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2.06 13:59

오리온 중성운(300D)

(*.249.97.68) 조회 수 1538 추천 수 161 댓글 8


번개관측에서 300D 테스트로 찍은 사진입니다. MT-160 용 리듀서를  사용했고, 30초노출 raw 10장을 축소해서 저장후 maxim 에서 평균합성한후 포토샵에서 레벨,곡선,언샵등을 한 이미지 입니다.  

주경을 원위치에서 접안부쪽으로 2.5cm 정도 이동하였고, 사경은 오리온250 용을 다시 시용한 상태입니다. 간단히 계산해보니, 현재 사경은 100% 광량범위가 중심부에 한하고,  따라서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비네팅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현재 protostar 3.1 인치 주문한 상태입니다.

그나저나, DSLR  초점맞추기가 장난이 아닐 것 같습니다. 연속으로 보면서 맞출 수 있는 것도 아니고, ....  축소해 놓으니 심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위 사진의 초점은 전혀 맞지 않은 상태 입니다.

이미지의 크기가 커서 이미지처리도 문제더군요.  정민경님이 30여장의 이미지를 어떻게 처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제 컴퓨터에서는 한꺼번에 불러오는 일이 거의 불가능하던데요
  • 정민경 2004.02.06 15:37 (*.201.2.238)
    제 사경은 큰것으로 교체 했기 때문에 이런 비네팅 현상은 거진 없습니다.^^
    초점의 경우는 원시적인 방법은 밝은별 하나를 골라서 각각 30초씩 촬영을 해서 가장 날카롭게 회절상이 보이는 부분을 찿는것 이고(좀처럼 사진을 찍고 있으면서도 확신이 안가는 방법입니다)
    두번째는 캐논에서나온2.5배 직각 프리즘을 사서 초점을 맞추는 방법인데 김형석씨 사진이 확대하면 뿌옅게 되기에 그리로 넘겨버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지금 쓰고 있는것은 겐코에서나온 확대촬영용 링을 중고로 하나구하고 선반 가공을 해서 3.8mm 아이피스를 끼워 사용합니다.
  • 정민경 2004.02.06 15:43 (*.201.2.238)
    중간에는 나사를 내서 아래 위로 움직이게 되어 있고 링이 하나 더 있어서 초점을 맞춘후 고정하게 만들었습니다.(ga-4의 끝 부분하고 유사합니다.)
    이건 아이피스를 좀 좋은것으로 쓰는게 훨씬유리하고요. 저는 펜탁스걸 사용하고 있습니다. 낮에 일반렌즈에 연결시켜 초점을 잡거나 망원경으로 한번 초점을 잡으면 계속해서 쓸 수가 있습니다. 보통은 행성에 초점을 맞추는데 토성에 줄무늬가 보일 정도로 맞춘다음 카메라끼우고 촬영 합니다.
  • 정민경 2004.02.06 15:51 (*.201.2.238)
    다른 도구 없이 카메라 파인더상으로 눈으로 보면서 맞추면 실패할 확율이 90%에 가깝습니다.
    이미지 처리는 그냥 무식한 방법으로 포토샾에서 4장씩 불러들여 처리하고 맥심에서 합치고 하는 방법으로 처리 합니다. 파일 하나가 32메가 정도 되기 때문에 전부 다를 한번에 처리하기는 힘들다 생각이 됩니다. 일종에 노가다를 좀 해야 하실겁니다. 나중에 좋은 방법이 나오면 제게도 알려 주세요.^^
  • 이준화 2004.02.06 17:40 (*.249.97.6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가공한 확대 촬영용링을 망원경에 끼우고 초점을 맞춘후, 망원경에서 링을 제거하고 카메라를 설치한후 촬영하는 것인가요?
  • 김형석 2004.02.06 18:11 (*.187.113.82)
    이준화님이 10D에 가세하셨으니 기대가 많이 됩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리며 혹시라도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기꺼이~ ^^*
  • 정민경 2004.02.06 19:06 (*.201.2.238)
    네 맞습니다. 초점 맞추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이게 있으면 쉽게 해결이 됩니다. 사진으로 올리겠습니다.
  • 김영혜 2004.02.07 00:21 (*.82.244.162)
    아~ 우리의 10D예요~*^^*
  • 김영렬 2004.02.07 03:37 (*.162.8.146)
    DSLR 사진이군요. 캐논에서 나다에 감사장 같은 것 주어야 할 것 같은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2417 Nebula NGC7380 Wizard Nebula Narrowband 2 file 2017.11.16 194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16 Nebula M16 4 file 2019.07.08 194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15 Nebula IC4603 Region 13 file 2016.10.10 1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414 Nebula 말머리성운 IC 434 6 file 2021.02.17 196 김상욱 quark 김상욱
2413 Nebula Cygnus Wall Narrowband Bi-color 6 file 2016.09.01 196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12 Nebula 북아메리카와 펠리컨 4 file 2021.01.15 19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2411 Nebula M20 삼열성운 file 2022.06.27 19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410 Nebula NGC6888 Crescent nebula bi-color 3 file 2016.07.26 197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09 Nebula Sh2-155 Cave Nebula 5 file 2016.10.29 197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08 Nebula m16 Eagle Nebula narrowband 6 file 2017.05.17 197 권한조 khdd97 권한조
2407 Nebula Eta Carrina Nebula file 2018.02.02 19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406 Nebula Orion IC434, M42, 43 부근 6 file 2016.02.11 198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05 Nebula M78 3 file 2016.12.07 198 김승남 byulter 김승남
2404 Nebula M1 , Crab nebula 8 file 2017.11.14 198 김성엽 sungkim01 김성엽
2403 Nebula 우주 해파리(IC443) 저렴하게 찍어봅니다 file 2017.11.25 199 김도익 kimdoik 김도익
2402 Nebula ngc 2264 (X-mas tree & Cone nebula)... 8 file 2016.01.21 200 조용현 zztop 조용현
2401 Nebula NGC2264 2 file 2016.02.14 200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2400 Nebula Rosette nebula 2 file 2016.12.28 201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99 Nebula Orion Nebula region 2 file 2020.02.06 201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398 Nebula NGC7000 (North America Nebula) file 2021.07.14 201 김영대 n4584 김영대.
2397 Nebula NGC7822 1 file 2022.06.13 201 박현권 alexken 박현권
2396 Nebula 오리온자리 중심부 4 file 2016.02.02 202 박대영 youngst 박대영
2395 Nebula NGC7023 Iris nebula widefield 4 file 2017.01.27 202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94 Nebula NGC281-sho (pacman) 6 file 2019.10.31 202 김성엽 sungkim01 김성엽
2393 Nebula M45 2 file 2016.01.13 203 이준화 joonhwa 이준화
2392 Nebula IC434 2 file 2016.02.04 204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2391 Nebula M16 Eagle Nebula (Pillars of creation) 1 file 2018.01.26 204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90 Nebula M8 Lagoon nebula narrowband SHO 1 file 2018.07.02 204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89 Nebula Sh2-129 & Ou4 1 file 2018.09.12 204 장승혁 offaxis 장승혁
2388 Nebula IC1805 Heart nebula narrowband 3 file 2016.12.20 20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87 Nebula Heart and Soul Nebula 2 file 2019.08.22 20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386 Nebula Cocoon nebula wide field Ha enhanced 3 file 2019.12.02 20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