색상정보로 사용하여 LRGB흉내를 내보았습니다. 필터를 끼고 찍으니 밝은 별 주위가 부어서 좀 그렇네요. 촬영일시: 2009.10.16. 01:34~3:33 촬영장소: ...
    Date2009.10.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00
    Read More
  11. The Iris nebular, ngc7023

    광해가 많은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잡기 힘든게 암흑성운 찍기 인 것 같습니다. 산광성운들이야 적당한 필터를 쓰면 잡아지기는 하지만, 암흑성운은 어떠한 필터를 쓰지 않아야 나오는 대상이다보니, 적정 노출량을 확보하기 힘이 듭니다. 몽골 하늘 이야기...
    Date2010.10.1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01
    Read More
  12. IC1805 (Heart Nebula, Valentine Nebula)

    FSQ 106을 가대에 올리면 한번씩 찍어보는 하트성운입니다. 가을철에 찍어야 제격인데 FSQ106을 겨울에 올리다보니 서쪽으로 기운대상을 찍게되었네요. 11월29일 하현달이 뜨기전에 서쪽에 있는 대상에 대하여 RGB를 찍었고 Ha, S2, O3는 대부분 달이 있는 시...
    Date2011.01.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01
    Read More
  13. Veil Nebula

    습도가 많은 날이었습니다. 높은 습도는 은하수의 명암비를 망쳐놓아 아스라한 모습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높은 습도는 가장 강력한 노이즈로 좋은 사진을 만드는데 방해를 합니다. 특히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연결이 자연스레 되지를 않습니다...
    Date2009.08.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02
    Read More
  14. 쪼맹이 버블. M52주변부

    ||1일전에 67렌즈로 넓게 찍어던 영역중 bubble성운과 M52주변의 300mm과 16803을 이용한 약간 광시야? 입니다. . FD 300mm x 16803 - 2x2 HA filter 1200sec. x 4 ..( RGB color도 찍었는데. .ㅠㅠ ) 렌즈의 focus아직 제대로 위치를 못잡아서 귀퉁이로 갈수...
    Date2010.09.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02
    Read More
  15. NGC281

    Narrow band filter를 이용한 촬영은 이런 용도에서 11K로의 업글을 접고 10XE를 중무장 했습니다.. 광해에 대한 내성을 테스트 하고자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아직 익숙하거나 하진 않지만 Nomal LRGB filter에 의한 촬영보다는 훨씬 색에 대해 자유스럽다는...
    Date2007.01.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04
    Read More
  16. ic405

    촬영지:수피령20110101-02 마운트:eq6-pro 경통:epsilon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0장 기온:-17 새해 첫출사 기념사진입니다 사정상 노출을 많이 주지 못했습니다 새해 건강하십시요^^
    Date2011.01.03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705
    Read More
  17. IC434 HorseHead

    성거산에서 찍은 말머리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더 많은 매수로 찍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말 한마리 바다에 몸 담그고 파도를 헤쳐 나가는 것 같습니다.^^ Celestron C8 (F 6.3) EM200 Tm2 Jr. ST-10XE w/ CFW-8a (-15도) Ha : 1X1 600sec X 9--성거...
    Date2004.10.1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06
    Read More
  18. IC443 (해파리성운)

    FSQ106 화각에 맞는 대상이 제한되다 보니 몇 대상은 여러 번 찍게 되었습니다. 해파리성운도 대여섯 차례에 걸쳐 20여 시간 노출을 주었는데 포커서 고장으로 초점이 나간 것 등 상태가 좀 안 좋은 것을 제외하고 15시간 정도의 이미지를 모아서 처리했습니...
    Date2009.02.0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06
    Read More
  19. IC443~~ 해파리 성운

    2010년에 처음 촬영해 본 이미지입니다. 5일 였으니깐 몇 일 지났군요 바쁜일 때문에 정신 못차리다가 기분전환 겸해서 가까운 파주 파평산으로 갔습니다.. 산정상인데도 별로 춥지도 않고(몸이 맛이 간건지 감각~~)...바람은 많이 불던데.. 주변은 변한 것이...
    Date2010.02.10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706
    Read More
  20. 마귀할멈성운 (IC2118)과 리겔 주변

    노트북을 안가지고 가서 할 수 없이 짧은 노출로 노터치 가이드를 하였습니다. 촬영 일시 : 2010.11.13, 0시 48분 ~ 4시 03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4도 망원경(경통)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CCD) :Canon 50D (적외선필...
    Date2010.11.14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06
    Read More
  21. 100512_ngc6992

