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3.12.04 23:33

031203 말머리 성운

(*.207.97.228) 조회 수 2850 추천 수 245 댓글 9




혼자 조용히 그러나 즐겁게 보낸 관측이었습니다.
노트북이 사양이 낮은 관계로 발생하는 문제 덕분에 거의 2시간을 허비하고 사진 몇장을 건졌는데 2x2 비닝으로 다크 프레임을 찍어 놓은 것이 문제가 생겨 컬러 영상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일단 흑백이지만 처음으로 오토가이드를 한 사진입니다.
초점도 맞지 않은 데다가 앵글도 실패하고 합성 매수가 적은 것이 불만이고..
소득이 있었다면 오토 가이더가 아주 충실히 임무를 수행해 낸다는 것입니다...
60미리 구경으로는 역시 어두운 하늘에서 약 10분 이상씩 6장 이상 찍어 합성 해 보고픈 대상입니다..


참조삼아 올려 봅니다.

fs60c
em200tm2jr.
ST2000XM (-20)
L : 7분 X 4장
천안 태조산 공원 주차장
  • 정민경 2003.12.05 00:49 (*.204.55.165)
    그동안은 반자동 가이드를 하셨단 말씀인가요?
    ccd원본은 원래 노이즈가 많은건가요? 노이즈가 상당히 보이는것 같습니다만.
  • 황인준 2003.12.05 09:52 (*.204.207.207)
    그 동안은 적도의에 의존해 노터치로 찍었습니다. 내장 오토가이더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CCD원본이든 어떤 디지탈 기기는 어떤 형태로든 노이즈는 존재를 합니다만 이 사진이 유독 그리 보이는 것은 대상이 어두웠고 바탕과의 차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합성 매수가 적어서이기도 하고 또 하늘이 보름달의 광해가 제법 영향을 미쳐 배경이 밝아서 일 수도 있고 여러가지 이유로 해서 눈에 잘 보이는 계조로 만들다 보면 생기는 노이즈 입니다.
    하늘이 어두웠다거나 노출이 충분했다거나 망원경 구경이 크고 F가 짧다거나 했었으면 예기는 달라지겠지요..^^
  • 황인준 2003.12.05 10:14 (*.204.207.207)
    두번째 올린 사진은 계조차이를 적게 해서 노이즈가 적게 보이게 한 사진입니다. 실제 R채널이 강한 이 성운 같은 경우는 이 정도까지 안하고 LRGB합성을 하더라도 충분합니다. 곧 채널 합성 하면 또 틀려진다는 예기일수도...
    저도 CCD사진의 이미지 처리에는 아직 미숙함이 많습니다. 그러나 조금씩 나아지고 있답니다.. 같이 한번 나가셔야죠..^^
  • 김상욱 2003.12.05 10:30 (*.79.222.165)
    멋진 사진입니다.
  • 김영렬 2003.12.05 11:50 (*.58.19.147)
    사진을 위해서라면, 망원경보다는 CCD 쪽에 투자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 멋있습니다.
  • 정민경 2003.12.05 12:20 (*.204.51.212)
    김교수님 말씀에 같은 의견이긴 하지만 아직은 금액이 너무 고가 인것 같습니다. 이러다가 확~~~될지도 모르지만 아직은 자제하고 있습니다. 항상 먼저 일 저지르는 스타일인데 이번엔 신중을 기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온몸이 근질거리기는 하지만....
  • 이건호 2003.12.05 15:29 (*.101.108.100)
    ABG가 ST8등의 ABG보다 잘 처리되는 것 같네요. CCD의 차이인가 본데(이준화교수님 맞나요?), 밝은 별의 회절무늬가 참 이쁘네요.
  • 박병우 2003.12.05 15:50 (*.79.196.221)
    옛날 먼 옛날...
    어떤 사람이 가로대...
    '한정된 코스트에서 좋은 천체사진을 찍을려면 소구경 망원경+고급 ccd 조합이 좋다라는 말을 한적이 있었더랬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이것을 낙동강 법칙이라고 했다나 뭐래나...

    한참 해상도가 어쩌고 저쩌고 할 당시에 따져 보았더니 위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물론 렌즈의 한계 분해능을 아직 ccd나 필름이 못 따라가니 나온 결론입니다. 그러나 ccd는 고유 주파수의 99%까지도 표현해 줄 수 있습니다.

    그 때 MTF란 용어가 나왔었는데 나중에 책을 보니, 이게 렌즈 해상도였습니다. 엠티에프 그래프란 해당 렌즈 해상도 따른 콘트라스트 전달율이란 이야기인데, 씨씨디는 이것의 엠티에프의 저하치를 극복해버린다는 이야기입니다.

    말이 필요없이 멋있는 하늘을 찍을려면, 황고수님처럼 화끈하게 괜찮은 씨씨디 하나 구입하고 똘똘한 소형 망원경 하나 구입해서 맑은 날 부지런히 전 하늘을 향해서 삿대질하는 것이 정답인줄로 생각합니다.
  • 육호준 2003.12.05 18:33 (*.118.50.219)
    이건 교과서에 나와있던 사진이 아니가요?
    근사하고 흑백의 백미를 살리셨습니다.

