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2.01 09:24

장~~미

(*.82.244.162) 조회 수 1502 추천 수 178 댓글 7


꿩 대신 닭이라고 CCD에 300mm렌즈를 사용하지 못하니,
10D로 여러 대상을 테스트 해보는 수밖에 없더군요.
그 중 장미입니다.
아직 이미지 처리도 미숙하고, 10D는 파랑색이 많이 촬영되는 것 같습니다.
300mm의 화각은 아래 사진에서 보았으리라 생각하고,
중앙부 크롭한 것 올립니다.

Nikkor 300mm ED f2.8
Cannon EOS 10D
EM200 Temma jr
iso 800
4min*11
Combine by Maxim
  • 박성래 2004.02.01 12:53 (*.194.26.20)
    RAW로 찍은 후에 WB를 조정해 보세요 그럼 좀더 좋아 집니다. 그리고 조리개를 최대 개방하신것 같은데 1~2스탑 조여 주세요..그래야 별이 똘망똘망해져요..사진 잘 봤습니다. ^^
  • 김형석 2004.02.01 13:26 (*.187.113.82)
    와... 저도 찍어보고싶은 대상인뎅...
    아담하니 보기 넘 좋네요.
    발광성운은 태양모드가 반사성운은 형광등 모드가 좋다고 하시더군요.
  • 정민경 2004.02.01 13:36 (*.201.2.238)
    제가 보기에도 별이 부어 보입니다 조리개를 좀 조여야 되겠습니다.^^ 이미지 처리가 어려웠을 대상인데 잘 처리 하신것 같습니다. 붉은색이 빠져나간게 좀 아쉽네요.
  • 이건호 2004.02.01 17:59 (*.221.59.94)
    이제 시작인데 잘 나왔군요. 10디에 니콘렌즈 어댑터를 달았나보죠?. 니콘렌즈 많을 사람도 부담없이 10디를 쓸수 있게 되었네요.
  • 이윤 2004.02.01 18:38 (*.211.233.24)
    잘 찍으셨네요. 제 경우는 필터안쓰면 거의 꽝이던데 필터없이 이런 사진을 찍으신게 뭔 비법이 있을것 같은데..
    니콘렌즈 어답타는 얼마나 합니까?....
    궁금하네요.
  • 김영혜 2004.02.01 22:45 (*.82.244.162)
    김상구씨에게서 9만원 주고 샀습니다.
    필터가 있었습니까? 어떤 것이고 얼마정도하나요?
    조리개를 더 조여야 한다는 조언 고맙습니다. 한번 시도해 보죠.
    RAW로 촬영한 후에 WB의 조정이라... 이거 생각만해도 기대됩니다.
    김형석씨의 조언도 도움이 되겠고요, 어쨋든 모두들 고맙습니다.^^
  • 김영혜 2004.02.01 22:53 (*.82.244.162)
    맥심에서 합치면 자꾸 부어오르네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10 Nebula 구름속 베일(리듀서_테스트샷) 10 file 2008.07.29 1987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9 Nebula ngc2237 5 file 2010.02.21 1993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8 Nebula IC 5067 5 file 2008.04.15 1994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7 Nebula 장미성운 7 file 2004.03.03 1995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6 Nebula M42 오리온 19 file 2005.10.26 199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5 Nebula NGC2237_장미성운_내로우밴드 테스트샷 4 file 2009.05.03 1997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04 Nebula NGC 1999 - 열쇠구멍성운 16 file 2007.11.23 200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03 Nebula sh2-157 & ngc7510 7 file 2008.07.11 200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2 Nebula M78(NGC2068) 10 file 2008.07.13 200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01 Nebula M20 - Trifid Nebula 10 file 2007.07.01 2007 김일순 arame 김일순
100 Nebula Veil Nebula 10 file 2010.06.14 200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9 Nebula 김빠진 오리온 중중성운. 7 file 2004.02.14 2010 박현권 alexken 박현권
98 Nebula 궁수자리 봉숭아꽃잎 - 삼렬성운(M20) 7 file 2009.06.27 2011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97 Nebula 안타레스 주변부 8 file 2008.07.12 201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6 Nebula 말머리 & 불꽃 7 file 2010.11.16 201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95 Nebula NGC1499_080902 8 file 2008.09.03 2021 김호섭 obiwan 김호섭
94 Nebula Sh2-132 in Cepheus 11 file 2008.07.02 2022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93 Nebula ic63 3 file 2010.08.11 2022 이광호 lfo2910 이광호
92 Nebula 오리온 소성운(10D) 5 file 2004.02.06 2023 박현권 alexken 박현권
91 Nebula Eastern Veil Nebula 14 file 2008.05.15 202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0 Nebula 달빛과의 숨박꼭질(보름달 속의 독수리) 10 file 2008.04.22 2030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9 Nebula 옵세션 30인치 흉내내기 - 오리온 M42 12 file 2007.12.09 2031 김형석 halpon 김형석
88 Nebula NGC2264 - Fox Fur Nebula 21 file 2007.11.19 2042 김일순 arame 김일순
87 Nebula IC1396 2 file 2009.10.29 204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6 Nebula NGC 7000 15 file 2008.06.20 2049 박현권 alexken 박현권
85 Nebula 철지난 말머리... 14 file 2008.02.25 2056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4 Nebula 오리온 삼태성 5 file 2010.01.14 2057 장승혁 offaxis 장승혁
83 Nebula M8 4 file 2003.07.31 2059 심용택 sky019 심용택
82 Nebula 겨울의 추억-장미성운 15 file 2008.03.27 2060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81 Nebula 주변부 살린 오리온 13 file 2007.12.17 2061 김형석 halpon 김형석
80 Nebula [재처리] Central Segment of the Veil nebula (피커링의 삼각형) 13 file 2008.06.28 2063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79 Nebula NGC6888 5 file 2009.10.29 20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