    이런 전선생님 사진과 겹치네요... 다행인 것은 제 것은 색이 있어서 그나마.....^^ ..................................................................................................................................................... 어제 하늘이...
    Date2010.05.1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07
    Read More
  22. IC 433 + NGC2174 + NGC2168 + SAC Sh2 -247

    날씨가 조금 뿌였지만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300mm F4 6303E HA image 1x1 1200sec x 5장. PS후 Half resize 플렛이미지가 과하게 처리되어 autoflatten을 하였는데도 센터부위가 좀 이상하군요..
    Date2007.01.2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08
    Read More
  23. M78

    Imaging Date: January 5th,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SK15 with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Mount: AP EQ1200GTO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10XME w/CFW-8A (-40) Exposure: L 300sec X 17(1X1), RGB 300se...
    Date2008.01.07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708
    Read More
  24. 캘리포니아 일부-Ha

    지난 11월1일 새벽 분당에서 찍은 캘리포니아 성운의 일부입니다. 자작한 오토가이더 케이블을 빌려주느라 여러번 뽑았다 끼였다 했더니 선이 하나 부러져서 가이드가 엉망이 되었습니다. 파일을 그냥버릴까 하다가.... 그중 덜 에러난 파일 4장을 골라 중간...
    Date2003.11.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09
    Read More
  25. IC405

    [촬영정보] - KASTRON 12.5DS (F4.5)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2007-3-12 / 강원도 철원 대마리 들판 - L:R:G:B = 35(min):20:20:20 (-35도) L 5min*7장(1*1), RGB 각각 5min*4장씩(2*2) 지난 12일 대마...
    Date2007.03.15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09
    Read More
  26. IC1318 & NGC6888

    요즘 sadr를 보려면 1시는 되어야 합니다. 천문박명이 4시 정도이니 아무리 날고뛰고 해봐야 3시간 노출입니다. 여름철 대상의 장노출은 상황상 무척 어려운 것 같습니다. [촬영정보] - FD300 (전면 마스킹, F4)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
    Date2009.04.3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09
    Read More
  27. 초고추장의 해파리

    역시 어제 원숭이랑 같이 찍은 대상입니다. 지난번 회사 사표내고 평일날 덕초현으로 달려가 찍었던 대상이었지만, 실패하고서, 이번에 다시 재시도하였습니다. ε160+EM200+ST2000 haRGB=6*10M + 3*(3*5M)
    Date2006.01.23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710
    Read More
  28. 버블성운과 m52

    Date: 2008. 08. 03(양평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600s*5장 Optics: TMB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역시 버블 CCD 한가운데 이슬결로때문에 별이 많이 디퓨즈효과와 ...
    Date2008.08.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10
    Read More
  29. 071017-NGC6992 & 6995

    촬영일: 2007년 10월 17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kai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R : 45m (1x1) G : 45m(2x2) B : 45m(2X2) L : 60m(1x1) 베일의 동쪽부분(East part of Veil)입니다. 썩좋은 하늘도 아니었고 출근이 ...
    Date2007.10.30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711
    Read More
  30. M16

    오랜만에 보현산에 다녀왔습니다. 보현산도 이젠 예전같지 않더군요... 박무 때문에 밝아보였던 거라고 믿고 싶습니다. 그리고 밤새도록 올라오는 차들 때문에 골치가 좀 아픈 장소이더군요... 그래도 시민들에게 토성 등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바...
    Date2008.06.02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712
    Read More
  31. 버블성운(NGC7635+M52)주변

    버블성운 주변입니다.지난 8월 30일 별친구들과 함께 할때 잠시 열린 하늘에서 RGB각1장씩 뿐이 건지지 못했습니다. 한장씩으로 처리하다 보니 많이 거친 이미지 이지만 기록 차원에서 올립니다.^^ 화각이 엄청 넒기는 넓습니다.풍선이 코딱지만하게 보이지도...
    Date2008.09.1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712
    Read More
  32. M42

    ||1지난 주말은 하늘이 참 좋았던것 같습니다. 밤하늘이 좋다싶으면 사진들이 쏟아져나오는것을 보니 참 다들 열심히시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울천문동호회 정기관측회를 횡성에서 가졌습니다. 이것저것 구경하다... 오리온대성운을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7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