  1. Cocoon Nebula

    Cocoon Nebula 백조자리 북쪽에 있는 코쿤성운 IC5146 입니다. 암흑성운B168의 맨 끝자락에 위치한 멋있은 성운이죠. 지난 2003년 6월 1일 노목천연계탐사관 앞뜰에서 촬영했습니다. Takahashi TOA-130F Takahashi EM-10USD SBIG ST-10XME, CFW8a, Self guide...
    Date2003.06.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819
    Read More
  2. M20

    Object: Diffuse Nebula M20 (NGC 6514), an emission and reflection nebula in Sagittarius Exposure: 194 seconds, ISO1600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ujifilm FinePixS2Pr...
    Date2003.04.08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2828
    Read More
  3. 031203 말머리 성운

    혼자 조용히 그러나 즐겁게 보낸 관측이었습니다. 노트북이 사양이 낮은 관계로 발생하는 문제 덕분에 거의 2시간을 허비하고 사진 몇장을 건졌는데 2x2 비닝으로 다크 프레임을 찍어 놓은 것이 문제가 생겨 컬러 영상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일단 흑백...
    Date2003.12.0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850
    Read More
  4. M20 삼렬성운 - 2003년 5월 5일

    130edf, st-10xme 2003 05 05 03:30 덕초현천문인마을 L: 5min x3 RGB: 200sec x3
    Date2003.05.0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858
    Read More
  5. 031203 Horse head Nebula -10D

    조리개를 한단계 조여 2.8로 찍어보았습니다. 약간은 나아졌지만 비슷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역시 3.5이상은 되어야 겠습니다. Canon EF 200L F 1.8 Canon EOS 10D Canon 1.4 Teleconverter IDAS LPS-PII 광해필터 ISO400 조리개 F2.8 노출 4분 X 12장 (인터...
    Date2004.02.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863
    Read More
  6. 031203 Horse head Nebula ( Color )

    다크 프레임에 문제가 있어서 처리를 못하다가 오늘 새벽에 다크를 찍어 처리를 했습니다. 달이 없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주가 참 아름답다 하는 생각을 갖게 하는 대상입니다. 컬러가 좋지요.. fs60c em200tm2jr. ST2000XM (-20) L : 7분 ...
    Date2003.12.1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926
    Read More
  7. M42, 2002년 11월, 청태산

    2002년 11월, 청태산 FS102 (D102mm, f820mm, F6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ISO 6400 에서 166 초 ISO 6400 에서 270 초, 4매 합성 crop 및 resize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3148
    Read More
  8. 궁수자리 은하수(030601)

    지난주말 적상산에서... 감도800에 2분노출 7매합성,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캐논 10D카메라 + 28-70줌렌즈 70mm fl, 조리개F5.6 포토샵에서 level조정했습니다.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3186
    Read More
  9. NGC1579

    이번에는 대상을 무엇을 찍을까 준비를 해 갔는데 문제는 급히 망원경을 만들어 가느라 가이드 시스템에 신경을 많이 못 쓴 것이 결국은 현지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많은 날 3일 중 결국 하루만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그나마 초점도 좀 부실하고...
    Date2011.11.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3317
    Read More
  10. 030501은하수

    오늘 새벽 은하수가 넘 맑아 찍어보았습니다. 오리온은 지난달 찍은 것이고요... 아직 실력은 없지만 열심히 찍고 있습니다.^^! 쩝... 다카하시 152mm + S2pro 입니다.
    Date2003.05.01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3447
    Read More
  11. NGC7635( Bubble nebular, 거품 성운)

    ||1지난 2013년 마지막 정관에서 Thor 헬멧하고 같이 찍었는 데 이제서야 처리했습니다.. 처리 대행하는데 없나??? ㅎㅎ 제가 좋아하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너무 이뻐서~~ [2013. 12. 28. 강원도 홍천군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10inch newtonian(f/4.6...
    Date2014.01.15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4084
    Read More
  12. M42

    2000년 가을부터 다시 별보기에 관심을 갖고 웹캠(삼성애니캠)에 냉각장치를 붙이고, 장기노출되도록 개조한후 찍은 오리온자리 대성운 입니다. 볼품은 없지만 당시 저에겐 큰 즐거움을 주었던 사진입니다.
    Date2003.04.0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4172
    Read More
  13. M42

    대상 : M42+M43 장소 : 덕초현 천문인 마을 날짜 : 2002년1월1일 23시~ 렌즈 : 300mm 망원렌즈 F5.6 카메라 : 자작 CCD 카메라(영하15도) 가대 : GPD 노터치 가이드 노출 : 1분 x 8장 영상처리 : 8장 평균후 곡선 및 언샵마스크 2003년 1월1일 덕초현은 매우 ...
    Date2003.04.0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4297
    Read More
  14. 오리온자리 대성운

    삼성 애니캠을 개조해서 사진을 찍어보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 했습니다. 하나는 애니캠으로 부터 받아본 데이터는 8비트 데이터가 아니라, 5비트 였습니다. 즉 화질이 썩 좋지 않았습니다. 일반 영상을 5비트로 표현하는 경우에는 별문제점이 느껴지지 않...
    Date2003.04.0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4916
    Read More
  15. 150516-Gamma Sgyni

    150516_Gamma Sgyni 2015년 5월 16일 아산 호빔 천문대에서 촬영한 백조 자리의 가슴에 해당하는 부위를 찍어 보았습니다. 날은 좋은 것 같은데 실망스럽게도 시상이 따라 주질 않네요. 목성과 토성을 잠시 찍어 보려고 노력했으나 시상이 나빴고 더구나 중간...
    Date2015.05.1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60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